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SPW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4초

동해고유수의 해양학적 특성 II. 동해고유수와 chimney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Jspan Sea Proper Water II. The Japan Sea Proper Water and Chimney)

  • 최용규;조규대;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1-139
    • /
    • 1995
  •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Observations (1966 -1987), the phenomenon of chimney is found as a candidate for the formation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JSPW). The chimney phenomenon occurs twelve times Inuring 1966∼ 1987. The water types in the chimney denoting the deep conve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SPW 0∼ 1℃ in potential temperature, 34.0∼34.1 ‰ in salinity and 68∼80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from the sea surface to the deep layer. The static stabilities in the chimney stations are unstable or neutral. This indicates that the winter time convection occurs. The JSPW sunken from the surface layer of chimney in winter spreads out under the Tsushima Warm Current area, following the isosteric surface of about 76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The formation of the deep water of the JSPW is mainly affected by the cooling of the sea surface than the evaporation of winds because the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on the isoteric surface of about 76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ate cold and low The phenomenon of chimney occurred in here and there of the area in the north of 40" 30'N, west of 138" E. This suggests that the deep water of the JSPW is formed not in a limited area but probably in the overall region of the northern open ocean.

  • PDF

동해고유수의 해양학적 특성 I. 겨울철 동해의 해황과 동해고유수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I. Oceanographic Conditions of the Japan Sea and the Japan Sea Proper Water in Winter)

  • 최용규;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17-332
    • /
    • 1994
  •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Observations (1966 ~ 1987), oceanographic conditions of the Japan Sea in winter was studied in relation to the Japan Sea Proper Water (JSPW). The mean and dispersion of the deep water above 1000 m depth are 0.26$\pm$0.2$^{\circ}C$ in temperature and 5.1$\pm$0.25 ml/h in oxygen. The mean and dispersion of the bottom water below 1000m depth are 0.07$\pm$$0.04^{\circ}C$ in temperature and 5.1$\pm$0.15ml/1 in oxygen. The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in the deep water above 1000m depth are ranged wider than 각one of the bottom water below 1000m depth in T-S and T-$ extrm{O}_2$ diagrams. The bottom water are showed more homogeneous and smaller variations than the deep water i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 The deep water above 1000m depth is active in contact with the atmosphere. The JSPW similar to the above characteristics is showed in the open ocean of the north of $40^{\circ}$30""N, west of $138^{\circ}$E. Therefore, the deep water is formed probably by the open-ocean convection.tion.

  • PDF

동해고유수의 생성가능해역 I. 극전선에 의한 해역구분 (Possible Formation Area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I. Subareas by the Polar Front)

  • 최용규;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7-42
    • /
    • 1993
  •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Observations during 1966∼1987 and the Ten-day Marine Report during 1970∼1989 by Japan Meteorological Agency, the possible area where the Japan Sea Proper Water (JSPW) can be formed i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water types in the Japan Sea. The Japan Sea can be divided into three subareas of Northern Cold Water(NCW), Polar Front(PF) and Tsushima Warm Current (TWC) by the Polar Front identified by a 6℃ isothermal line at the sea surface in vinter. Mean position of the Polar Front i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latitude 39∼40。N.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olar Front from the mean position of about 130km width is the smallest in the region between 136。E and 138。E where the Polar Front is very stable, because the branches of the Tsushima Current are converging in this region. However, standard deviations are about 180∼250km near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Tsugaru Strait due to greater variability of warm currents. In the NCW area north of 40∼30。N and west of 138。E, the water types of the sea surface to the loom depth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SPW.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surface layer of the NCW area is the possible region of the JSPW formation in winter.

  • PDF

Ra동위체로 본 하계 동해 남부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10^{\circ}C$ 이하 냉수괴의 기원 (Origin of the Cold Water below $10^{\circ}C$ Occurring in the Southern Coastal Region of the Korean East Sea in Summer by Ra Isotope Distribution)

  • 양한섭;김평중;이재철;문창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04-412
    • /
    • 1994
  • 하계 한국 동해 남부 연안해역의 4개 단면에서 1991년 9월 $2{\sim}8$일 사이에 수온관측 및 Ra동위체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수온의 연직분포를 보면, 북쪽 단면 A와 B에서는 강한 계절수온약층이 대체적으로 표층 $10{\sim}30m$ 사이의 수층에 존재하고, 단면 C에서는 $30{\sim}50m$ 수층에 수온약층이 나타난다. 단면 D에서는 특이하게 2개의 수온약층이 존재하고 연안쪽 정점에서 바깥쪽 정점으로 갈수록 수온약층의 존재수심은 급격히 깊어지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수온약층 상부에는 수온 $20^{\circ}C$이상의 대마난류표층수가 존재하고, 수온약층 바로 아래 수층에는 수온 $12{\sim}7^{\circ}C$의 대마난류중층수가 나타나며, 이 아래 수층에는 기원이 불분명한 $10^{\circ}C$이하의 냉수괴가 나타나고, 수심 약 150 m 이심층에는 $1^{\circ}C$이하의 동해고유수가 존재한다. 9개 정점의 $2{\sim}3$개 수층에서 채수한 해수의 Ra동위체 농도를 측정한 결과, 대마난류표층수의 특성값은 Ra-228이 $225{\pm}23$ dpm/kl, Ra-226이 $99{\pm}6$ dpm/kl이며, Ra-228/Ra-226 방사능의 비는 $1.9{\sim}2.6$범위였다. 대마난류중층수의 특성값은 Ra-228이 $71{\pm}12$ dpm/kl로 표층수중 농도의 약 1/3정도이고, Ra-226은 $80{\pm}6$ dpm/kl이며, 두 동위체의 비는$0.7{\sim}1.1$범위였다. 한편, 수온 $2{\sim}6^{\circ}C$범위의 냉수괴는 Ra-228이 $59{\pm}10$ dpm/kl이고, Ra-226은 $85{\pm}9$ dpm/kl였으며, 두 동위체의 비는 $0.6{\sim}0.9$범위였다. $65{\sim}120$ m 사이의 수층에서 수온 $2{\sim}6^{\circ}C$범위를 보이는 냉수괴의 기원을 밝히기 위하여 수온에 대한 용존산소 및 Ra동위체의 농도(혹은 동위체비)의 diagram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냉수괴는 북한한류수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T-O_2$ diagram으로는 이 냉수괴의 기원은을 알기 어려웠지만 Ra동위체의 농도를 이용하면 보다 명료하게 그 기원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동해에서 Ra동위체의 연직분포 측정은 각종 수괴의 혼합확산이나 변질과정을 이해하는 데 유용할 것이다.

  • PDF

한반도 근해의 해류와 해수특성 -III. 한국 동해 중부 극전선역에 출현하는 수괴의 화학적 특성- (A Study on Sea Water and Ocean Current in the Sea Adjacent to Korea Peninsula -III. Chemical Characteristics of Water Masses in the Polar Front Area of the Central Korean East Sea-)

  • 양한섭;김성수;강창근;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85-192
    • /
    • 1991
  • 동해 중부 극전선역에 있어서 동계와 하계에 각종 수괴의 수직분포특성과 이 수괴들의 화학적성 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계의 경우, 수온약층은 북쪽 바깥 정점들이 남쪽 연안 정점들에 비해 더 깊은 수층에 존재하고, 이 약층의 상부에는 대마난류수가, 하부수층에는 동해고유수가 분포하고 있다. 그러나, 하계에는 수직적으로 대마난류 표층수, 중층수, 북한한류수 및 동해고유수가 분포하고, 동해고유수는 동계보다 다소 상부수층에 존재한다. 하계에 T-S diagram으로는 북한한류수 계통의 수괴, 대마난류 중층수 및 동해고유수의 혼합수를 구분할 수 없었으나, $T-O_2$ diagram으로는 구분이 가능했다. 한편, 동계 수온과 AOU는 좋은 역의 직선 관계를 보이며, AOU의 수직분포는 생물$\cdot$화학적과정보다는 주로 물리적 혼합과정에 의해 결정됨을 시사한다. 하계에는 대마난류 표층수에서 AOU값이 가장 낮고, 동해고유수에서 가장 높으며, 북한한류수 및 대마난류 중층수의 AOU값은 위 두수괴 사이의 값을 보인다. 그러나, 북한한류수괴의 해수는 대마난류 중층수보다 용존산소 농도가 약 1-2ml/l 높은데도, 이 두수괴의 생물$\cdot$화학적 산소요구량(AOU)은 비슷하였다. 일반외양수의 경우와 같이, 인산소은 AOU와 정의 직선관계이지만, 그 기울기 $(\Delta P/\Delta AOU)$ 값은 외양역의 $1/3\mu g-at/ml$ 보다 다소 작으며, 이는 표충수중 용존산소가 아래충으로 분자확산되어 AOU값이 낮아지기 매문이라고 생각된다. 특히, 하계 100m 이심충에서는 그 비값이 $l/2.0 \mu g-at/ml$ 으로 훨씬 낮으며, 그 이유는 비교적 낮은 AOU값을 보이는 북한한류계통의 해수가 중층(100-200m)에 나타나기 때문이다. 한편, 질산염과 인산소은 동$\cdot$ 하계 모두 전 정점에 대해 상관 계수 r=0.93 이상으로 좋은 정의 직선관계를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