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2EE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4초

Antimelanogenesis and skin-protective activities of Panax ginseng calyx ethanol extract

  • Lee, Jeong-Oog;Kim, Eunji;Kim, Ji Hye;Hong, Yo Han;Kim, Han Gyung;Jeong, Deok;Kim, Juewon;Kim, Su Hwan;Park, Chanwoong;Seo, Dae Bang;Son, Young-Jin;Han, Sang Yun;Cho, Jae You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3호
    • /
    • pp.389-399
    • /
    • 2018
  • Background: The antioxidant effects of Panax ginseng have been reported in several article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skin-protective effect, and cellular mechanism of Panax ginseng, especially of P. ginseng calyx. To understand how an ethanol extract of P. ginseng berry calyx (Pg-C-EE) exerts skin-protective effects, we studied its activities in activated melanocyte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keratinocytes. Methods: To confirm the antimelanogenesis effect of Pg-C-EE, we analyz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and messenger 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related genes. Ultraviolet B (UVB)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were used to induce cell damage by ROS generation. To examine whether this damage is inhibited by Pg-C-EE, we performed cell viability assays and gene expression and transcriptional activation analyses. Results: Pg-C-EE inhibited melanin synthesis and secretion by blocking activator protein 1 regulatory enzymes such as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ERKs),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Pg-C-EE also suppressed ROS generation induced by $H_2O_2$ and UVB. Treatment with Pg-C-EE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hyaluronidases and increased the cell survival rate.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C-EE may have antimelanogenesis properties and skin-protective properties through regulation of activator protein 1 and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 response element-binding protein signaling. Pg-C-EE may be used as a skin-improving agent, with moisture retention and whitening effects.

Evaluation of Energy Digestibility and Prediction of Digestible and Metabolizable Energy from Chemical Composition of Different Cottonseed Meal Sources Fed to Growing Pigs

  • Li, J.T.;Li, D.F.;Zang, J.J.;Yang, W.J.;Zhang, W.J.;Zhang, L.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5권10호
    • /
    • pp.1430-1438
    • /
    • 2012
  • The presen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gestible energy (DE), metabolizable energy (ME) content, and the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energy in growing pigs fed diets containing one of ten cottonseed meals (CSM) collected from different provinces of China and to develop in vitro prediction equations for DE and ME content from chemical composition of the CSM samples. Twelve growing barrows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35.2{\pm}1.7$ kg were allotted to two $6{\times}6$ Latin square designs, with six barrows and six periods and six diets for each. A corn-dehulled soybean meal diet was used as the basal diet, and the other ten diets were formulated with corn, dehulled soybean meal and 19.20% CSM. The DE, ME and ATTD of gross energy among different CSM sources varied largely and ranged from 1,856 to 2,730 kcal/kg dry matter (DM), 1,778 to 2,534 kcal/kg DM, and 42.08 to 60.47%, respectively. Several chemical parameters were identified to predict the DE and ME values of CSM, and the accuracy of prediction models were also tested. The best fit equations were: DE, kcal/kg DM = 670.14+31.12 CP+659.15 EE with $R^2$ = 0.82, RSD = 172.02, p<0.05; and ME, kcal/kg DM = 843.98+25.03 CP+673.97 EE with $R^2$ = 0.84, RSD = 144.79, p<0.0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 ME values and ATTD of gross energy varied substantially among different CSM sources, and that some prediction equations can be applied to predict DE and ME in CSM with an acceptable accuracy.

임베디드 시스템의 자바 가속 기술 (Java Acceleration Technology on Embedded System)

  • 박준석;김명규;한동원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8권2호통권80호
    • /
    • pp.1-10
    • /
    • 2003
  • 자바 애플리케이션의 이식성을 보장해주는 ‘WORA’ 모델을 실현하기 위해서 바이트코드에 기반한 자바는 바이트코드 인터프리터를 포함하는 구조적 한계로 인해 성능상의 문제를 갖고 있다. 최근에 서버에서 정보가전에 이르기까지 자바 기술을 확산시키기 위해 자바는 J2EE, J2SE, J2ME의 3영역으로 나누어지고 셀룰러폰, PDA 등 스마트 핸드헬드 기기에는 J2M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데스크톱 PC의 고성능화와 다양한 가속 기술의 개발로 인해 성능 문제가 보완되어 수많은 자바 애플리케이션이 데스크톱 PC에서 개발되어 왔으나 CPU, 메모리, 전력 등 자원 제약적 특성을 갖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데스크톱 PC에 적용된 자바의 성능 향상 기술을 적용하기에 부적절하여 이에 적합한 새로운 자바 가속 기술이 개발되고있다. 본 고에서는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자바의 성능 향상을 위해 개발된 자바 가속 기술을 소프트웨어및 하드웨어 측면에서 살펴보고 대표적인 상용 기술에 대해 고찰하였다.

J2EE Enterprise System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n Web Application Framework of J2EE Enterprise System)

  • 이세환;남택진;김봉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0-583
    • /
    • 2006
  • 웹 애플리케이션은 복잡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 및 온라인 서비스의 바탕이 되는 플랫폼으로서 더욱 많이 사용되고 있다. 초기 JSP 분야에는 모델 1과 모델 2라는 두 가지 아키텍처 설계 용어가 등장한다. 이들 두 용어는 현재 JSP 분야 문서에는 언급되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웹 애플리케이션의 아키텍처 설계에는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정의 및 프레임워크 패턴, 설계시 고려사항 등을 토대로 컴포넌트가 실행되는 기반을 구성하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한다.

  • PDF

EJB 컴포넌트 기반 물류 Tracking 시스템 설계 (Design of e-logistics Tracking System based on EJB Components)

  • 이해원;최재언;하수철;이용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43-46
    • /
    • 2002
  • EJB는 분산 트랜잭션 기반의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아키덱처이며, J2EE 플랫폼을 위한 서버 측 컴포넌트로 비즈니스 로직을 표현한 핵심 기술이다. 본 논문은 거래정보 및 운송경로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EJB 컴포넌트 기반 물류 Tracking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이다.

  • PDF

MDA 기반 J2EE 시스템 구축

  • 류형규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448-453
    • /
    • 2002
  • ☆1990년대 Object Management Architecture(OMA)활동 초기10년간 Roadmap 제공(CORBA) 1997년 UML 표준작성 MOF, XMI, CWM 등의 기술 확장 ☆OMG의 향후 방향 →Model Driven Architecture MDA를 통한 OMG 플랫폼 기술완성(UML과 CORBA를 포함한) OMG의 proven, neutral, open standardization 프로세서 사용 OMG의 Vertical Market에 대한 직접적인 지원(Healthcare, finance, telecommunications, life sciences research, manufacturing등)(중략)

  • PDF

Rational PurifyPlus를 이용한 J2EE 테스팅

  • 손미향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2002년도 e-Biz World Conference
    • /
    • pp.470-472
    • /
    • 2002
  • 개발은 신속하게, 코드는 믿을 수 있게 개발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들 찾기 어려운 오류를 자동으로 찾게 함 성능의 병목부분을 표시 테스트 되지 않은 코드를 찾아 줌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툴 = Rational PurifyPlus Rational PurifyPlus는 하나의 패키지 형식으로 업계 최고의 세 가지 제품으로 구성 Rational Purify Rational Quantify Rational PureCoverage(중략)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Frame work for Application Server with Components

  • 김행곤;강전근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531-540
    • /
    • 2004
  • 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은 변화하는 다양한 이질적인 시스템간의 상호 운영성과 유지가 필수적이고, 사용자 측면의 변경 없이 비즈니스 환경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연성 및 기존 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재사용 성이 제공되어져야 한다. 따라서 웹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CBD(Component Based Development) 적용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자연스런 기술 및 방법론으로 기존의 설계, 구조, 유지보수의 문제점의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웹 분산 환경을 기반 한 웹 서비스를 동적으로 빠른 시간에 릴리즈 가능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 응용 서버 및 모바일 응용 서버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보안 프레임워크의 설계 및 구현과 관련된 컴포넌트를 식별하여 아키텍처에 맞게 계층화시키고, 기존의 UML을 기반으로 웹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하여 적용 가능한 모델링을 제시한다. 제안된 보안 프레임워크는 레거시 보안 시스템과의 연동, J2EE 보안 지원, JAAS 지원, Kerberos 지원 등 응용 서버 시스템들이 요구하는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하도록 컴포넌트화 특징을 가진다.

  • PDF

이형 분산 컴포넌트 플랫폼간 상호 운영성 보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heterogeneous Component Platform)

  • 장연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40-45
    • /
    • 2002
  • 급변하는 IT 환경에서 시스템의 재사용성을 높여 라이프타임을 증가시키고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져 왔다.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에서는 모듈에 기반한 아키텍처를 활용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모듈들은 단순히 호출 빈도를 높일 뿐, 성장이나 진화를 하지 못하는 한계 상황에 직면하게되었다. 객체지향 기법은 클래스들을 상속시키거나 메소드를 재정의 함으로써 시스템의 성장과 진화를 가능케 하여 구조적 프로그래밍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였다. 최근 CORBA. COM+와 EJB/J2EE 같은 분산 처리 기술과 객체 지향 기법이 융화되어 생성된 컴포넌트 아키텍처는 고도의 재사용성이나 라이프타임의 증가뿐만 아니라 플러그-앤-플레이(Plug-&-Play)도 지원한다. 그러나 이제 컴포넌트를 구축하는데 국한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컴포넌트 플랫폼간 연동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형의 컴포넌트 플랫폼간 상호 운영성 보장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웹 응용 서비스에서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적인 평가 기법 (Experimental Evaluation Method for Performance Analysis in Web Application Services)

  • 김남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69-75
    • /
    • 2016
  • 대화형 웹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은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수적인 이슈이다. 즉, 웹 요청 트랙픽이 일시적으로 급증할 경우, 서버의 CPU 여유 시간이 부족하게 되고 결국 요청의 응답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게 좋지 않은 경험을 유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J2EE 응용 서버에서 설정 가능한 파라미터인 스레드 풀과 데이터베이스 연결 풀의 크기가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또한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얻기 위해서 웹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적 평가 기법을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를 통해 성능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