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JXTA.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An Audio Streaming System on the P2P Network (P2P 네트워크에서의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

  • 정의현;김성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694-696
    • /
    • 2004
  • P2P 컴퓨팅은 자원 공유와 분산 컴퓨팅의 대안적 구조로 많은 주목을 받아 왔으며, 여러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P2P 환경에서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은 피어 간의 낮은 대역폭과 불안정한 연결이라는 구조적인 문제 때문에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의 해결을 위해서 다중 피어 결합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논한다. 다중 피어 결합 방식은 데이터의 부분들을 여러 피어로부터 동시에 전송 받아 가상적으로 높은 대역폭을 확보하는 방식이며, 이 방식을 이용하여 기존 P2P 환경하에서 실현 가능한 오디오 스트리밍 시스템의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프로토타입은 JXTA 기반하에서 구현되었으며, Java Sound를 이용하여 오디오 브라우징을 처리하였다.

  • PDF

P2P Network for OSGi-based Healthcare System in Ubiquitous Environments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OSGi 기반 헬스케어 시스템을 위한 P2P 네트워크)

  • Kim, Nam-Ho;Song, Seung-Jae;Ryu, Sang-Hwan;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6.06a
    • /
    • pp.779-780
    • /
    • 2006
  • In comparison with a existing passive Healthcare system, a healthcare system applied OSGi framework is spontaneous and excellently expandable. But, OSGi-based healthcare system has security vulnerability which OSGi has the technical feature and restriction in the service support area. In this paper, in order to overcome these vulnerability, we propose the technique that applies JXTA standardized P2P platform in OSGi-based healthcare system.

  • PDF

Self-organization for agent network (에이전트 네트워크 자가 구성방법)

  • Park, Byung-Seon;Youn, Hee-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884-887
    • /
    • 2007
  • 에이전트란 사용자의 관점에서 시스템이 사용자를 대신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 주는 소프트웨어로서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1990년대 초부터 관련제품도 대거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나날이 다양해지고 복잡해지는 사용자의 요구를 해결하려면 단독 에이전트의 능력으로는 한계가 있었고 그 해결 방법으로 지역적으로 분산된 다른 에이전트의 도움을 받아 처리하는 분산 협동 처리의 개념이 등장하였다. 여러 에이전트의 분산 협동 처리를 위해서는 에이전트간 통신이 필수적이다. 그 목적은 정보나 작업 처리의 공유와 교환에 있으며 다른 에이전트에게 처리를 요구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지능적인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에이전트, 에이전트 플랫폼이 효율적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에이전트와 에이전트 플랫폼으로 구성된 에이전트 네트워크를 효율적 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기존 방식의 문제점들을 JXTA의 예를 통해 지적하고, 개선방안으로 에이전트 네트워크 자가 구성방법을 소개하려 한다.

  • PDF

An Effective Service Sharing Scheme on Distributed OSGi Frameworks (분산되어 있는 OSGi 프레임워크에서 효과적인 서비스 공유 방안)

  • Yun, Ki-Hyun;Kim, Eun-Hoe;Choi, Jae-Yo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6A no.4
    • /
    • pp.227-234
    • /
    • 2009
  • OSGi technology has applied to Home Network, but now it is loaded into even heterogeneous devices in various domai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framework for offering effective services in distributed OSGi frameworks. However until now, OSGi specification doesn't provide any methodthat can share the services registered on remote OSGi framework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have been several researches that used existing distributed middleware technologies such as JXTA and Web Services. However these technologies have some weakness, that is, they consume lots of computing resources and need additional process to transform the services. A middleware called R-OSGi uses only OSGi technology for sharing remote OSGi services, but R-OSGi may have a communication bottleneck and SPOF (Single Point of Failure) problem, because it has a central service registry. In this paper we present RSP (Remote Service Provider), which is a P2P-based effective service sharing scheme on distributed OSGi framework. RSP doesn't need to install additional software nor have the additional transformation process of the service representation, because it uses only OSGi technology. In addition it doesn't have any bottleneck problem and improves scalability by providing the service discovery mechanism using P2P. RSP can also access remote services transparently and it can guarantee reliability by sending an immediate notice about changes of the remote services.

Selection Method of Group Leader based on VMBC Algorithm in VANET (VANET에서의 VMBC 알고리즘을 이용한 그룹 리더 선정 방법)

  • Kim, Jae-Myoung;Jung, Eun-Ju;Jung, Sung-Dae;Lee, Sang-S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92-393
    • /
    • 2008
  • 서버와 클라이언트 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 피어들끼리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P2P 환경에서는 정보의 다양성으로 인하여 원하는 정보를 한 흡 이내에서 찾을 확률이 매우 낮다. 따라서 정보 검색을 위한 플러딩을 수행하게 되는데 플러딩 방법은 모든 피어가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때문에 많은 부하가 생기고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은 차량 네트워크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JXTA의 랑데부 피어 컨셉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랑데부 피어를 사용한 세 가지의 시나리오와 플러딩 방식을 사용하는 한 가지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 한 결과 랑데부 피어를 사용하는 방식이 네트워크에 부하를 덜 주면서 효율적인 정보검색을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차량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을 지원하기 위하여 기존의 클러스터링에 VMBC알고리즘을 이용한 그룹 리더(랑데부 피어)선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그룹 리더 선정 방법을 토대로 시뮬레이션 한 결과 이동성이 존재 할 경우에도 플러딩 방식보다 효율적으로 정보 검색이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n Efficient Management Scheme of Hierarchical P2P System based on Network Distance (계층적 P2P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거리 기반 운영 기법)

  • Hong, Chung-Pyo;Kim, Cheong-Ghil;Kim, Shin-Dug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Engineering
    • /
    • v.10 no.4
    • /
    • pp.121-127
    • /
    • 2011
  • Many peer-to-peer (p2p) systems have been studied in distribute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Distributed hash table (DHT)-based p2p systems can improve load-balancing even though locality utilization and user mobility are not guaranteed. We propose a mobile locality-based hierarchical p2p overlay network (MLH-Net) to address locality problems without any other services. MLH-Net utilizes mobility features in a mobile environment. MLH-Net is constructed as two layers, an upper layer formed with super-nodes and a lower layer formed with normal-nodes. Because super-nodes can share advertisements, we can guarantee physical locality utilization between a requestor and a target during any discovery process. To overcome a node failure, we propose a simple recovery mechanism.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MLH-Net can decrease discovery routing hops by 15% compared with JXTA and 66% compared with Chord.

  • PDF

A Peer-to-Peer Search Scheme using Self-Organizing Super Peer Ring (자기 조직적 우수 피어 링 구조를 이용한 피어-투-피어 검색기법)

  • Son, Jae-Eui;Han, Sae-Young;Park, Sung-Yong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7 s.104
    • /
    • pp.623-632
    • /
    • 2006
  • We propose a peer-to-peer search scheme in which super peers with high rapacity constitute a ring by themselves and all peers utilize the ring for their query and publishing keys. In a dynamic peer-to-peer environment, the size of the super peer ring changes adaptivel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ystem, but more powerful peers are continuously promoted to super peers. By simulations, we show that our proposed search scheme improves the query success rate of Gnutella+1hop replication search method, and maintains shorter query delay than JXTA as a static ring.

PECOLE+: An Extension of PECOLE Collaborative System for Supporting Effective Multiple Groups (PECOLE+: 다중그룹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PECOLE 협업 시스템의 확장)

  • Kim, Bo-Hyeon;Park, Jong-Moon;Lee, Myung-Joon;Park, Yang-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6 no.1
    • /
    • pp.101-115
    • /
    • 2011
  • PECOLE (Peer-to-Peer Collaborative Environment) is a P2P-based multimedia distribu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supporting a collaborative workspace which is composed of a variety of collaborative applications such as multi-chat, video conferencing, screen sharing and etc. Unfortunately, due to the PECOLE's simple group management, it is impossible to perform collaboration activities while joining multiple groups.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COLE+ which is an extension of PECOLE. PECOLE+ resolves the drawback of PECOLE by providing the Group Management Service and the Workspace Management Service. The Group Management Service provides functionalities such as creating groups, joining multiple groups, and searching groups, and etc. The Workspace Management Service provides each group with an associated workspace, supporting the execution of collaborative applications over the workspace. In addition, any collaborative applications with the provided plug-in interfaces can be executed over the workspace as a PECOLE+ collaborativ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