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ponica variety

검색결과 311건 처리시간 0.028초

수도의 감수분열기 및 등숙기에 있어서 온도반응에 관한 연구 제2보 수도 Indica$\times$Japonica 품종의 등숙기에 있어서의 온도반응 (Studies on the Effect of Temperature During the Reduction Division and the Grain Filling Stage in Rice Plants II. Effect of Air Temperature at the Grain Filling Stage in Indica-Japonica Crosses)

  • 김규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8-75
    • /
    • 1983
  • Indica${\times}$Japonica품종에 있어서 온도처리가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phytotron을 이용하여 Indica${\times}$Japonica품종(수원 264, 수원 258, 밀양 29) Indica 품종(IR 36. Lengkwang) Japonica 품종(진흥)을 공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등숙기에 있어서 입중증가를 위한 최적온도는 주야온도 $26/18^{\circ}C$였고, 일평균온도 $13^{\circ}C$에서 $28^{\circ}C$까지의 범위에서는 온도를 높임에 따라 등숙기간이 짧아졌다. 2. 온도조건$(32/24^{\circ}C)$에서의 상위부 영화(Special)의 개화후 입중이 최대가 되기까지에는 IR36 13일, 진흥 23일, Indica${\times}$Japonica품종(수원 264, 수원 258, 밀양 29) 18일 및 Lengkwang 23일이 요구되었다. 3. Lengkwang의 경우 주야온도 $32/24^{\circ}C,\;29/21^{\circ}C,\;26/18^{\circ}C$의 3개 처리온도 범위에서는 개화후 입중의 최대시기가 동시에 나타났다. 4. 저온조건 $(17/9^{\circ}C)$에서 등숙기간이 진흥 68일, Lengkwang 53일의 장기간이 소요되었다. 5. 일수가 완전히 등숙하는데는 상위부 영화들의 등숙보다 하위부 영화의 등숙은 15일정도 늦어졌다. 6. 저온조건하에서 $(17/9^{\circ}C,\;20/12^{\circ}C)$ IR36은 개화후 15일 이내에 고사되었으나 In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17/9^{\circ}C$에서만 고사되고 $20/12^{\circ}C$에서는 초기등숙이 정체되었다가 2주일후부터 등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7. 온도조건에 따른 복백미의 형성은 최적온도$(26/18^{\circ}C)$로부터 최저나 최고조건에서 많았고 사미 및 적미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8. 현미립의 길이 및 두께 폭에 대한 영향을 보면 저온조건$(17/9^{\circ}C\;20/12^{\circ}C)$에서 짧거나, 얇고, 좁은 편이었다. 9. 온도별 립중분포의 빈도를 보면 IR36은 최고온도조건이나 $(32/24^{\circ}C)$ 최저온도$(23/13^{\circ}C)$에서 동일한 립중분포를 보였고 최적온도조건에서는 $(26/18^{\circ}C$ 높은 립중분포를 보였고 진흥은 최고, 최저, 최적온도 순으로 립중증가의 빈도를 보였으며 Indica${\times}$Japonica 품종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

  • PDF

Morphology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a freshwater Prasiola species (Prasiolales, Chlorophyta) in Korea

  • Kim, Moon Sook;Jun, Man-Sig;Kim, Cho A;Yoon, Jihae;Kim, Jin Hee;Cho, Ga Youn
    • ALGAE
    • /
    • 제30권3호
    • /
    • pp.197-205
    • /
    • 2015
  • The genus of leafy green algae, Prasiola Meneghini, includes marine, terrestrial, and freshwater species. A total of 11 species and one variety have been identified in China, Korea, and Japan. In Korea, Prasiola formosana var. coreana has been reported in Muncheon, North Korea, while a different type of Prasiola species has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The South Korean species has been found growing along a small stream originating from Chodanggul Cave, a limestone cave in Samcheok, Gangwon Province. Here, we revis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uth Korean Prasiola species and analyzed plastid rbcL, psaB, and tufA genes to clarify its identity. Although the external and anatomical morphologies varied among individuals, our results were very similar to previous reports. Plastid three genes sequences of the South Korean specimens were identical to those of P. japonica collected from Japan as well as to published sequences of P. yunnanica from China. A short rbcL-3P sequence (196 bp) from P. formosana var. coreana, which was identified in the type specimen, was also identical to a sequence from P. japonica. These Prasiola species and variety from Korea, Japan, and China are all distributed in areas characterized by limestone bedrock. Based on morphological, phylogenetic, and distributional features, the South Korean Prasiola species is regarded herein as P. japonica. Here, we also propose to synonymize P. formosana var. coreana and P. yunnanica with P. japonica.

쌀 전분의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f Rice Starch)

  • 현창기;박관화;김영배;윤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31-337
    • /
    • 1988
  • 국내에서 생산되는 다수확계 및 일반계 쌀 각 5품종을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DSC)로 열분석 하여 호화, amylose-lipid complex의 melting 및 노화 등의 상전이 현상들을 연구하였다. 다수확계와 일반계품종간에는 호화개시 온도에 있어서는 특정한 차이가 없었으나 호화의 온도범위는 다수확계가 약간 넓은 경향이었는데 다수확계가 더 큰 값을 보였다. 고단백 쌀가루의 DSC thermogram은 온도범위가 좁아지고 크기가 작아진 호화 peak를 보여주었다. 노화현상을 DSC방법과 diastase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DSC방법이 보다 우수함을 알았고 다수확계 삼강품종의 노화속도는 일반계 추청품종보다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일본산 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 (Karyological Study of Japanese Quail (Coturnix coturnix japonica))

  • 손시환;이경희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9-274
    • /
    • 1990
  • 일본산메추리(Coturnix coturnix japonica)의 핵형연구를 위하여 정소조직 및 백혈구, 초기태아조직들로서 염색체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염색체의 수는 정상 이배체(2n)가 78개로 나타나고, 계2 감수분열 중기상태의 정모세포의 관찰에서 반수체(n)가 39개로 나타났다. 한편 8개의 대형염색체 및 성 염상체에 대한 형태적 분석은 동원체지수 및 상대적 길이비로서 측정하였다. 이용된 여러 조직간의 염색체의 형태적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4번 염색체템서 p-alm의 존재유무에 따라 상당한 변이를 나타내었다.

  • PDF

Evaluation of Genetic Relationship and Fingerprinting of Rice Varieties using Microsatellite and RAPD Markers

  • Soo- Jin, Kwon;Sang-Nag, Ahn;Hae-Chune, Choi;Huhn-Pal, M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12-116
    • /
    • 1999
  • Genetic diversity of 31 rice varieties including 25 japonica and 6 indica varieties was evaluated using a combination of 19 microsatellite or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and 28 random decamer oligonucle-otide primers. All 19 microsatellite primer sets representing 19 loci in the rice genome showed polymorphisms among the 31 varieties and revealed 91 alleles with an average of 4.80 bands per primer. Also all 28 random decamer primers used were informative and generated 114 non-redundant bands with a mean of 4.07 bands. Microsatellite markers detected higher number of alleles than random primers .although the mean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 cluster analysis based on Nei's genetic distances calculated from the 205 bands resolved the 31 varieties into two major groups that correspond to indica and japonica subspecies,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genealogical information. As few as six random decamer primers or a combination of one microsatellite and four random decamer primers were sufficient to uniquely differentiate all 31 varieties. These combinations would be potentially useful in rice variety protection and identification considering that 25 out of 31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are japonica rices with high grain quality and have close make up.

  • PDF

통일미(統一米)와 진흥미(振興米)의 취반기호특성(炊飯嗜好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Cooking and Eating Qualities of Tongil (Indica Type) and Jinheung (Japonica Type) Rice Varieties)

  • 황보정숙;이관영;정동효;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12-220
    • /
    • 1975
  • 국내에서 새로이 보급된 Indica형 장려품종인 통일미(統一米)와 Japonica형 재래장려품종인 진흥미(振興米)의 취반기호특성(炊飯嗜好特性)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통일미는 진흥미와 비교할 때 취반시(炊飯時) 같은 가수율(加水率)에서 $4{\sim}6%$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였고 항상 높은 hardness를 나타내었으며 같은 hardness를 유지하기 위하여 20% 더 많은 가수율(加水率)을 요구하였다. texture특성치(特性値)중 hardness의 역수(逆數)로 부터 취반시(炊飯時) 최적가수율(最適加水率)을 구한 바 통일미는 140%, 진흥미는 120%이었다. 미반(米飯)의 호화도(糊化度)는 노화도(老化度)를 효소소화법( 酵素消化法), 요오드정색법(呈色法), texture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 같은 가수율(加水率)에서 통일미는 진흥미보다 항상 낮은 호화도(糊化度)를 나타낸 반면 노화도(老化度)는 약간 떨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미분(米粉)의 amylogram 특성(特性)을 보면 통일미는 진흥미에 비하여 호화개시온도(糊化開始溫度)는 높은 반면 최고 점도(粘度)와 breakdown은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수도품종 및 재배기술의 1962년 이후 변천 (Changes in Variety and Cultural Practices of Rice Since 1962 in Korea)

  • 이종훈;김종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39-451
    • /
    • 1982
  • In fact, rice cultivation technique from 1962 to 1970 was very slight, but this technique from 1970 to now was remarkably developed in Korea, it was due to development of high fretilizer responsive and lodging resistant variety, Tongil; ie. Ind. ${\times}$ Japonica remote-cross rice variety. The main factors of this development is as follow: Firstly the most farmer (more than 90%) used newly developed seedling growth method; polyethylene film covered protected nursery bed. Secondly date of transplanting (middle or late part. of May) was earlier 10-15days than before 1970. Thirdly new varieties were highly lodging resistant at high fertilizer level $(N-P_2O_5-K_2O:15-9-11 kg/l0a)$. However, this level is 50% increased one than it for Japonica varieties. At forth planting density increased up to 75-80 hills per $3.3m^2$. Added to these factors, farm labor shortage and wage increase due to economic development gave a chance for introduction of transplanting machine to farmer in 1977. It's use increased for 100, 800 ha in 1981. The most of farmers are using herbicides and weed control system dependoing on wood composition has been established and disseminated to farmer.

  • PDF

비쭈기 나무(Cleyera japonica)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Cleyera japonica Extract)

  • 안정좌;황태영;김현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53-157
    • /
    • 2015
  • 본 연구에서 비쭈기 나무의 잎 부분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비쭈기 나무 잎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 시 항산화(IC50, 22.90 ㎎/L) 및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그람양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았다. 또한, 비쭈기 나무 추출물 처리시 tyrosinase 활성저해 및 멜라닌 함량 저하(IC50, 101.90 ㎎/L)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비쭈기 나무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개선 효과를 비롯한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논 표면 탈립 벼 종자의 월동중 발아력변화와 월동후 포장 출현 및 생육 (Germinability during Overwintering, Field Emergence, and Growth of Shattered Rice Seeds on Paddy Field)

  • 송영주;권영립;오남기;고복래;황창주;박건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7-44
    • /
    • 1992
  • 벼 콤바인 수확답에서 탈립된 종자의 월동중 활성검정 및 품종별 탈립량에 따른 이형주 발생정도와 양상을 검토, 벼 종자 순도유지에 관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저 하였던바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탈립종자의 시기별 발아율은 일반형, 통일형 모두 경과시기가 길어질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발아세의 경시적 변화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2. 조사시기에 따른 종자 단백질의 전기영동적 차이에 있어서 팔공벼, 삼강벼 공히 단백질 Band에 농ㆍ담의 차이가 있었다. 3. 생태형별 이형주 발생율은 일반형 품종이 통일형 품종에 비하여 이형주는 대비품종에 비해 초장, 주당경수, 엽장, 절간장, 수장 및 수당립수 등의 형질이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또한 1차 지경보다는 2차지경에서 저하율이 컸으며 수당 영화수에 대한 상관정도는 2차지경이 높았다. 4. 이형주 종자의 발아능력은 대비품종에 비해 대차가 없었고 종자수량에 있어서 일반형 품종이 평균 5.1kg /10a, 통일형 품종이 평균 0.9kg /10a 였으며, 생태형별 대비품종에 대한 혼입비율은 일반형 품종이 0.7%, 통일형 품종이 0.1% 정도였다.

  • PDF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을 접종한 자작나무로부터 버섯의 생장 (Growth of Chaga Mushroom (Inonotus obliquus) on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 가강현;전성민;박현;이봉훈;유성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1-245
    • /
    • 2017
  • 자작나무시루뻔버섯(차가버섯)은 살아있는 나무에서만 자라는 귀중한 약용버섯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인공재배가 아닌 자연 채취에 의존하고 있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을 인공적으로 재배하기 위해 2007년에 자작나무시루뻔버섯 톱밥종균을 자작나무에 접종하였으며, 그 후 균을 접종했던 자작나무에서의 버섯 생장을 9년간 조사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은 연간 1 cm 미만으로 생장하였고, 9년간 가장 크게 자란 버섯 개체의 경우에는 9 cm까지 생장하였다.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이 생존한 것과 생존하지 않은 것의 나무 생장(diameter at breast height, DBH)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인공재배는 성공적이었으며, 버섯 생산성을 고려할 때 자작나무시루뻔버섯균을 접종할 기주는 가능한 한 큰 자작나무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자작나무시루뻔버섯의 접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개선 방법 또한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