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nthinobacterium sp.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Janthinobacterium sp. 유래 저온활성 lipase의 발현, 정제 및 효소 특성 연구 (Expression,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Cold-adapted Lipase from Janthinobacterium sp.)

  • 박성호;박성주;최종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1-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극지에서 유래한 Janthinobacterium sp. PAMC25641로부터 분리한 리파아제 유전자를 클로닝 하고 과발현시켜 정제하였으며, 이 분리한 재조합 리파아제 효소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효소는 $15^{\circ}C$ 이하의 온도에서 장시간 활성을 유지하는 효소로서 산업적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Janthinobacterium sp. 유래 저온 활성 프로테아제 정제 (Purification of Cold-adapted Protease from Janthinobacterium sp.)

  • 김현도;최종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1-113
    • /
    • 2018
  • In this study, purification of cold-adapted protease from Janthinobacterium sp. was investigated. First, using gradient precipitation, protease was confirmed to be deposited in the 30-80% range of ammonium sulfate. Next, DEAE-Sepharose column was used for the binding of the protease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optimal binding condition was found to be pH 8.5 and flow rate of 30 ml/h. Under the optimal condition, the protease was purified with 29% recovery yield. This result can be useful for the purification of other cold-adapted protein.

한라산 고지대 토양에서 분리한 미생물의 항균 및 단백질분해 활성, 오옥신 생산 특성 (Antifungal and Proteolytic Activity and Auxin Formation of Bacterial Strains Isolated from Highland Forest Soils of Halla Mountain)

  • 김택수;고민정;이세원;한지희;박경석;박진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95-501
    • /
    • 2011
  • 한라산에서 해발 1000미터부터 100미터의 고도 간격으로 산림토양 샘플을 채집하고 총 398점의 토양 세균을 분리하여 항균 및 단백질 분해활성과 Auxin 생산특성을 규명하였다. 항균활성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주요 작물병원균 8종에 대하여 대치배양한 결과 여러 종의 병원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가지는 26균주를 1차적으로 선발하였으며, 단백질 분해활성이 높은 34균주, Auxin을 생산하는 26균주도 함께 선발하였다. 토마토잿빛곰팡이병에 대한 생물검정 결과 Je28-4(Rhodococcus sp.)가 80%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한라산에서 분리한 항균 및 단백질 분해활성, Auxin 생산균주 중 대표적인 균주를 선발하여 종을 동정한 결과 다양한 속에 속하는 미생물이 동정되었으며 Bacillus 속이 12균주로 가장 많았고 Streptomyces 8균주, Paenibacillus 속 5균주, Chryseobacterium 속 5균주, Pseudomonas 속 4균주, Rahnella 속 2균주, Lysinibacillus 속 2균주, Burkholderia 속 2균주로 동정되었으며, Enterobacter, Janthinobacterium, Microbacterium, Rhodococcus, Sphingomonas 속은 각각 1균주씩 동정되었다. 본 실험 결과 선발된 균주들은 추후 다각도의 in vitro 검정 및 생물검정을 걸쳐 식물 생장촉진 및 병 방제용 다기능성 미생물 자재의 소재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