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China Iron Ore Import, Steel Export Activity and Dry Bulk Index : Focus on Capesize C5/C10/C14 and Supramax S2/S3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과 철강 수출량이 부정기선 운임지수에 미치는 영향

  • 전봉길 (중앙대학교 해운물류학과) ;
  • 오진호 (중앙대학교 무역물류학) ;
  • 박근식 (중앙대학교 국제물류학과)
  • Received : 2020.09.01
  • Accepted : 2020.09.23
  • Published : 2020.09.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China's iron ore imports and exports on the tramper freight rate of China. The import volume of iron ore in China, the export volume of steel products in China, and exogenous variable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BDI, BCI, C5, C10, C14, BSI, S2, and S3.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hina's iron ore imports were not related to the remaining BDI, BCI, BSI, C5, C10, S2, and S3, except for the C14 index. Howev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hip's space and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it was not related to China's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The export volume of steel produc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BDI, BCI, BSI, C5, C10, C14, S2, S3, and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was not related to iron ore imports, ship space, and China's PMI. In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between China's iron ore imports and exogenous variables, China's PMI was rejected within the hypothesis. However, the hypothesis on international oil prices and ship space was adopted. In the verification of the hypothesis between China's steel export volume and exogenous variables, the hypothesis on BDI and the S3 index was adopted, and the hypothesis on BSI and S2 was rejected. I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hip space and oil prices were adopted in all the hypothesis results. Domestic companies participating in the tramper shipping market will need to be prepared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of related indicators.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과 철강제품 수출량 변동이 부정기선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국 철광석 수입량 및 철강제품 수출량과 기타 외생변수(선복량, 국제유가, 중국PMI지수)를 독립변수로 하고, 발틱운임지수(BDI) 및 중국 철광석 수입과 철강제품 수출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Capesize의 지수인 BCI, C5, C10, C14와 Supramax 지수 BSI, S2, S3를 종속변수로하여, 각 독립변수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상관분석결과 중국의 철광석 수입량은 C14 지수를 제외하고 나머지 BDI, BCI, BSI, C5, C10, S2, S3와는 관계가 없었으며, 기타 외생변수로 선복량과 국제유가와는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중국 PMI지수와는 관계가 없었다. 철강제품 수출량은 BDI, BCI, BSI, C5, C10, C14, S2, S3, 국제유가와는 부(-)상관 관계를 보였으며, 철광석 수입량, 선복량, 중국PMI지수와는 관련이 없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를 통해 도출된 가설의 검증결과로써 중국 철광석 수입량과 선복량, 국제유가, 중국 PMI 지수 중 중국 PMI지수는 BDI, BCI, C5, C10, C14에 영항을 줄 것 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국제유가 및 선복량이 지수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 채택되었다. 중국 철강제품 수출량과 지수와의 가설검증에서는 BDI와 S3지수에 영향을 줄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되었으며, BSI와 S2에 영향을 줄 것이란 가설은 기각되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에서 공통적으로 선복량과 유가는 모든 가설 검증 결과에서 채택된 만큼 국내 부정기 해운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국내 기업들은 관련 지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대응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준(2009), 해상운임 선도가격, 현물가격, 거래량과 내재변동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명희.이기환.김지영(2014). 벌크선 운임과 중고선가의 인과성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0권, 제3호, 637-654.
  3. 김창범(2011), 국제금융시장의 충격과 중국의 수입변동성이 건화물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7권, 제1호, 263-280.
  4. 김태성(2012), 부정기선 해운시장 운임 변동성 대응 방안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현석.장명희(2013), 벙커가격과 건화물선 지수 (Baltic Dry-bulk Index) 간의 비대칭 장기균형 분석,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9권, 제2호, 63-79.
  6. 모수원(2005), 발틱 건화물운임지수의 변동성과 뉴스충격.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1권, 제2호, 65-79.
  7. 문애리(2019), 선형별 부정기선의 운임변동성 영향 요인 연구,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배성훈.박근식(2016), 부정기선 해운시장의 운임변동성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26권, 제6호, 47-60.
  9. 배성훈.하영목.박근식(2018), 부정기선 해운시장의 운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물류학회지, 제28권, 제5호, 117-132.
  10. 안영균.이민규(2018), 케이프사이즈 용선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무역학회지, 제43권, 제3호, 125-145. https://doi.org/10.22659/KTRA.2018.43.3.125
  11. 이상민(2011), 해운위기에 따른 부정기선 해운시장의 운임 변동성 영향요인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장새한(2016), 중국의 곡물 수입량 변동이 부정기선 해운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진빈.언군.이기성. (2010), Hyperbolic Distance Function 을 이용한 중국 철강산업의 에너지효율성 및 녹색생산성 분석, 유라시아연구, 제17권, 제1호, 71-88.
  14. 채수담(2010), 부정기선 해운시장의 운임변동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ited by

  1. 핸디사이즈 운임지수 및 스팟용선료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vol.37, pp.2, 2020, https://doi.org/10.38121/kpea.2021.06.37.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