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rigation and Drainage

검색결과 1,104건 처리시간 0.019초

소규모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 -불갑천 하류의 충적지와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Area and Allurial Plain in Bulgap River Catchment in South Jeolla Province)

  • 강대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63-872
    • /
    • 2004
  • 서해안으로 유입하는 소규모의 하천은 충적지가 분포하는 구간에서는 거의 전역에 걸쳐서 조류의 작용을 강하게 받고 있다. 전라남도 영광군의 해안으로 유입하는 불갑천도 예외가 아니다. 불갑천 하류의 주요 지형은 충적지와 해안사구, 그리고 간석지이다. 이곳의 충적지는 간석지 퇴적물 위에 불갑천이 운반한 토사가 쌓여서 형성되었다. 충적지의 구성물질은 하천이 유역분지에서 운반하는 조립질의 풍화산물보다 창조류가 외해로부터 운반하는 미립물질의 비율이 해발고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불갑천 하류의 임해충적평야는 1920년대 후반부터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평야의 면적은 20세기 이후 계속 확대되었다. 불갑천 하구의 간석지가 방조제 건설과 함께 간척되어 해안선이 상당히 전진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해안사구가 농경지 사이에 갇혀버리고 말았다. 해안사구에는 대규모 사구취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논과 밭으로 개간되었다. 사구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곳에서만 곰솔이 자란다. 불갑천 하류에서는 밀려오는 뻘에 의해 퇴적층이 확대되어 왔으며 해안사구는 모래공급을 받지 못한 채 파괴되고 있다. 즉, 뻘은 쌓이고 모래는 깎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로 유입하는, 규모가 작은 하천의 하류부를 중심으로 퇴적층이 발달한 전라남도 영광군을 사례로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수리체계 의 파악이 충적지형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ICID 소식

  •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제41호
    • /
    • pp.13-14
    • /
    • 2009
  • PDF

KCID 소식

  •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제41호
    • /
    • pp.10-12
    • /
    • 2009
  • PDF

ICID 소식

  •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11호
    • /
    • pp.17-19
    • /
    • 1996
  • PDF

KCID 소식

  •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11호
    • /
    • pp.6-16
    • /
    • 1996
  • PDF

ICID 동정

  • 한국관개배수위원회
    • 한국관개배수회지
    • /
    • 1호
    • /
    • pp.8-9
    • /
    • 199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