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T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8초

La 개질을 통한 Ni-rich LiNi0.9Co0.05Mn0.05O2 양극재의 고도로 안정화된 미세구조 및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 (Highly stabilized microstructure and excellent electrochemical performances of Ni-rich LiNi0.9Co0.05Mn0.05O2 cathode via La modification)

  • 이승환
    • 산업기술연구
    • /
    • 제42권1호
    • /
    • pp.1-5
    • /
    • 2022
  • Although the mileage of electric vehicles can be increased based on the excellent energy density of the LiNi0.9Co0.05Mn0.05O2, it is known that the reason for limiting its use is the low lifespan and poor surface stability due to the structural deformation of the LiNi0.9Co0.05Mn0.05O2. To improv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LiNi0.9Co0.05Mn0.05O2, electrochemical performance is improved by La coating on the surface. La-modified LiNi0.9Co0.05Mn0.05O2 shows an initial capacity of 210.6 mAh/g, a capacity retention rate of 89.9 % after 50 cycles, and a retention rate of 52.5% at 6.0 C. These are superior performances than the pristine sample, becaus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LiNi0.9Co0.05Mn0.05O2 cathode is improved by the La coating.

기업의 국제화와 신 정보통신기술의 역할: 중국 Haier 기업을 사례로 (The Role of Ne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Firms: A Case Study of Haier)

  • Liu, Shuguang;Liu, Weido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00-412
    • /
    • 2003
  • 신 정보통신기술(ICTs)이 기업의 비즈니스 처리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는 점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의 내부자원 관리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ERP(enterprise resources planning)와 BPR(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 활용. 공급 연줄망을 통합하기 위한 기업-기업간 e-com의 적용. 그리고 기업-고객간 e-com과 같이 새로운 마켓팅 통로의 창출 등을 들 수 있다. 기업들은 이러한 새로운 방식의 비즈니스가 기업의 생산성 증대 및 개래비용의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고 확신한다. 그 결과. 신 ICTs는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많은 소규모 기업들의 최근 성장과 국제화를 통한 공간적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Haier 기업을 사례로 기업의 성장과정에 신 ICTs가 끼친 역할을 살펴본 것이다. Haier 기업은 1990년부터 2002년 시기에 초국적 기업으로 성장했는데, 그 배경으로 신 ICTs의 채택과 관련하여 기업의 국제화 과정을 연구한 것이다. 연구결과, Haier 기업의 신 ICTs의 채택은 세계 여러 지역에 위치한 기능체의 통합에 기여했으며. 이는 기업의 국제화에 필수적인 적기생산과 배달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광범위한 지역의 공급자와 구매자를 가깝게 연계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Haier 기업은 신 ICTs를 활용함으로써 10년 이내에 초국적기업으로 성장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6시그마 개념을 도입한 건설공사의 성과향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n the method to improve performance in construction process by applying Six-Sigma Principle)

  • 류호동;진경호;한승헌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353-358
    • /
    • 2003
  • 최근 건설공사의 효율화 및 생산성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린건설 및 JIT등의 혁신적인 프로세스 개선기법 등이 도입되고 입다. 하지만, 일회적이고 장기성을 갖는 건설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였을 때 건설공사의 효율화에 대한 개념 및 활용대상이 개개인의 시각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으며 세부작업단위의 효율화에 대한 목표 및 개선수준의 설정도 구체성이 미흡하여 그동안 연구되었던 효율화 기법의 성과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공사의 효율화를 쥐해서는 세부단위작업별로 달성목표를 정량화하여 프로세스 개선활동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목표아래 최근 제조업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는 전사적인 경영혁신기법인 6시그마 활동을 건설공사 효율화개념에 접목시킴으로서 건설공사 프로세스 개선 및 생산성향상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프로세스 개선기법들을 비교 고찰하고 6시그마 개념 적용의 당위성과 건설공사의 6시그마 적용을 위한 기본 추진전략을 제시한다. 아울러, 표준적인 세부단위작업 사례분석을 통해 6시그마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프로세스를 개선해 봄으로써, 건설자원 등의 버퍼(buffer) 관리 등에 있어서 개선목표 설정을 시그마 개념에 기반하여 제시하고 이러한 시그마 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설공사의 성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 PDF

항만의 성공적인 글로벌 공급사슬 전략 - 두바이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 (Port's Successful Global Supply Chain Strategies - Focusing on the case of Dubai port -)

  • 한철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5-192
    • /
    • 2008
  • 기업경영의 글로벌화와 JIT 시스템의 보편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전체 공급사슬에 있어서 효율성과 신축성 제고를 요구하고 있다. 이 같은 환경변화는 항만의 경쟁전략에 있어서도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즉 글로벌 공급사슬 확대에 따라 항만의 경쟁력은 과거 입지, 시설, 운영효율성 등과 같은 내부적 요인들뿐만 아니라 항만이 공급사슬에 어느 정도 착근되어 있고, 공급사슬상에서 얼마나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 같은 공급사슬로부터 어떻게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여부에 달려 있다. 본 논문은 항만이 경쟁입지 강화를 위해 공급사슬에 항만이 통합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역항만공사에서 글로벌터미널운영업체로 전환한 중동의 허브항만인 두바이항의 사례를 검토함으로써 광양항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두바이항은 먼저 제벨알리항과 제벨알리자유무역지대를 클러스터화함으로써 글로벌 공급사슬에 성공적으로 편입한 이후, 항만과 항만관련사업들을 통합함으로써 항만개발, 관리, 운영에 있어서 신속한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함과 동시에 고객들에게 원스톱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어 두바이항은 인근지역 항만에 대한 개발 및 운영권을 보유함으로써 잠재적 경쟁자들을 제거하는 동시에 글로벌 항만운영업체들을 인수 합병함으로써 지역항만운영업체에서 글로벌항만운영회사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이 같은 두바이항의 성공적인 글로벌 공급사슬전략은 국내 항만 특히 신생항만으로서 배후지역이 활성화되어 있지 못한 광양항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광양항은 인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GYFEZ)과의 상호공생관계를 십분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같은 항만과 배후경제권과의 연계(Port-FEZ bundle)를 통해 광양항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 성공적으로 편입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신속한 의사결정과 고객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간 통합운영방안을 적극 고려해 볼만하다. 마지막으로 국내외항만의 거센 도전에 직면해 있는 광양항으로서는 보다 공격적인 공급사슬전략을 추진해 나가야 하며 이를 위해 중국, 일본 중소형 항만과의 항만얼라이언스를 통해 역내 항만네트워크상에서의 우위를 점해 나가야 할 것이다.

  • PDF

전자무역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 제3자물류 발전방안 (The Development Scheme of Domestic Third Party Logistics for Revitalization of Electronic Trade)

  • 차순권;장흥훈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74
    • /
    • 2008
  • 최근 $20{\sim}30$년 동안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이를 활용한 전자상거래의 빠른 확산은 국제상거래인 무역 역시 전자적인 방식으로 거래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로 인해 추후 국제간 거래에 있어 전통적인 대규모 거래방식이 아닌 전자무역사이트를 이용한 소량 다빈도 거래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무역거래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고 이를 활성화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국내 제3자물류 산업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국제 제3자물류산업의 그 자체에 대한 발전방향만을 제시하고 있으나, 본 논문에서는 전자무역과 연계한 국제 3자물류산업의 발전방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자무역과 제3자물류에 대한 개념과 관련성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제3자물류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자무역과 관련하여 국내 제3자 물류의 문제점은 경영자의 인식부족, 물류비의 비중과다, 마케팅차원의 고려 부족, 전자상거래와 연계한 통합물류서비스 시스템의 미비, 전문인력 부족, 중소기업 상호간 물류공동망의 부족, 전문물류회사의 영세성, 물류관련 법규의 복잡, 물류기업간 담합 등으로 나타났다. 국내 제3자물류의 발전방안은 정부차원에서 법 제도의 정비,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재정적 기술적 인프라 확대 지원, 보안 및 인증시스템 구축, 물류거래알선사이트의 활성화, 세제지원, 전문인력 양성 체계 확립 등이 있다. 기업차원의 물류발전방안으로는 혁신적 물류시스템과 연계한 통합물류정보시스템의 구축, 전자거래사이트에 연계한 원스톱 물류서비스 제공, 선진 3자물류 기술적 노하우 축적, 문전운송체계 실현, 전반적 거래진단 시스템 구비, 전략적 제휴를 통한 국제경쟁력 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상과 같이 국제 제3자물류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국제무역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소량다빈도 형태의 전자무역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 PDF

부산지역 종합병원의 물자관리 및 담당자 실태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materials management and administrative personal of the general hospitals in Busan)

  • 류황건;김승기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63-83
    • /
    • 2002
  • This study is to survey the materials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statu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opinions of the staff in charge of purchasing and inventory of the general hospitals in Busan area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rationalization of its management through the grasp of actual situation and the presentation of desirable improvement plan for the materials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The status of medical institute had been surveyed by the purchasing/ administration managers of total 26 general hospitals, and the purchasing/ management questionnaires had been commenced with 86 staff of the 26 hospitals. Its major survey results, after the analysis of 24 medical institute statuses (return rate of 92.30%) and 60 staff questionnaires (return rate of 69.76%), are as follows. First, post-purchasing evaluation system is not used actively, orders are being placed by phone or fax, and general merchandise is being purchased through free contracts in most of the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Second, as per the materials supplying methods, the requisition and delivery system is currently the most popular in the hospitals surveyed, however, both the requisition and delivery system and the par level transfer system are the most desired in the hospitals of more than 500 beds, and the par level transfer system is the most desired in the hospitals under 500 beds for the materials supplying system in the future. Third, as per the inventory management system that is desired the most in the future, the SPD and JIT types are preferred in the hospitals of more than 500 beds, the stockless strategy is preferred in the hospitals under 500 beds, the senior staff above section chief grade prefer the stockless strategy, and the junior staff prefer the ABC classification and SPD types. Fourth, The necessity of purchasing staff's training for the materials management is highly recognized but the effectiveness is not so much acknowledged, which is because such a training is thought to be so superficial and formal that it is not helpful much in the actual field. When summarizing the survey results as above, the materials purchasing and management system is differed for each group of hospitals according to the size of beds, and the more scientific management system is largely required by the general hospitals in Busan city. They also hope the introduction of joint purchasing system, materials management by the bar-code system, and positive execution of the market survey and training of the relevant staff for the management of purchasing affairs. So the more systematic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is regarded to be necessar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cientific and specialized education of materials management, market survey, and post-purchasing evaluation system also through the computerization of materials purchasing and inventory management as soon as possible.

  • PDF

작업관련성을 고려한 U라인 밸런싱+

  • 김우열;김용주;김동묵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3-80
    • /
    • 2002
  • 본 연구는 U자형 생산라인(U라인)에서의 라인밸런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유전알고리즘을 제시한다. U라인에서는 사이클 타임 내에 제품이 들어가는 방향과 나오는 방향의 작업을 한 작업자가 수행 할 수 있어서, 재공품 수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거나 작업부하를 평활화 하는 등의 라인관리가 기존 직선라인에 비해 용이하다. U라인은 JIT(Just-ln-Time)생산 시스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U라인에서 사이클 타임이 고정되었을 때 작업장 또는 작업자의 수를 최소로 하면서 동시에 작업장에 할당된 작업들 간의 관련성을 최대화하는 라인밸런싱 문제를 다루었다. 라인밸런싱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직선라인에 관한 것으로 U라인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한다. 특히, 라인의 작업장의 수를 최소화하는 문제는 많은 대안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업관련성을 고려하여 해를 구하는 기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실정이다. 실제 조립라인에서는 가능한 한 관련된 작업들을 동일한 작업자에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작업편성은 작업자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전알고리즘은 자연계의 적자생존과 생물학적 진화과정을 모방한 탐색기법으로 조합최적화 문제에 효과적인 기법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하여 U라인에서 작업관련성을 고려한 라인밸런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을 개발하였다. 문제의 목적에 적합한 개체의 평가함수가 제시되었으며, 개체의 형질을 효과적으로 자손에 유전할 수 있고 유전 연산이 용이한 개체의 표현방법과 개체의 해석방법이 제시되었다. 컴퓨터 실험을 통하여 개발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보였다.월 초순부터 중순에 각각 최고 성기를 나타내었다. H. papariensis의 암컷과 수컷의 발광양상을 분석하고자 정지발광과 구애 발광을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각각의 발광지속시간과 발광주기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수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2초)보다 구애발광(0.17초)에서 1.4배 증가하였으며 암컷의 발광지속시간은 정지발광(0.15초)보다 구애발광(0.19초)에서 1.5배 증가하였다. 발광주기는 수컷에서 정지발광(1.26초)보다 구애발광(1.12초)에서 0.88배 감소하였고, 암컷에서 정지발광(2.99초)보다 구애발광(1.06초)에서 0.35배 감소하였다. 발광양상에서 발광주파수는 수짓의 정지발광에서 0.8 Hz, 수컷 구애발광에서 0.9 Hz, 암컷의 정지발광에서 0.3 Hz, 암컷의 구애발광에서 0.9 Hz로 각각 나타났다. H. papariensis의 발광파장영역은 400 nm에서 700 nm에 이르는 모든 영역에서 확인되었으며 가장 높은 첨두치는 600 nm에 있고 500에서 600 nm 사이의 파장대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발광양상과 어우러진 교미행동은 Hp system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채널 액세스 확률을 각 슬롯에서 예약상태에 있는 음성 단말의 수뿐만 아니라 각 슬롯에서 예약을 하려고 하는 단말의 수에 기초하여 산출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새로 제안된 채널 허용 확률을 산출하는 방식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보다 상당한 성능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인삼이 성장될 때 부분적인 영양상태의 불충분이나 기후 등에 따른 영향을

  • PDF

프리팹 교량 거더 (노듈러 거더)의 적시 시공을 위한 공기-비용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ime-Cost Trade-Off Algorithm for JIT System of Prefabricated Girder Bridges (Nodular GIrder))

  • 김대영;정태원;김량균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12-19
    • /
    • 2023
  • 건설업의 경우 공사기간 내에 최소한의 수수료로 완제품을 인도할 수 있도록 공정과 원가의 관계를 적절히 분배해야 한다. 이때 교량의 크기, 공법, 공장의 환경과 생산능력, 운송거리 등을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공사기간 중 발생하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공사지연, 공사비 상승, 품질 및 신뢰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시공기술과 공정관리 기술이 필요하다. 프리팹(Pre - Fabrication)은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시공하는 대표적 OSC(Off-Site Construcation)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프리팹 교량 거더인 Nodular 거더의 공정관리를 위한 자원 및 공정계획 최적화 시스템 개발이다. 인력, 장비 동원 계획의 다양한 변수를 자동으로 테스트하여 최적의 값을 도출하는 시뮬레이션 알고리즘을 개발한다. 그리고, 건설 중인 파주-포천 고속도로 건설공사(3공구) 도하 4교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그 결과를 비교한다. 건설공사 표준품셈을 근거로 액티비티 카드에 실제 투입된 인력, 장비 종류, 수량 등을 적용하고, 작업량, 자원계획, 자원소요량을 반영했다. 향후 다양한 현장 데이터를 포함한 예측기법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정확도를 높일 계획이다.

6시그마 개념을 도입한 건설공사 생산성 향상에 관한 연구 (Six-sigma Based Approach to Improve Productivity for Construction Processes and Operations)

  • 한승헌;류호동;채명진;임건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4D호
    • /
    • pp.649-659
    • /
    • 2006
  • 일회적이고 장기성을 갖는 건설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하면 건설공사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개념 및 활용대상이 개개인의 시각에 따라 다양해 질 수밖에 없다. 또한 세부작업단위의 생산성 향상에 대한 목표 및 개선수준의 설정도 구체성이 미흡하여 그 동안 연구되었던 린건설, JIT(Just-In-Time) 등 생산성 향상 기법의 성과가 가시화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어 왔다. 건설공사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세부 단위 작업 별로 달성목표를 정량화하여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펼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와 같은 목표아래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제조업분야에서 전개되고 있는 전사적인 경영혁신기법인 6시그마 활동을 건설공사 생산성개념에 접목시킴으로써 건설공사 프로세스 개선 및 생산성향상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세부단위작업 사례분석을 통해 6시그마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프로세스를 개선해 봄으로써, 건설자원 등의 변이(variation) 및 버퍼(buffer) 관리 등에 있어서 개선 목표의 설정 및 성과측정 등에 시그마 개념이 활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시그마 수준의 향상에 따라 건설공사의 성과가 향상될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