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on or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34초

생화광물(生化鑛物)과 우리 생활 (Biominerals and Our Livings)

  • 박정봉
    • 기술사
    • /
    • 제34권3호
    • /
    • pp.16-21
    • /
    • 2001
  • Biominerals are mean of biochemical mineralization and forming for ore depesits of limestone, iron, phosphate and energy minerals, etc . Our Country need in large quantity of biominerals, for example, about a hundred million ton of limestones, fifty million tons of iron ores, three million tons of phosphates, seven hundred million brrels of crude oil, eleven million ton of LNG and sixty million ton of coals per year.

  • PDF

부원료검정 robot system 구축 (Construction of the submaterials sampling robot system)

  • 김상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6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포항공과대학교, 포항; 24-26 Oct. 1996
    • /
    • pp.1288-1291
    • /
    • 1996
  • The submaterials are used for restoration of the impurities involved in iron ore. Robot system is constructed to measure the content of moisture in submaterials automatically, so we achieve the confidence of measuring work and the promotion of operation efficiency.

  • PDF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과 철강 수출량이 부정기선 운임지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hina Iron Ore Import, Steel Export Activity and Dry Bulk Index : Focus on Capesize C5/C10/C14 and Supramax S2/S3)

  • 전봉길;오진호;박근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15-13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과 철강제품 수출량 변동이 부정기선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철광석 수입량 및 철강제품 수출량과 기타 외생변수(선복량, 국제유가, 중국PMI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발틱운임지수(BDI) 및 중국 철광석 수입과 철강제품 수출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Capesize의 지수인 BCI, C5, C10, C14와 Supramax 지수 BSI, S2, S3를 종속변수로하여, 각 독립변수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은 C14 지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BDI, BCI, BSI, C5, C10, S2, S3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기타 외생변수로 선복량과 국제유가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중국 PMI지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철강제품 수출량은 BDI, BCI, BSI, C5, C10, C14, S2, S3, 국제유가와는 부(-)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철광석 수입량, 선복량, 중국PMI지수와는 관련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가설의 검증결과로써 중국 철광석 수입량과 선복량, 국제유가, 중국 PMI 지수 중 중국 PMI지수는 BDI, BCI, C5, C10, C14에 영항을 줄 것 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국제유가 및 선복량이 지수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중국 철강제품 수출량과 지수와의 가설검증에서는 BDI와 S3지수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BSI와 S2에 영향을 줄 것이란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에서 공통적으로 선복량과 유가는 모든 가설 검증 결과에서 채택된 만큼 국내 부정기 해운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관련 지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Mineralogical Analysis and Mechano-Chemical Purification of Natural Silica Ore for High Purity Silica Powder

  • Park, Jesik;Lee, Churl Kyoung;Lee, Hyun-Kwon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306-310
    • /
    • 2016
  • To produce 4N grade high-purity silica powder from natural ore, the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silica ore were investigated and their effects on the purification process were revealed. The Chinese silica mineral ore used was composed of iron and aluminum as main impurities and calcium, magnesium, potassium, sodium, and titanium as trace impurities; these trace impurities generally exist as either single oxides or complex oxides. It was confirmed that liberation and acidic washing of the impurities were highly dependent on the particle size of the ground silica ore and on its minera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distribution and phases of existing impurities. It is suggested that appropriate size reduction of silica ore should be realized for optimized purification according to the origin of the natural silica ore. A single step purification process, the mechano-chemical washing (MCW) process, was proposed and verifi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ulti step washing process.

신예미 광산 철광석의 볼밀 분쇄 및 단체분리 특성 연구 (Breakage and Liberation Characteristics of Iron Ore from Shinyemi Mine by Ball Mill)

  • 이돈우;권지회;김관호;조희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3호
    • /
    • pp.11-2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정선 신예미 광산 철광석을 대상으로 볼밀에 의한 분쇄 및 단체분리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력 선별을 통해 얻은 세 가지 품위의 시료에 대해, 볼밀 단일 입도 분쇄실험 및 비선형 계획법을 이용한 역산법으로 물질수지방정식을 구성하는 분쇄 함수 인자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철광석 품위의 증가에 따라 분쇄율은 감소하였으며, 입도 민감도는 감소하였다. 이는 철광석 내의 자철석 입자가 미소 균열의 전파를 지연하는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쇄 분포 관찰 결과, 품위가 증가할수록 압축 및 충격 파괴가 주된 파분쇄 메커니즘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입자 내부 자철석 입자의 응력 분산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 결과 단체분리도는 품위 증가 및 입도 감소에 따라 증가하였다. 분쇄함수와 입도-단체분리도 관계를 이용, 분쇄진행에 따른 단체분리도 변화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수립하였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분쇄함수들에 실제 운전 조건에 따른 스케일업 인자 적용 시, 실제 광산 공정에서의 분쇄시간에 따른 입도 및 단체분리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보(東寶) 중석(重石)-모리브덴 광상(鑛床)의 광물공생(鑛物共生)과 유체포유물(流體包有物) (Mineral Paragenesis and Fluid Inclusions of the Dongbo Tungsten-Molybdenum Deposits)

  • 박희인;문상호;배영부
    • 자원환경지질
    • /
    • 제18권4호
    • /
    • pp.331-342
    • /
    • 1985
  • The Dongbo tungsten-molybdenum deposits are fissure-filling veins emplaced in granites of late Cretaceous age. Integrated field, mineralogic and fluid inclusion studies were undertaken to illuminate the characters and origin of the ore deposits. Mineral paragenesis is complicated by repeated fracturing, but four distinct depositional stages can be recognized; (I) tungsten-molybdenum minerals-quartz-chlorite stage, (II) iron-oxide and sulfides-quartz stage, (III) iron -oxide-base metal sulfides-sulfosalts-quartz-carbonates stage, (IV) barren rhodochrosite-zeolite stage. Fluid inclusion studies were carried out for stage I quartz and stage III quartz, sphalerite and calcite. Fluid inclusion studies reveals highly systematic trends of homogeniz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throughout the mineralization. Ore fluids during stage I were complex, NaCl rich brine and salinity reached values as high as 34.4 weight percent equivalent NaCl, but the later ore fluids were more dilute and reached to 9.7 weight percent equivalent NaCl during stage III. Intermittent boiling of ore fluid during stage I is indicated by the fluid inclusions in stage I quartz. Depositional temperatures and pressures during stage I range from $520^{\circ}C$ to $265^{\circ}C$and from 600 to 400 bars. Homogenization temperatures of the stage III quartz, sphalerite and calcite range from $305^{\circ}C$ to $190^{\circ}C$. Fluid inclusion data from the Dongbo mine are nearly similar to those from other hydrothermal tungsten deposits in the Kyeongsang basin. Depositional temperature and salinity of ore fluids during precipitation of tungsten-molybdenum minerals in Dongbo mine were much higher, but $CO_2$ contents were much lower than those from hydrothermal tungsten-molybdenum deposits of late Cretaceous plutonic association in central parts of Korean peninsula.

  • PDF

소결 베드 연소 수치해석의 확장 - 가스 연료 주입 및 배가스 재순환 공정 적용 (Numerical Analysis of Sintering Bed Combustion; Applying Supplying Gaseous Fuel and Flue Gas Recirculation Processes)

  • 이영헌;양원;조병국;최상민
    • 한국연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연소학회 2012년도 제45회 KOSCO SYMPOSIUM 초록집
    • /
    • pp.9-13
    • /
    • 2012
  • In the iron ore sinter process, temperature distribution pattern in sintering bed is related with productivity and quality of sintered ore. Evenly heat distribution make the uniform quality of sintered ore but in normal operating condition, upper part of bed has lack of heat and scarce quality of sintered ore, thus yeild rate is decreased and productivity is diminished. Therefore, using the additional fuel for increasing quality and flue gas recirculation for increasing productivity are considered and effect of both processes are discussed.

  • PDF

3차원 모델링을 활용한 북한 무산광산일대의 자원량 및 생산량 추정 (3D Modeling Approaches in Estimation of Resource and Production of Musan Iron Mine, North Korea)

  • 배성지;유재형;고상모;허철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5호
    • /
    • pp.391-400
    • /
    • 2015
  • 남한은 철강의 수요나 생산에 비해 그 원료가 되는 철광석의 생산이 미약한 반면, 북한은 상당한 철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나 자원량에 비해 생산량이 극히 미진하다. 또한 북한의 폐쇄성으로 인해 북한의 자원에 대한 정보가 미비하고, 그 신뢰성에 의문이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 철광산 중 세계적인 노천광산으로 알려진 무산광산을 대상으로, Landsat MSS, ASTER 위성영상자료와 수치지형도를 통해 1976~2007년 사이의 자원량과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원격탐사를 통해 산정한 무산광산의 넓이는 1976년을 기준으로 총 약 $6.1km^2$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광산 내 채광지의 크기는 지도대수기법을 통해 $4.9km^2$로 산정되었다. 또한, 산정된 채광지 내 약 3.2억 $m^3$의 체적을 3차원 모델링을 이용하여 산출한 후, 무산광산과 동일한 암상으로 간주되는 중국 안산층의 철광석 평균밀도와 연산하여 약 7.3억 톤의 자원량과 약 2.4억 톤의 생산량을 추정하였다. 이 수치는 연 평균 810만 톤 수준의 생산량으로, 기존에 보고된 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상당한 일치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남북자원교류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용 고체 처리 공정 - 입자 반응 및 고정층 반응기 모델링 (Industrial Solids Processing Applications - Particle Reaction Models and Bed Reactor Models)

  • 안형준;최상민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7-35
    • /
    • 2017
  • This paper reviews the previous industrial solid bed process simulation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deling approaches to the particle reactions in the bed. Previous modeling studies on waste incinerator, iron ore sintering bed, blast furnace, iron ore pellet indurator, and biomass combustor can be seen on the common ground of unsteady 1-D modeling scheme. Approaches to the particle reaction modeling have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 status of solid particles in the bed, types of reaction progression in a particl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intra-particle temperature gradient.

삼화 철 광상의 Skarn 광물 (Skarn Minerals of Samhwa Iron Ore Deposit)

  • 지정만;장윤호;성일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27권5호
    • /
    • pp.423-440
    • /
    • 1994
  • The Samhwa iron ore deposit, which is of typical magnetite skarn type, is located in the Samhwadong area of Donghae city, Kangwon-do, Korea. Skarn minerals are mainly composed of garnet, clinopyroxene, vesuvianite, wollastonite and small amounts of epidote and quartz. The garnets are isotropic $(Ad_{92.82{\sim}98.37})$ or anisotropic andradite $(Ad_{45.30{\sim}75.85})$ and grossular $(Gr_{86.26{\sim}24.47})$, the clinopyroxenes are ferrosalite and salite, Homogenization temperature of gas rich two phase inclusions in garnet are $368{\sim}593^{\circ}C$, and salnities of polyphase inclusions in garnet have 33.9~68.4 equ. NaCl wt. %. Garnet grain often shows composional variation from its core to rim. In other words, Fe and Al contents in garnet vary inversely, which suggest that the variation depends upon $f_{o2}$ during skarn 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