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Area and Allurial Plain in Bulgap River Catchment in South Jeolla Province

소규모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 -불갑천 하류의 충적지와 해안사구를 중심으로-

  • 강대균 (충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Published : 2004.12.01

Abstract

The coastal alluvial plain, sand dune, tidal nat might be the most prominent coastal landscape in western coast of Kore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s of the alluvial plain in the tidal coast. This study is concerned on the geomorphological and cultural landscapes of the alluvial plain in the western coast of the South Jeolla Province. The alluvial deposits have developed mainly by the actions of tidal currents, rather than transporting sediments by stream. The transformation of plain has been affected by human agency since 1920's. Dwellers have constructed the reservoir, banks, dammed pools, lock gates, and tide-dykes for the reclamation, irrigation, and drainage on the alluvial plain, coastal sanddune, and tidal flats.

서해안으로 유입하는 소규모의 하천은 충적지가 분포하는 구간에서는 거의 전역에 걸쳐서 조류의 작용을 강하게 받고 있다. 전라남도 영광군의 해안으로 유입하는 불갑천도 예외가 아니다. 불갑천 하류의 주요 지형은 충적지와 해안사구, 그리고 간석지이다. 이곳의 충적지는 간석지 퇴적물 위에 불갑천이 운반한 토사가 쌓여서 형성되었다. 충적지의 구성물질은 하천이 유역분지에서 운반하는 조립질의 풍화산물보다 창조류가 외해로부터 운반하는 미립물질의 비율이 해발고도가 낮을수록 증가한다. 불갑천 하류의 임해충적평야는 1920년대 후반부터 근대적인 수리시설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개발되었다. 평야의 면적은 20세기 이후 계속 확대되었다. 불갑천 하구의 간석지가 방조제 건설과 함께 간척되어 해안선이 상당히 전진하였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해안사구가 농경지 사이에 갇혀버리고 말았다. 해안사구에는 대규모 사구취락이 형성되어 있으며 대부분 논과 밭으로 개간되었다. 사구의 보존상태가 양호한 곳에서만 곰솔이 자란다. 불갑천 하류에서는 밀려오는 뻘에 의해 퇴적층이 확대되어 왔으며 해안사구는 모래공급을 받지 못한 채 파괴되고 있다. 즉, 뻘은 쌓이고 모래는 깎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로 유입하는, 규모가 작은 하천의 하류부를 중심으로 퇴적층이 발달한 전라남도 영광군을 사례로 임해충적평야의 수리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수리체계 의 파악이 충적지형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대균, 2001, 충청남도의 해안사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강대균, 2004, '소하천 하류의 임해충적평야 -영광군의 불갑천을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 11(1), 41-51
  3. 권혁재, 1974,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址理學, 10, 1-12
  4. 권혁재, 1975, '호남평야의 충적지형에 관한 지리학적 연구,' 址理學, 12, 1-20
  5. 권혁재, 1977, '주문진-강릉간의 해안지형과 해빈 퇴적물질,' 교육논총, 7,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45-58
  6. 권혁재, 1981, '태안반도와 안면도의 해안지형,' 사대논집, 6, 고려대 사범대학, 261-287
  7. 권혁재, 1987, 한국지리, 법문사
  8. 권혁재, 1995, 한국지리(지방편), 법문사
  9. 영광군지개정판발간편찬위원회, 1998, 영광군지
  10. 이원환, 1991, 수문학, 문운당
  11. 정동준, 1998, 영일만 주변의 해빈지형 변화,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조화룡, 1987,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13. 최병철, 1972, 궁평리 해안의 지형발달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최성길. 김일종, 1987, '상맹방리 일대의 해안평야 지형 연구,' 址理學, 36, 1-12
  15. Carter, R. W. G., 1988, Coastal Environments, Academic Press, London
  16. Davies, J. L., 1977, Geographical Variation in Coastal Development, 2nd ed, Longman, London
  17. Duchaufeur, P., 1987, Pedology, Allen & Unwin, London
  18. Fetter, C. W. Jr., 1980, Applied Hydro-Geology, Bell & Howell Co., Columbus
  19. Reineck, H. E. and Singh, I. B. 1980, Depositional Sedimentary Environments, 2nd. ed., Springer-Verlag, Berl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