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sue analysis

검색결과 4,340건 처리시간 0.04초

거시적 이슈 트래킹의 한계 극복을 위한 개인 관심 트래킹 방법론 (Individual Interests Tracking : Beyond Macro-level Issue Tracking)

  • 류신;김남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75-287
    • /
    • 2014
  • Recently, the volume of unstructured text data generated by various social media has been increasing rapidly; consequently, the use of text mining to support decision-making has also been growing. In particular, academia and industry are paying significant attention to topic analysis in order to discover the main issues from a large volume of text documents. Topic analysis can be regarded as static analysis because it analyzes a snapshot of the distribution of various issues. In contrast, some recent studies have attempted to perform dynamic issue tracking, which analyzes and traces issue trends during a predefined period. However, most traditional issue tracking methods have a common limitation : when a new period is included, topic analysis must be repeated for all the documents of the entire period, rather than being conducted only on the new documents of the added period. Additionally, traditional issue tracking methods do not concentrate on the transition of individuals' interests from certain issues to others, although the methods can illustrate macro-level issue trend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dividual interests tracking methodology to overcome the two limitations of traditional issue tracking methods. Our main goal is not to track macro-level issue trends but to analyze trends of individual interests flow. Further, our methodology has extensible characteristics because it analyzes only newly added documents when the period of analysis is extended. In this paper, we also analyze the results of applying our methodology to news articles and their access logs.

소비자 선호 이슈 및 R&D 관점에서의 다차원 이슈 클러스터링 (A Multi-Dimensional Issue Clustering from the Perspective Consumers' Interests and R&D)

  • 현윤진;김남규;조윤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7-249
    • /
    • 2015
  • The volume of unstructured text data generated by various social media has been increasing rapidly; therefore, use of text mining to support decision making has also been increasing. Especially, issue Clustering-determining a new relation with various issues through clustering-has gained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However, traditional issue clustering methods can onl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occurrence frequency of issue keywords in many documents. Therefore, an association between issues that have a low co-occurrence frequency cannot be discovered using traditional issue clustering methods, even if those issues are strongly related in other perspectives. Therefore, issue clustering that fits each of criteria needs to be performed by the perspective of analysis and the purpose of use. In this study, a multi-dimensional issue clustering is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issue clustering. We assert,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at issue clustering should be performed for a particular purpose. We analyze the results of applying our methodology to two specific perspectives on issue clustering, (i) consumers' interests, and (ii) related R&D terms.

환경쟁점분석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Ability)

  • 민은홍;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90-10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instruction on the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ability for grade 5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done through pre and post testing control group structur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grade 5 of I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were divided into 35 student test group and 54 student control group. Through studying references, the selection standard of appropriate environment issue and the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instructing objective. Conducted the environment issue instructing based on the selected environment issue and instructing objective. The classes were held in total of 6 sessions in the chapters related to class objective and class content within the curriculum. The pre and post testing was done using environment decision making ability test sheet which was reconstructed by myself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t-test. As a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 testing the students in test group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processes of problem recognition, evaluation of alternatives, behave planing (p<.001).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of environment decision making ability of pre and post test of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it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of alternatives(p<.00l). The environment issue analysis class has positive influence on the environment decision making abilities of the students but since the outcome of environment decision making ability is lower, there is a need for long term environment education plan and further studies to find whether the environment issues within the textbook is appropriate in the elementary student level, useful school aspect and the influence of environment issue analysis class on the change of values for individuals.

  • PDF

소셜 빅데이터분석을 통한 외국인근로자에 관한 국민 인식 분석과 정책적 함의 (Analysis of Public Perception and Policy Implications of Foreign Workers through Social Big Data analysis)

  • 하재빈;이도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 기법 중에 하나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소셜플랫폼에서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202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기준으로 '외국인근로자' 검색 키워드를 수집하여 빈도분석, TF-IDF 분석, 연결중심성 분석으로 상위 키워드 100개를 도출하고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Ucinet6.0과 Netdraw를 이용해 의미연결망을 분석하였으며, CONCOR 분석을 통해 외국인정책 이슈, 지역사회 이슈, 사업주 관점 이슈, 고용 이슈, 근로환경 이슈, 법적 이슈, 출입국 이슈, 인권 이슈로 8개 클로스터로 군집화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근로자 국민적 인식, 주요 이슈를 파악하였으며, 향후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계층 이원 네트워크를 활용한 사용자 관점의 이슈 클러스터링 (User-Perspective Issue Clustering Using Multi-Layered Two-Mode Network Analysis)

  • 김지은;김남규;조윤호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93-107
    • /
    • 2014
  • 대부분의 인터넷 쇼핑몰은 자사 고객의 관심 분야를 파악하고 이를 상품 추천에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고객이 회원 가입 시 직접 입력한 개인 정보는 신뢰하기가 어렵고, 고객의 구매 패턴을 통해 파악한 관심 분야 정보는 자사 사이트 내에 진입한 이후에만 보인 한정된 패턴이라는 측면에서 해당 고객의 다양한 관심분야를 제대로 나타낸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고객의 평소 인터넷 사용 기록을 통해 최근 방문 사이트들의 주제를 분석함으로써, 고객의 실제 관심 분야를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토픽 분석을 통해 각 사이트의 주제를 도출하고 도출된 주제를 다시 동시 방문자 관점에서 군집화 함으로써, 고객 관점에서 의미가 있는 상위 수준의 새로운 테마를 발굴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특징은 유사주제 중심의 군집화라는 기존 연구와는 달리 사용자 관점의 관심주제 중심 군집화라 할 수 있다. 향후 사용자 중심의 카테고리 설계를 비롯한 새로운 관점의 고객군 정의 등 보다 높은 차원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용자 관점의 이슈 군집화 과정은 크롤링, 토픽 분석, 액세스 패턴 분석, 네트워크 병합, 네트워크 변환 및 군집화와 같은 여섯 가지 주요단계로 구성되어있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과 소셜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활용한 비정형 텍스트를 기반으로한 빅데이터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였다. 제안 방법론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국내 최대 포털 뉴스 사이트의 방문자 2,177명의 1년간 방문 기록과 뉴스기사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기간별 이슈 매핑을 통한 이슈 생명주기 분석 방법론 (Analyzing the Issue Life Cycle by Mapping Inter-Period Issues)

  • 임명수;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4호
    • /
    • pp.25-41
    • /
    • 2014
  • 최근 스마트 기기를 통해 소셜미디어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어로 자주 입력되거나 다양한 소셜미디어에서 자주 언급되는 단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회적 이슈를 파악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다. 이처럼 다량의 텍스트를 통해 도출된 사회적 이슈의 기간별 추이를 비교하는 분석을 이슈 트래킹이라 한다. 하지만 기존의 이슈 트래킹은 두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적 방식의 이슈 트래킹은 전체 기간의 문서에 대해 일괄 토픽 분석을 실시하고 각 토픽의 기간별 분포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새로운 기간의 문서가 추가되었을 때 추가된 문서에 대해서만 분석을 추가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기간의 문서에 대한 분석을 다시 실시해야 한다는 실용성 측면의 한계를 갖고 있다. 둘째, 이슈는 끊임 없이 생성되고 소멸될 뿐 아니라, 때로는 하나의 이슈가 둘 이상의 이슈로 분화하고 둘 이상의 이슈가 하나로 통합되기도 한다. 즉, 이슈는 생성, 변화(병합, 분화), 그리고 소멸의 생명주기를 갖게 되는데, 전통적 이슈 트래킹은 이러한 이슈의 가변성을 다루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상 기간 전체의 문서를 한꺼번에 분석하는 방식이 아닌 세부 기간별 문서에 대해 독립적인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이슈가 생성되고 변화하며 소멸되는 전체 과정을 규명하였다. 또한 실제 인터넷 뉴스에 대해 제안 방법론을 적용함으로써, 제안 방법론의 실무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Reorganizing Social Issues from R&D Perspectiv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 Shun Wong, William Xiu;Kim, Namgyu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3호
    • /
    • pp.83-103
    • /
    • 2015
  • The rapid development of internet technologies and social media over the last few years has generated a huge amount of unstructured text data, which contains a great deal of valuable information and issues. Therefore, text mining-extracting meaningful information from unstructured text data-has gained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Topic analysis is a text mining application that is used to determine the main issues in a large volume of text document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dentify related issues or meaningful insights as the number of issues derived through topic analysis is too large. Furthermore, traditional issue-clustering methods can only be performed based on the co-occurrence frequency of issue keywords in many documents. Therefore, an association between issues that have a low co-occurrence frequency cannot be recognized using traditional issue-clustering methods, even if those issues are strongly related in other perspectives. Therefore, in this research, a methodology to reorganize social issues from a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erspectiv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is proposed. Using an R&D perspective lexicon, issues that consistently share the same R&D keywords can be further identified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In this study, the R&D keywords that are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issue imply the key technology elements that are needed to solve a particular issue. Issue clustering can then be perform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issues that share the same R&D keywords can be reorganized more systematically, by grouping them into clusters according to the R&D perspective lexicon. We expect that our methodology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efficient R&D investment policies at the national level by enhancing the reusability of R&D knowledge, based on issue clustering using the R&D perspective lexicon. In addition, business companies could also utilize the results by aligning the R&D with their business strategy plans, to help companies develop innovative products and new technologies that sustain innovative business models.

환경쟁점분석 수업이 중학생의 의사 결정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Instruction on the Decision Mak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 송선경;최돈형;백성혜;손연아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1호
    • /
    • pp.42-61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instruction on the decision making abil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A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employed. The participants for the research were 288 1st grade 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in Seoul, the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lesson group consisted of 142 members and the non-environmental education group consisted of 146 members.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concrete, transition, formal-as the result of GALT test. Students take issue analysis lessons during 6 weeks, one lesson per a week. Students had studied through worksheets reconstructed and developed by researcher on basis of issue analysis suggested by Ramsey et al. (1997).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followings: After lesson for environmental issue analysis, all of the students were improved in decision-making ability regardless of cognitive level (p<.05). Especially,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transition group students was improved to a high degree. Scores of searching relevant information, generation of alternatives, identification of values for selection criteria, the evaluation of alternatives' merits and demerits, prediction of consequence were in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p<.05). But the ability of selection of alternatives according to value was not reached statistically meaningful improvement. The decision-making ability of the control group students was not improved but ability of selection of alternatives, the evaluation of consequence were increased (p<.05).

  • PDF

비정형 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이슈의 동적 변이과정 고찰 (Investigating Dynamic Mutation Process of Issues Using Unstructured Text Analysis)

  • 임명수;김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8
    • /
    • 2016
  • 최근 가용한 텍스트 데이터 자원이 증가함에 따라 방대한 텍스트 분석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뉴스, 민원, 블로그, SNS 등을 통해 유통되는 글로부터 다양한 이슈를 발굴해내고 이들 이슈의 추이를 분석하는 이슈 트래킹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인 이슈 트래킹은 토픽 모델링을 통해 오랜 기간에 걸쳐 지속된 주요 이슈를 발굴한 후, 각 이슈를 구성하는 문서 수의 세부 기간별 분포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전통적 이슈 트래킹은 각 이슈를 구성하는 내용이 전체 기간에 걸쳐 변화 없이 유지된다는 가정 하에 수행되기 때문에, 다양한 세부 이슈가 서로 영향을 주며 생성, 병합, 분화, 소멸하는 이슈의 동적 변이과정을 나타내지 못한다. 또한 전체 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출현한 키워드만이 이슈 키워드로 도출되기 때문에, 핵실험, 이산가족 등 세부 기간의 분석에서는 매우 상이한 맥락으로 파악되는 구체적인 이슈가 오랜 기간의 분석에서는 북한이라는 큰 이슈에 함몰되어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각 세부 기간의 문서에 대한 독립적인 분석을 통해 세부 기간별 주요 이슈를 도출한 후, 각 이슈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이슈 흐름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각 문서의 카테고리 정보를 활용하여 카테고리간의 이슈 전이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총 53,739건의 신문 기사에 제안 방법론을 적용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통적인 이슈 트래킹을 통해 발굴한 주요 이슈의 세부 기간별 구성 내용을 살펴볼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이슈의 선행 이슈와 후행 이슈를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카테고리간 분석을 통해 단방향 전이와 양방향 전이의 흥미로운 패턴을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