• 제목/요약/키워드: Jaw Abnormalities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18초

양측성 구순열 환자의 안모 변형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ial Deformity in the Patient with Bilateral Cleft Lip before the Primary Cheiolplasty)

  • 윤보근;소병수;백진아;신효근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1-68
    • /
    • 2001
  • Midfacial hypoplasia in patients with clefts of the lip and palate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congenital dysmorphogenesis. And cleft lip and palate developes facial deformity, jaw abnormality, speech problem, which is most frequent hereditary deformity in maxillofacial region. So cleft lip and palate is characterized by midface deformity which shaws maxillary anterior nasal septal deviation and deformity. Our study describes congenital correlates of midfacial hypoplasia by examining the displacement of a normal complement of parts, a triangular tissue deficiency low on the lip border on the columellar side, and a linear deficiency and displacement in the line of the bilateral cleft lip. 15 patients with b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were taken impression before operation, but the patient who had other abnormalities and complications were excluded. Average age is 3.4 months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both complete, both incomplete and complete & incomplete group.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intercanthal width and canthal width between each of the groups. 2. Both complete group had longer lateral ala length than both incomplete group,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oth complete group and 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and both incomplete group and in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3. Columella length was greater in both incomplete group than in both complete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th complete group and 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and both incomplete group and in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4. Both complete group had longer ala width & ala base width than both incomplete group had.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both complete group and 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and both incomplete group and incomplete side of com. & incom. group. 5.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each of the groups on upper lip length, but nose/mouth width ratio was greater in both complete group than in both incomplete group. 6. Pronasale(pm), subnasle(sn), la~rale superioris(ls), stomion(sto) points were located around the central vertical line of face but deviated to incomplete side in com. & incom. group. 7. Nasal tip protrusion was greater in both incomplete group and com. & incom. group than both complete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oth incomplete group and com. & incom. group.

  • PDF

기도 흡인 위험도에 따른 성인의 기도 내 이물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of Tracheobronchial Foreign Bodies in Adults according to the Risk of Aspiration)

  • 김이형;최천웅;최혜숙;박명재;강홍모;유지홍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5호
    • /
    • pp.356-361
    • /
    • 2008
  • 연구배경: 국내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에 의해 기도 내 이물이 확인된 성인 환자에서 흡인의 위험도에 따른 임상적 특징 및 이물 제거 방법 및 결과에 대한 보고가 없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방법: 1994년 12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경희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굴곡성 기관지경을 시행하여 기도 내 이물이 확인되었던 29명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면밀한 의무 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14명은 흡인의 위험인자가 없었던 반면 15명은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중추신경계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전체 환자 중, 7명(24.1%)은 흡인에 대한 과거력이 없었다. 22명의 환자가 호흡기 증상이 확인되었는데, 기침(62.0%), 호흡곤란(44.8%), 발열(20.7%), 천명(13.8%), 흉통(10.3%) 및 객혈(0.4%) 순이었다. 흡인의 위험인자가 없는 환자의 92.8%가 증상이 발생한 반면 흡인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60%에서만 증상이 발생하였다(p=0.005). 또한 진단이 되기까지 증상 발생 기간이 각각 4일과 2일로 흡인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에서 더 길었고(p=0.007), 3일 이내의 급성 호흡기 증상이 발생한 경우가 더 적었다(p=0.048). 6명(20.9%)의 환자가 단순 흉부 방사선에서 이상 소견이 없었던 반면 23명에서는 이물의 음영(11명), 폐렴(8명), air trapping(5명) 및 무기폐(3명)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흡인의 위험도에 따른 기도 내 이물에 의한 방사선학적 특징에는 차이가 없었다. 흡인 위치로는 우측 기관지가 16예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고 우측 하엽 기관지가 가장 흔한 위치였다. 흡인 이물의 종류로는 치아가 11예로 가장 많은 빈도를 보였다.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들에서 의학적 처기가 기도 내 이물 흡인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경우였다. 모든 대상 환자의 기도 내 이물은 큰 부작용 없이 성공적으로 모두 제거되었으며 alligator jaw biopsy forceps이 이물 제거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흡인의 위험도가 높은 환자에서는 이물 흡인의 과거력이 명확하지 않고 비전형적인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진단이 지연되거나 간과될 가능성이 높고 특히 의학적 처치 시 가장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흡인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서 이물 흡인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