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

검색결과 5,857건 처리시간 0.035초

Cyclic fatigue resistance, torsional resistance, and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of M3 Rotary and M3 Pro Gold NiTi files

  • Pedulla, Eugenio;Lo Savio, Fabio;La Rosa, Giusy Rita Maria;Miccoli, Gabriele;Bruno, Elena;Rapisarda, Silvia;Chang, Seok Woo;Rapisarda, Ernesto;La Rosa, Guido;Gambarini, Gianluca;Testarelli, Luca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3권2호
    • /
    • pp.25.1-25.10
    • /
    • 2018
  • Objectives: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3 Rotary and M3 Pro Gold files (United Dental). Materials and Methods: One hundred and sixty new M3 Rotary and M3 Pro Gold files (sizes 20/0.04 and 25/0.04) were used. Torque and angle of rotation at failure (n = 20) were measured according to ISO 3630-1. Cyclic fatigue resistance was tested by measuring the number of cycles to failure in an artificial stainless steel canal ($60^{\circ}$ angle of curvature and a 5-mm radius). The metallurgica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ata were analyzed using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Student-Newman-Keuls test. Results: Comparing the same size of the 2 different instruments, cyclic fatigue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3 Pro Gold files than in the M3 Rotary files (p < 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files in the maximum torque load, while a significantly higher angular rotation to fracture was observed for M3 Pro Gold (p < 0.05). In the DSC analysis, the M3 Pro Gold files showed one prominent peak on the heating curve and 2 prominent peaks on the cooling curve. In contrast, the M3 Rotary files showed 1 small peak on the heating curve and 1 small peak on the cooling curve. Conclusions: The M3 Pro Gold files showed greater flexibility and angular rotation than the M3 Rotary files, without decrement of their torque resistance. The superior flexibility of M3 Pro Gold files can be attributed to their martensite phase.

가교제의 종류가 천연고무 발포체의 팽윤거동에 미치는 효과 (Influence of the Type of Curing Agent on Swelling Behavior of Natural Rubber Foam)

  • 이환광;정태경;김성찬;김현기;최경만;김영민;한동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775-1781
    • /
    • 2008
  • 가교제의 종류가 헬리콥터 연료탱크의 자기밀폐층 소재로 적용시키기 위한 천연고무 스폰지의 팽윤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과산화물과 황을 섞은 가교방식과 과산화물에 의한 가교방식을 채택하였다. 천연고무 콤파운드를 Kneader와 Roll-Mill을 활용하여 제조하고, 고압조건의 프레스에서 부분 가교시킨 후 대기압의 금형에서 발포와 완전가교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스폰지의 겉보기밀도를 측정하고 스폰지의 셀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하였다. 톨루엔, 이소옥탄과 항공유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팽윤실험을 실시하였다. 용매에 2분 동안 침적 후 얻어지는 부피팽윤비 값은 과산화물 가교에 의한 천연고무 스폰지가 비슷한 양의 황과 과산화물의 혼합가교에 의한 경우보다 높았다. 스폰지의 겉보기밀도와 셀구조는 과산화물 함량에 매우 민감하였으며 이는 또한 천연고무 스폰지의 팽윤거동에 영향을 미쳤다. 천연고무 스폰지가 연료와 접촉하여 신속한 팽윤이 얻어지기 위하여 금형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두 가지 반응인 발포제의 분해반응과 천연고무의 가교반응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 ProTaperTM K-Flexofile 근관 성형시 근관의 만곡도에 따른 근관 형태 변화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CANAL CONFIGURATION AFTER SHAPING BY PROFILE, PROTAPERTM AND K-FLEXOFILE IN SIMULATED CANALS WITH DIFFERENT ANGLES OF CURVATURE)

  • 이보금;김동준;황윤찬;황인남;오원만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4호
    • /
    • pp.294-302
    • /
    • 2005
  • 본 연구는 ProFile, ProTaper 및 K-Flexofile로 근관 성형시 근관의 만곡도에 따라 근관의 형태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비교 분석하고자 시행되었다. ISO #15 finger spreader를 15도, 30도 및 45도로 만곡시키고 에폭시 레진으로 각각도의 근관을 갖는 30개의 근관 모형을 제작하였다. 근관의 길이는 18mm로 하였고 근관의 만곡은 근관의 입구로부터 10mm 부위에서 시작하도록 제작하였다. 근관 성형에는 엔진 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인 ProFile과 ProTaper, 수동형 stainless steel 파일인 K-Flexofile을 사용하였다. ProFile과 ProTaper는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크라운다운법으로 근관 성형하였고, K-Flexofile은 스텝백법으로 근관 성형하였다. 근첨부 성형은 #25파일 크기까지 시행하였다. 근관 성형 전 후 이미지를 스캐너를 이용하여 얻고 Photoshop 7.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중첩하였다.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근단 쪽에서부터 1, 2, 3, 4, 5, 6, 7, 8, 9및 10mm부위의 내 외측 폭경 변화와 총폭경 및 근관의 중심축에 대한 근관 변위을 측정하였다. 각 부위에서 내 외측 폭경과 총폭경 및 근관 변위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one-way ANOVA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각 기구간의 유의성 검정은 Scheffe's test로 사후 분석하였다. 또한 기구의 변형과 파절 여부를 평가한 결과 엔진 구동형 니켈-타이타늄 파일인 ProFile과 ProTaper를 사용하여 근관성형시 수동형 스테인레스 스틸 파일인 K-Flexofile에 비해 근관의 변위를 적게 유발하고 특히 ProFile이 근관 성형시 바람직한 기구임을 시사하였다.

Bacillus ginsengihumi sp. nov., a Novel Species Isolated from Soil of a Ginseng Field in Pocheon Province, South Korea

  • Ten Leonid N.;Im Wan-Taek;Baek Sang-Hoon;Lee, Jung-Sook;Oh, Hee-Mock;Lee, Sung-Tai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10호
    • /
    • pp.1554-1560
    • /
    • 2006
  • A Gram-positive, aerobic or facultative anaerobic, non motile, endospore-forming bacterial strain, designated Gsoil $114^T$, was isolated from a soil sample of a ginseng field in Pocheon Province (South Korea), and was characterized taxonomically by using a polyphasic approach. It grew well on nutrient agar medium and utilized a limited number of organic substrates as sole carbon sources, including D-xylose and some other carbohydrates, but did not utilize L-amino acids and organic acids. The isolate was positive for oxidase test but negative for catalase, and negative for degradation of macromolecules such as starch, cellulose, xylan, casein, chitin, and DNA. The G+C content of the genomic DNA was 41.8 mol%.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was menaquinone 7 (MK-7). The major fatty acids were $anteiso-C_{15:0}$ (32.1%), $iso-C_{15:0}$ (30.5%), and $anteiso-C_{17:0}$ (30.2%). Comparative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showed that strain Gsoil $114^T$ fell within the radiation of the cluster comprising Bacillus species and joined Bacillus shackletonii LMG $18435^T$ with a bootstrap value of 95%. The highest 16S rRNA gene sequence similarities were found with Bacillus shackletonii LMG $18435^T$ (97.6%), Bacillus acidicola DSM $14745^T$ (96.9%), Bacillus sporothermodurans DSM $10599^T$ (96.5%), and Bacillus oleronius DSM $9356^T$ (96.5%). The phylogenetic distance from any other validly described species within the genus Bacillus was less than 96%. DNA-DNA hybridization experiments showed that the DNA-similarities between strain Gsoil $114^T$ and closest phylogenetic neighbors were less than 39%. On the basis of its phenotypic properties and phylogenetic distinctiveness, strain Gsoil $114^T$ (=KCTC $13944^T$=DSMZ $18134^T$) was classified in the genus Bacillus as the type strain of a novel species, for which the name Bacillus ginsengihumi sp. nov. is proposed.

사용자 선호도 자동 학습 방법을 이용한 개인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어플리케이션 개발 (Personalized EPG Application using Automatic User Preference Learning Method)

  • 임정연;정현;강상길;김문철;강경옥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05-321
    • /
    • 2004
  • 디지털 방송의 시작과 함께, 지상파, 위성, 케이블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통한 다채널 방송 시청 환경의 도래는 사용자에게 많은 방송 프로그램 시청 정보를 전달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방송 단말에 전송된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정보를 탐색하고 선호 방송 프로그램을 선별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에게 많은 노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취향 및 자신이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정보에 자동적으로 근접할 수 있도록 하는 개인화된 방송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방송 시청 환경 하에서 사용자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히스토리를 분석하고, 특정 시간에 따른 사용자의 방송 프로그램 시청 패턴윽 추출하여 방송 프로그램 장르에 대한 사용자 선호도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MPEG-7 MDS 구조에 따른 사응자 선호토 서술과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추천하는 TV 프로그램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소개한다. 본 논룬의 실헐을 위해 AC Nielsen Korea에서 제공된 실제 연령대별, 성별, 시간대별로 사용자의 TV 시청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를 통해 본 논문에 제안된 베이시안 네트워크 기반 사용자 자동 학습 알고리즘이 효과적으로 사용자 선호도를 학습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EndoVac®과 EndoActivator®를 이용한 근관세척법의 Enterococcus faecalis 제거 효율 평가 (EVALUATION OF ENTEROCOCCUS FAECALIS REMOVAL EFFICACY OF THE ENDOVAC® AND ENDOACTIVATOR® INTRACANAL IRRIGATION METHODS)

  • 송승곤;박세희;조경모;김진우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390-396
    • /
    • 2009
  • 이 실험의 목적은 $EndoVac^{(R)}$$EndoActivator^{(R)}$를 이용한 근관세척시 근관 내 접종된 Enterococcus faecalis의 제거 효율을 기존의 irrigation needle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발거된 70개의 단근치를 사용하였으며 .04 taper ProFile #40까지 근관형성 후 치아를 멸균하고 근관에 E. faecalis를 접종하고 배양하였다. 치아는 근관세척 방법에 따라 20개씩 3개의 실험군과 2개의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2.5% 치아염소산나트륨을 사용하여 근관세척 시행 후 일차 표본을 채취하였고, 다시 근관 내에 배양액을 채우고 24시간 동안 배양 후 이차 표본을 채취하였다. 표본은 colony forming units (CFU) 값을 얻기 위해 BHI agar plate에 배양하였다. 일차 표본 결과에서는 모든 실험치아 중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을 이용한 하나의 근관에서 양성 배양을 보였다. 이차 표본 결과에서는 $EndoVac^{(R)}$ 실험군에서 가장 적은 양성 배양을 보였으며,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과 비교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EndoVac^{(R)}$은 근관 내 접종된 E. faecalis의 제거에 있어 기존의 근관세척 방법보다 더 좋은 효율을 보였다.

Molecular Analysis of Colonized Bacteria in a Human Newborn Infant Gut

  • Park Hee-Kyung;Shim Sung-Sub;Kim Su-Yung;Park Jae-Hong;Park Su-Eun;Kim Hak-Jung;Kang Byeong-Chul;Kim Cheol-Min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4호
    • /
    • pp.345-353
    • /
    • 2005
  • The complex ecosystem of intestinal micro flora is estimated to harbor approximately 400 different microbial species, mostly bacteria. However, studies on bacterial colonization have mostly been based on culturing methods, which only detect a small fraction of the whole microbiotic ecosystem of the gut. To clarify the initial acquisition and subsequent colonization of bacteria in an infant within the few days after birth,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16S rDNA sequences from the DNA iso-lated from feces on the 1st, 3rd, and 6th day. 16S r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with the amplicons of PCR conditions at 30 cycles and $50^{\circ}C$ annealing temperature. Nine independent libraries were produc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sets of primers (set A, set B, and set C) combined with three fecal samples for day 1, day 3, and day 6 of life. Approximately 220 clones ($76.7\%$) of all 325 isolated clones were characterized as known species, while other 105 clones ($32.3\%$) were characterized as unknown species. The library clone with set A universal primers amplifying 350 bp displayed increased diversity by days. Thus, set A primers were better suited for this type of molecular ecological analysis. On the first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Enterobacter, Lactococcus lactis, Leuconostoc citreum, and Streptococcus mitis were present. The largest taxonomic group was L. lactis. On the third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Enterobacter, Enterococcus faecalis, Escherichia coli, S. mitis,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were present. On the sixth day of the life of the infant, Citrobacter, Clostridium difficile, Enterobacter sp., Enterobacter cloacae, and E. coli were present. The largest taxonomic group was E. coli. These results showed that microbiotic diversity changes very rapidly in the few days after birth, and the acquisition of unculturable bacteria expanded rapidly after the third day.

덩굴마름병원균인 Didymella bryoniae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Optimal Culture Conditions of Brevibacillus sp. KMU-391 against Black Root Pathogens Caused by Didymella bryoniae)

  • 박성민;정혁준;김현수;유대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5-141
    • /
    • 2006
  • 덩굴마름병균인 Didymella bryoniae KACC 40669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Brevibacillus sp. KMU-391은 Russia의 Sanktpeterburg 지역의 토양 시료로부터 분리하였다.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은 D. bryoniae의 생육을 강하게 억제할 수 있었으며 TSB를 기본배지로 하여 탄소원으로 1.0% sucrose와 1.0%의 polypeptone을 첨가한 후 pH를 7.0으로 조정하여 $30^{\circ}C$에서 180 rpm으로 2일간 배양하였을 때 가장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배양액에 $30{\sim}60%$의 ammonium sulfate를 처리하여 Brevibacillus sp. KMU-391이 생산하는 항진균 물질을 회수한 후 D. bryoniae를 액체배양을 통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41%의 생육을 저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butanol을 이용하여 항잔균 물질을 회수한 후, 다양한 작물병원성 곰팡이를 대상으로 항진균 활성 spectrum을 조사한 결과 조사, 장미 잿빛곰팡이병, 잠두 붉은점무늬병, 고추 탄저병, 참외 탄저병, 수박 등의 박과작물의 덩굴마름병, 보리 질병, 토마토 시들음병, 글라디올러스 마른썩음병, 토마토 질병, 수박 덩굴쪼김병, 수박 질병, 사과나무 역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참외 줄기썩음병, 그리고 고추균핵병에 대하여 높은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Brevibacillus sp. KMU-391을 이용하여 작물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생물농약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콘칼로리미터와 가스유해성 시험법을 이용한 카페트류의 연소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urning Properties of Various Carpet Samples by using the Cone Calorimeter and Gas Toxicity Test)

  • 이봉우;권성필;이장원;이병호;김희수;김현중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PTT(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양모(wool), 그리고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5 종류의 카페트에 대한 연소거동을 열류량 $50kWm^2$의 콘 칼로리미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가스유해성 평가는 KS F 2271의 시험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콘 칼로리미터 실험결과 나일론 카페트는 쉽게 불이 붙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점화 정도 혹은 초기 가연성은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불의 세기인 열방출량은 폴리프로필렌 카페트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일론 카페트가 가장 높은 연기 발생량을 보인 반면, 나일론/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는 가장 낮은 가스 발생량을 나타냈다. 질량 감소율은 나일론/양모 >양모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PTT 카페트 순으로 나타났다. 연소 시 발생하는 유해성 가스인 일산화탄소의 경우 PTT에서 가장 많은 발생량을 보였으며, 나일론과 양모로 이루어진 카페트에서 가장 적은 양이 발생됐다.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은 폴리프로필렌이 가장 높았으며, 나일론/양모 카페트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다. 쥐의 행동정지시간을 통해 살펴 본 결과 카페트류의 가스유해성은 PTT 카페트가 가장 해로운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산 및 양식산 뱀장어, 복어, 가물치의 맛 성분에 대한 연구 (Comparison of The Taste Compounds of Wild and Cultured Eel, Puffer and Snake head)

  • 김희연;신재욱;심규창;박희옥;김현숙;김상무;조재선;장영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58-1067
    • /
    • 2000
  • In this study, eel, puffer and snake head fish, which are widely taken and highly valued for processing into baked fish, soup or fish juice were studied by classifying them into wild fish and cultured fish, and evaluated in terms of taste. The samples were gathered in the area including Kimhae, Samchonpo and Haman in Kyungsangnam-do, Kangsu-Gu in Pusan and Bukcheju-Gun in Cheju-do. Proximate compositions, the content of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tal and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of the fishes were analysed. Generally, as for the compositions, wild fish had a higher crude fat content and a lower moisture content as compared with cultured fish, while there was no great difference between them in terms of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cluding ATP, ADP, AMP, IMP, HxR, Hx were detected, and the amounts of which were nearly the same with respect to the growth conditions. IMP content was high in all of the samples, while ATP content was extremely low. Total 17 amino acids were detected from the samples, and most of the samples had high contents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glycine, alanine and arginine, and low contents of cystein, isoleucine and methionine. As for the other amino acids, generally same level of contents were detected for each samples. In cases of eel and snake head fish, the wild fish had higher total amino acid contents in comparison with cultured fish. And the result to the contrary was obtained for the case of puffer. Sample fishes had nearly the same compose distribution of free amino acid though the contents of which were a littl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amples. Each sample had high contents of taurine, hydroxyproline, glutamic acid, glycine, cystathionine, ${\beta}-aminoisobutyric$ acid and lysine. Total organic acid contents of cultured fish was higher than that of wild fish. All fishes commonly had high contents of lactic acid, iso-valeric acid, oxalic acid and fumaric acid. High levels of $C_{16:0},\;C_{16:1},\;C_{18:1(cis)},\;C_{18:3},\;and\;C_{22:6}$ were shown in all of the samples and ${\omega}-3$ poly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cultured fish was higher than that of wild fish, and as for the essential fatty acid, wild fish has higher content in comparison with cultured fi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