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ahag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초록 : 비만 실험동물쥐 (obese Zucker rats)에서의 육미지황탕의 항당뇨 효과 (Anti-diabetic effect of Yukmijihwangtang-Jahage in obese Zucker rats)

  • Kim, Cheorl-Ho;Seo, Eun-Kyung;Kang, Dong-Hwi;Seo, Jin-Woo;Kim, Kyoung-Sook;Lee, Tae-Kyun;Lee, Young-Choon;Nam, Kyung-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88-396
    • /
    • 2000
  • The effect of the traditional herbal medicine Yukmijihwangtang-Jahage(YJ) on the improvement of insulin resistance and lipid profile was studied using a model for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lean (Fa/-) and obese (fa/fa) Zucker rats. Yukmijihwangtang-Jahage feeding for 4 week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 of plasma triglyceride in both lean and obese Zucker rats. Furthermore, Yukmijihwangtang-Jahage markedly decreased both plasma cholesterol and fasting plasma insulin, an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ostprandial glucose level at 30 min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in obese Zucker rats.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rude glucose transporter 4 protein level of Yukmijihwangtang-Jahage dieted obese rats tended to increase when compared to that of obese control rats. Therefore, the present results suggested that Yukmijihwangtang-Jahage may be useful in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metabolic disorders characterized by hyperinsulinemia states such as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syndrome X and coronary artery disease.

  • PDF

자하거의 tyrosine kinase Src, cyclooxygenase 발현, PGE2 합성 등의 저해를 통한 골질재흡수 억제효과 (Jahage, Hominis Placenta(HP), suppress bone resorption by inhibition of tyrosine kinase Src, cyclooz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 양정민;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6-73
    • /
    • 2007
  • Purpose: 이 실험은 골다공증의 치료약물로 자하거의 골질재흡수 억제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Methods: 자하거의 골질재흡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를 이용하여 Cyclooxygenase-1(COX-1), COX-2, $TGF-{\beta}$, $L-1{\beta}$, $TNF-{\alpha}$, IL-6, prostaglandin E2등의 활성화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골조직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Results: 자하거는 $IL-1{\beta}$, $TNF-{\alpha}$, IL-6 또는 그 세가지의 조합에 의하여 유발된 PGE2의 생성 뿐만 아니라 COX-2 mRNA 수치도 감소시켰으나 COX-1 mRNA 수치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로써 자하거는 시험관내에서 그리고 생체내에서 펩티드의 인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골의 재흡수를 저해하였다. 그리고 자하거는 생쥐에서 $IL-1{\beta}$에 의해 유발된 고칼슘혈증을 감소시켰고, 골의 재흡수를 저해하는 경로를 통하여 골에 대한 보호효과를 보여줌으로써 조기에 난소 절제한 쥐에서 골질감소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부분적으로 방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GE2 생성에 대한 $IL-1{\beta}$, $TNF-{\alpha}$, IL-6사이의 상승효과는 COX-2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결과이며 이러한 tyrosine kinase가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에서 COX-2의 신호전달에 관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onclusion: 자하거가 생쥐의 두개골 골모세포에서 여러 신호전달물질의 활성화를 통하여 골질재흡수를 저해하는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앞으로 골다공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추가적인 임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새로운 인간(人間) 태반(胎盤)유래의 항응고(抗凝固) 단백질(蛋白質) PP27 (annexin Ⅴ형(型) 단백질(蛋白質))의 정제(精製)와 특성(特性)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nti-coagulant protein, PP27, of placenta protein (annexinⅤ-like protein))

  • 김장현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46
    • /
    • 2000
  • It has long been known that Jahage(紫河車) extracts of Placenta hominis are effective for immunological and vascular diseases in human body and thus, was used a major constituent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s. From full-term human placenta, we have purified a new type anticoagulant protein, PP27, using different chromatographic techniques of a phenyl TSK gel 650M column, DEAE, HA and Mono-Q columns. PP27 showed single band on SDS-PAGE with a molecular mass (Mr) of 27 kDa under denaturing conditions and a calibrated Sepharose 4B column chromatography indicated a molecular mass of 23 kDa, indicating that the value is similar to those of other PP4 enzyme reported to date. Isoelectric point of PP27 was p15.2. The protein was found to inhibit the coagulation time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PP27 was acted as a vascular anticoagulant of annexin type, inhibits the blood clotting process by binding of the essential lipids in a reaction which is dependent on $Ca2^+$ ions. In the presence of $Ca2^+$ ions, PP27 combines with platelet membranes neutralizing their procoagulant effect. Coagulation triggered by the addition of thromboplastin/ lipid- mixtures is extinguished by PP27.

  • PDF

A Study on Bone Formation & Osteoporosis by Taeyoungion-Jahage Extracts

  • ;;;;;박영덕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5-60
    • /
    • 2002
  • 생쥐의 calvarial osteoblast세포를 분리배양하여 gelatinase생성여부를 골흡수과정에서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SDS-PAGE-zymography분석을 한 결과 progelatinase-A를 항속적으로 합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생쥐의 osteoblasts를 골재흡수 약물인 PTH, $1,25(OH)_2D_3$, 단핵구배양액 (MCM) 그리고 IL-1으로 자극시키면 gelatinase생산을 촉진하여 콜라겐분해가 증가되었으나, indomethacin과 dexamethasone은 생쥐의 osteoblastic세포의 collagenolysis를 저해하였다. 한편, 골재흡수에 IL-1을 생쥐태아 유래의 장골조직배양 (fetal mouse long bone organ culture)에 처리하자 IL-1 은 골재흡수를 촉진하였다. 더우기, $IL-1{\alpha}$의 농도의존성에 대한 indomethacin과 dexametasone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직선형의 비례커브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골대사의 지견을 바탕으로 대영전-자하거의 열수추출물의 시험관내 독성검사에서 $1-200\;{\mu}g/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이 없었으며, 또한, $300\;{\mu}g/ml$ 농도에서도 생쥐의 calvarial골에는 독성이 없었다. 대영전-자하거 extract는 PTH (2 units/ml), MCM (5%, v/v), $rhIL-1{\alpha}$ (1 ng/ml) $1,25(OH)_2D_3$ (10 ng/ml)처리에 대해서 그리고 $IL-1{\alpha}$$IL-1{\beta}$-유발 collagenolysis에 대해서도 보호효과가 있었다. 대영전-자하거extract을 1시간동안 전처리와 후처리에서 콜라겐분해에 약간의 보호활성이 있었으며 $IL-1{\alpha}$$IL-1{\beta}$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겐분해에 보호활성이 보였다. 1시간동안 전처리는 콜라겐분해를 감소시키며, 대영전-자하거 extract는 gelatinase효소를 저해하였으며 PTH, $1,25(OH)_2D_3$, $IL-1{\beta}$$IL-1{\alpha}$로 유발된 효소활성화가 저해되었다. 즉, 대영전-자하거 extracts는 $IL-1{\alpha}-$$IL-1{\beta}$에 의해 촉진되는 골재흡수에 효과적이었으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제 (indomethacin 과 dexamethasone)에 의한 골재흡수방지 효과와 유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대영전-자하거extract가 골다공증치료에 효과적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A Study on Anti-Bone Resorption & Osteoporosis by Taeyoungion-Jahage Extracts

  • ;;;;;신정식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75
    • /
    • 2002
  • 유전자 재조합으로 제조한 사람 $interleukin-1{\beta}$ $(rhIL-1{\beta})$는 생쥐의 calvarial 골세포계에서 분리한 골아세포에 여러 가지 조절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 $rhIL-1{\beta}$가 농도의존적으로 골세포에 영향을 주는지 해명하기 위하여 배양된 골아세포의 세포증식과 prostaglandin $E_2$합성 그리고 plasminogen activator활성에 대한 영향을 검토한 결과 이들을 촉진하였다. 그러나 비타민D에 따라 반응하는 골아세포의 특징으로 알려진 osteocalcin생합성과 alkaine phosphatase활성의 유도생성은 $rhIL-1{\beta}$에 의해 오히려 길항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골세포대사의 병리학적인 조절과정에서 $IL-1{\beta}$가 골다공증의 병리학적 역할을 규명하는 새로운 결과이다. $IL-1{\beta}$에 의한 골흡수현상이 생쥐의 calvarial골세포에서 calcitonin처리로 크게 억제되어, 결과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IL-1{\beta}$에 의해 유발되는 골재흡수란 osteoclast에 의한다는 사실을 시사하였다. 한편, 한방에서 골다공증치료와 예방에 사용되는 대영전-자하거추출물의 기능을 해명하기 위하여, $IL-1{\beta}$-유발 $PGE_2$합성만을 특이적으로 저해하였다. 또한, 대영전-자하거 extract을 1시간 동안 여러 가지 농도로 전처리하고 다음으로 $PGE_2$-유도시약을 처리한 결과, $PGE_2$합성을 억제하였으며 동시에 $IL-1{\beta}$에 의해 유도된 plasminogen 의존적인 fibrinolysis을 억제하는 보호효과가 인정되었다. 한편, calcitonin처리가 $IL-1{\beta}$-촉진 골재흡수에 대한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이러한 결과들은 calcitonin과 대영전-자하거 extract이 osteoclast매개성 골재흡수의 억제에 핵심적인 역할을 함을 시사하며 한방치료제로서의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사료된다.

  • PDF

자하거(紫河車)가 칼슘재흡수, cyclooxygenase의 발현, PGE2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 (Hominis Placenta suppress Calcium release, cyclooxygenase expression and PGE2 synthesis)

  • 정연호;김나영;이태균;김동일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05
  • Purpose : 자하거(Hominis Placenta; HP)는 건강한 사람의 태반을 홍제(烘製)하여 건조한 것으로 한의학에서는 기혈(氣血)을 대보(大補)하고 신정(腎精)을 보익(補益)시켜 구병(久病)으로 인한 신체허약(身體虛弱)이나 혹은 체질허약(體質虛弱)과 혈기부족(氣血不足) 및 신허정휴(腎虛精虧) 등 등(證)을 치료(治療)하는데 단미(單味) 또는 복방(複方)에 배오(配伍)하여 쓰여왔다. 또한 자하거는 면역학적으로 골대사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본 연구에서는 자하거의 항골다공증 활성을 분자세포생물학적으로 검정하고자 하였다. Methods : Osteoblast cells에서 자하거가 COX-2 mRNA의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억제시키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먼저 TNF-${\alpha}$, IL-${\beta}$ 와 IL-6를 처리한 후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후 TGF-${\beta}$, 자하거(紫河車)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가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합성을 저해시키는지 관찰하였다. 또한 자하거가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키는지를 확인하였다. Results : IL-6, IL-1${\beta}$와 TNF-${\alpha}$를 동시에 처리하면 이것을 단독으로 처리한 것과 비교해 볼 때 $PGE_2$의 생합성과 더불어 COX-2 mRNA의 수치가 상승작용을 일으키며 증가하였다. TGF-${\beta}$, 자하거와 이 둘의 조합인 자하거+TGF-${\beta}$은 COX-2 mRNA 발현, $PGE_2$ 생합성 및 골재흡수를 감소시켰다. 자하거(紫河車)는 IL-1${\beta}$, TNF-${\alpha}$와 IL-6 각각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인해 증가하는 COX-2 mRNA 발현과 $PGE_2$ 생성을 감소시키는 반면 COX-1 mRNA 발현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자하거는 농도의존적으로 IL-1${\beta}$로 유발된 흰쥐의 과칼슘혈증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흰쥐의 두개골 골아세포에서 $PGE_2$ 생산에 대한 IL-${\beta}$, TNF-${\alpha}$, IL-6의 상승작용이 COX-2의 유전자 발현 증가에 기인함을 보여주었다. Conclusions :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자하거가 골대사과정중 골재흡수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밝히게 되었으며, 자하거의 골다공증의 억제기전이 골재흡수관련 단백질들의 전사조절에 있음을 최초로 해명하게 되었다.

  • PDF

자하거약침액과 산삼약침액의 C2C12 근아세포에서의 AMPK/SIRT1 신호전달을 통한 근 분화 유도 및 에너지 대사 증진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Pharmacopuncture Extracts with Hominis placenta Pharmacopuncture and Wild Ginseng Pharmacopuncture o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through Regulation of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 황지혜;정효원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0-68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Hominis placenta (Jahage, J) and wild ginseng (SanSam, S) pharmacopuncture drugs on muscle differentiation and energy metabolism regulation in C2C12 myotubes. Methods: The C2C12 myoblasts were differentiated into myotubes for 5 days by replacing in medium containing 2% horse serum and then treated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different concentrations for 24 hr. The expression of myosin heavy chain and energy metabolism-regulating factors, myosin heavy chain (MHC), nuclear respiratory factor-1 (NRF-1), and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coactivator-1 alpha (PGC-1α) were determined in C2C12 myotubes by western blot. Additionally,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mitochondrial biogenesis, including sirtuin 1 (SIRT1) were determined in the myotubes. Results: As a result, treatment with J and S pharmacopuncture extract at 0.1 and 1 mg/mL increased the MHC expression in C2C12 myotubes compared with non-treated cells, but only S pharmacopuncture was shown a significant and distinct increase in the expression. Expression of TFAM and NRF-1 was also shown significant increases in S and J pharmacopuncture in C2C12 myotubes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the expression of PGC-1α and SIRT1 showed increased expression in S and J pharmacopuncture compared to non-treated cells. The effect of low-dose of J pharmacopuncture on the phosphorylated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and PGC-1α expression was greater than that of S pharmacopuncture. Conclusions: In conclusion, both J and S pharmacopuncture promote muscle differentiation in C2C12 myoblasts into myotubes and energy metabolism through the AMPK/SIRT1 signaling pathway. This indicates that the pharmacopuncture with tonic herbal medicines can help to improve skeletal muscle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