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phthalic Acid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2초

感光性樹脂에 關한 硏究-Isophthalic acid-Cinnamic acid-Glycerine 系 縮重合物의 分子量에 關하여 (Studies on Photosensitive Resins.-Molecular Weight Determination of Isophthalic Acid-Cinnamic Acid-Glycerine Polycondensates)

  • 심정섭;이부섭
    • 대한화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4-98
    • /
    • 1962
  • The polycondensates of isophthalic acid-cinnamic acid-glycerine system were synthesized. The molecular weights of these products were determined by two methods, viscosity method and osmotic pressure methods. In the synthesis of resin, the reaction temperature was kept at 232$^{\circ}C$ and the mole ratio of the reactants was chosen as follows: Glycerine ;1.0 Isophthalic acid ;1.0 Cinnamic acid ;2.8 Excessive cinnamic acid prevented gelation of reaction mixtures. As the solution became very dilute, reduced osmotic pressure P/C (at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below 0.24g/100 ml of acetone) and reduced viscosity ${\eta}_{sp}/C$ (at the concentration of solution below 0.32 g/100 ml of acetone) increased rapidly. The correspondence between molecular weights determined by the two methods made Huggin's equation applicable to the prepared polymer. The values of K and a are $2.77{\times}10^{-5}$ and 1.063, respectively.

  • PDF

New Polyarylates Prepared from 2,5-Bis($\alpha$-phenylisopropyl)hydroquinone,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 진정일;유승주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6권1호
    • /
    • pp.17-21
    • /
    • 1995
  • A new series of polyarylate copolyesters were prepared by melt polycondensation of 1,4-diacetoxy-2,5-(α-phenylisopropyl)benzene with mixture of terephthalic acid and isophthalic acid in varying ratio. And their general properties such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rystalline melting temperature, crystallinity and solubility were studied. The intrinsic viscosity values of the present polymers measured in a mixed solvent of phenol/p-chlorophenol/1,1,2,2-tetrachloroethane ranged from 0.45 to 0.66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molecular weight. The copolyesters containing greater than 20 mole % of isophthalic acid were found to be amorphous, whereas the homopolymer derived from terephthalic acid was semicrystalline with a melting point of 414℃.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polymers ranged from 165 to 180℃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The copolyesters containing 50 mole % and greater of isophthalic acid moiety were soluble at room temperature in such common solvents as tetrahydrofuran, chloroform and N,N-dimethylformamide.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폴리우레탄의 합성과 구조분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tructure Aanalysis and Synthesis of Polyester Polyol & Polyurethane)

  • 진경호;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9권1호
    • /
    • pp.31-36
    • /
    • 2014
  • Sebacic acid, isophthalic acid, ethylene glycol, neopentyl glycol를 각각 1몰씩 사용하여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합성하였다. 합성된 폴리올의 수산기가는 56.6 mg KOH/g이고 분자량은 1,980 g/mole 이었다. 합성한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toluene diisocyanate와 쇄연장제로 ethylene glycol, 1,4-butandiol, 1,2-propylene glycol을 각각 넣고 폴리우레탄을 합성하였다. GPC로 측정한 3 가지 폴리우레탄의 분자량은 각각 5850, 6160, 6480 g/mole 이었다. FT-IR에 의한 구조분석에서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3600 $cm^{-1}$ 부근에서 -OH 기가 관찰되었고, 2950 $cm^{-1}$ 에서 sebacic acid의 -CH shoulder가 나타났으며, ester의 carbonyl group은 1730 $cm^{-1}$ 부근에서 나타났고, isophthalic acid의 benzene ring은 1600 $cm^{-1}$, 740 $cm^{-1}$에 관찰되었다. 폴리우레탄의 -OH 피크가 3600 $cm^{-1}$ 에서 나타났고, 3300 $cm^{-1}$ 부근과 1530 $cm^{-1}$ 에서 우레탄기 중의 -NH 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1H$ NMR에 의한 구조분석에서 폴리에스터 폴리올은 sebacic acid는 1.3, 1.5, 2.1 ppm에서, isophthalic acid는 7.3, 8.1, 8.7 ppm에서, ethylene glycol은 4.2 ppm에서, neopentyl glycol은 0.8, 3.2, 3.9 ppm에서 관찰되었다. 폴리우레탄의 경우에는 폴리에스터 폴리올과 유사하나 toluene diisocyanate의 도입에 의한 벤젠고리의 피크가 7 ppm에서 미약하게 나타났다.

Infinite 1-D and 3-D Nets with Two Different Zinc and Terbium Coordination Polymers.

  • 민동원;이연경;이순원
    • 한국결정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결정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연구발표회
    • /
    • pp.31-31
    • /
    • 2002
  • The hydrothermal reaction of Zn(NO₃)₂6H₂O with benzene-1,3-dicarboxylic acid (or isophthalic acid, 1,3-BDCH₂) and pyridine led to the formation of a 1-dimensional coordination polymer with the empirical formula of [Zn₄(1,3-BDC)₃(Py)₂(O/sup 2-/)] (1). On the other hand, the hydrothermal reaction of Tb(NO₃)₃5H₂O with benzene-1,3-dicarboxylic acid (or isophthalic acid, 1,3-BDCH₂) and pyridine gave a 3-D compound [Tb₃(1,3-BDC)₂(H₂O₃] (2). The structures of both compounds have been determined by X-ray diffraction. 1 crystallizes in the monoclinlc space group P2₁/n, a = 10.344(3) Å, b = 18.030(3) Å, c = 18.033(3) Å, = 90.46(2)°, V = 3363.1(13) ,ų, Z = 4. 2 crystallizes in the monoclinic space group C2/n, a = 22.253(5) Å, b = 18.672(4) Å, c = 11.5812 Å, = 101.40(2)°, V = 4717.3(21) ų, Z = 8.

  • PDF

테레프탈산 제조공정 중의 유기불순물 분석 (Analysis of Organic Impurities in Terephthalic Acid Manufacturing Process)

  • 김동범;차운오;곽규대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204-1208
    • /
    • 1996
  • 파라자일렌(p-xylene)을 산화반응시켜 테레프탈산(terephthatic acid)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주요 유기불순물을 효과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을 수립하였다. 이 제조공정 중에 발생하는 유기불순물은 매우 다양하나, 여기에서는 주로 benzoic acid, p-toluic acid, p-tolualdehyde, 4-carboxybenzaldehyde, 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trimellitic acid와 4-hydroxymethyl benzoic acid 등의 유기불순물을 분석하는데 촛점을 맞추었다. 이 유기물들은 공정 중의 모액이나 고체상태의 테레프탈산 입자에 존재하는데, 이들을 동시에 분석하기 위해 99% bis(trimethylsilyl)trifluoroacetamide와 1% trimethylchlorosilane의 내부표준용액과 pyridine의 혼합용액내에서 trimethylsilylation으로 시료를 전처리하고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상기한 유기물이 모두 성공적으로 분리되어 50분 이내에 정량분석할 수 있었다.

  • PDF

불포화 이소프탈산 폴리에스터 수지의 난연제 첨가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lame Retardants in Unsaturated Isophthalic Acid Polyester Resin)

  • 최원종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1-4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FRP용 모재수지로 사용되는 이소프탈산계 불포화폴리에스터 수지의 난 연제 첨가에 따른 연소특성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난연제로 수산화 알루미늄 ( (AHOHh), 삼산화 안티몬(Sb203), 알루미나 분말을 사용하였다. 난연제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수지의 경도값이 감소하였다. 수산화 알루미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연소속도가 감소되었다. 삼산화 안티몬을 추가로 소량(2.5 phr) 첨가할 때 잔유물의 생성량(char yield : : 31%)이 증가되고, 연소특성이 더욱 개선되었다. 결론적으로, 난연처리를 하지 않은 수지 의 경우 다량의 화염과 연기를 발생하며 격렬히 연소하였지만 난연처리하였을 경우 자기 소화성을 가지며 화염과 연기의 양이 상당히 줄어들게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H2O2 modification of H3PW12O40@carbon for m-xylene oxidation to isophthalic acid

  • Fang, Zhou-wen;Wen, Di;Wang, Zhi-hao;Long, Xiang-li
    •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 /
    • 제35권11호
    • /
    • pp.2172-2184
    • /
    • 2018
  • The production of isophthalic acid (IPA) from the oxidation of m-xylene (MX) by air is catalyzed by $H_3PW_{12}O_{40}$ (HPW) loaded on carbon and cobalt. We used $H_2O_2$ solution to oxidize the carbon to improve the catalytic activity of HPW@C catalyst. Experiments reveal that the best carbon sample is obtained by calcining the carbon at $700^{\circ}C$ for 4 h after being impregnated in the 3.75% $H_2O_2$ solution at $40^{\circ}C$ for 7 h. The surface characterization displays that the $H_2O_2$ modification leads to an increase in the acidic groups and a reduction in the basic groups on the carbon surface. The catalytic capability of the HPW@C catalyst depends on its surface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property. The acidic groups play a more important part than the physical property. The MX conversion after 180 min reaction acquired by the HPW@C catalysts prepared from the activated carbon modified in the best condition is 3.81% over that obtained by the HPW@C catalysts prepared from the original carbon. The IPA produced by the former is 46.2% over that produced by the latter.

세바식 산으로 중합된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원료로 사용한 폴리우레탄 접착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yurethane Adhesive Based Polyester Polyol Polymerized from Sebacic Acid)

  • 진경호;김민수;조을룡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8권3호
    • /
    • pp.190-19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피마자유 유래의 sebacic acid를 isophthalic acid 및 glycol과 병용하여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중합하고 이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접착력을 측정한 결과에서 sebacic acid를 병용한 폴리올이 adipic acid를 사용한 폴리올 보다 응집에너지가 커서 접착력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glycol은 선형구조 보다 메틸기를 포함하는 가지구조가 더 좋은 접착력을 보였다. 쇄연장제는 1,4-butane diol(BD)를 사용한 것이 가장 접착력이 좋게 나타났다. 또한 TGA 측정결과 내열성은 BD가 가장 높고, 1,2-propylene glycol(PG)가 다음, ethylene glycol(EG)가 가장 낮았다. DMA 측정에서 유리전이온도는 PG, EG, BD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가용성 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아세틸렌 말단기 함유 열경화성 수지의 복합화 연구 (Study on the Composites of Soluble Aromatic Liquid Crystalline Polyesters and Acetylene-terminated Thermoset Resins)

  • 조영곤;신레황;박민아;배진영
    • 폴리머
    • /
    • 제35권2호
    • /
    • pp.176-182
    • /
    • 2011
  • 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열방성 액정 중합체의 대표저인 예로 지금까지 구조-물성 관계가 많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 용매에 녹일 수 있는 가용성 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를 합성하고, 아세틸렌 말단기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와 복합화하여 제반 물성을 비교하였다. 가용성 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는 6-hydroxy-2-naphthoic acid, terephthalic acid, isophthalic acid 및 4-aminophenol을 단량체로 하여 에스테르 및 아미드 교환 반응에 기초로 한 축합 중합법을 이용하여 합성하였다. 아세틸렌 말단기를 갖는 열경화성 수지는 4-ethynylaniline과 terephthaloyl dichloride, isophthaloyl clichloride, 4,4'-biphenyldicarbonyl dichloride 등과 각각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가용성 방향족 액정 폴리에스테르와 열경화성 수지를 용액 블렌딩하고 열처리하여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복합체의 열적 안정성, 열팽창계수, 유전특성 등을 조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