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is koreana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1초

노랑붓꽃과 금붓꽃의 입실시기 및 온도가 생장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rcing Date and Temperature on Growth and Flowering of Iris koreana and Iris minutoaurea)

  • 이정호;이정희;박광우;송천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6호
    • /
    • pp.699-704
    • /
    • 2007
  • 한국 자생 노랑붓꽃과 금붓꽃을 초봄의 분화로서의 가치를 구명하기 위하여 11 월 1일부터 12월1일까지 15일 간격으로 3차례 입실하였고, $7^{\circ}C$, $12^{\circ}C$$15^{\circ}C$의 온도 처리구에 12월1일에 입실시켜 개화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노랑붓꽃과 금붓꽃은 입실시기가 지연될수록 초장이 커지고 엽수가 많아졌다. 노랑붓꽃을 11윌 1일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11윌 16일에 입실한 것은 30%를 개화하였고, 12윌1일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다. 한편 금붓꽃은 11월1일부터 12월 1일 사이에 입실한 것 모두가 개화되었다. 개화주의 개화수와 개화기는 차이가 없었다. 한편 입실온도가 증가할수록 초장과 엽장이 작아지고 엽수가 현저히 많아졌다. 노랑붓꽃을 $12^{\circ}C$$15^{\circ}C$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7^{\circ}C$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다. 금붓꽃을 $15^{\circ}C$에 입실한 것은 전혀 개화를 하지 않았으나 $12^{\circ}C$에 입실한 것은 30% 개화하였고 $7^{\circ}C$에 입실한 것은 100% 개화하였으며 개화시기가 빠르고 화경 및 화경장이 길었다.

Plastid DNA (psbA-trnH, trnL-F)의 염기서열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 L.)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phylogenetic study of Korean Iris L. based on plastid DNA (psbA-trnH, trnL-F) sequences)

  • 이현정;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5
    • /
    • 2013
  • 한국산 붓꽃속 16종과 1종의 외군을 대상으로 유연관계 및 분류학적 실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자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산 붓꽃속은 5개의 Clade로 나타났으며, Clade I에는 Series Laevigatae, Tripetalae, Laevigatae, Sibiricae, Clade II에는 Series Ruthenicae, Easatae, Clade III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IV에는 Series Chinensis, Clade V에는 Series Crossiris, Pumilae, Pardanthopsis로 나타났다. 대청부채, 만주붓꽃, 연미붓꽃은 하나의 단계통을 형성하여 가장 기저부에 위치하였고, 금붓꽃과 노랑붓꽃은 독립적인 분계조를 형성하지 못하여 두 종의 관계가 명확하지 않았다. 연미붓꽃은 Crossiris속의 Crossiris절로 분류체계를 설정하였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노랑무늬붓꽃, 금붓꽃, 노랑붓꽃)과 각시붓꽃계열(넓은잎각시붓꽃, 각시붓꽃)로 뚜렷히 구분되었다. 붓꽃속은 크게 4아속(Limniris, Crossiris, Iris, Pardanthopsis)으로 나눠지며, Pardanthopsis아속, Iris아속 그리고 Crossiris아속에서 Limniris아속으로 분화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Plant Regeneration of Iris koreana Nakai through Organogenesis for Ex-situ Conservation

  • Bae, Kee-Hwa;Yun, I-Seul;Jung, Ji-Sun;Kim, Chan-Beom;Kim, Hye-Won;Hong, Yong-Sik;Oak, Min-Kyeong;Kim, Hak-Koo;Lee, Ju-Hu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7권4호
    • /
    • pp.304-308
    • /
    • 2021
  • Iris koreana (Iridaceae) is an endangered plant native to Korea. In order to develop an in vitro propagation method,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4-D) and a-naphthalene acetic acid (NAA) on callus induction in different I. koreana tissues. In addition,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2,4-D and Benzyl aminopurine (BA) treatments on adventitious shoot induction in viable calli and the effect of indole-3-butyric acid (IBA) on root formation in viable shoots. We found that callus production was highest with 1.0 mg/L NAA (94.4% cultured rhizome explants), and adding low concentrations of 2,4-D to BA containing media significantly increased the frequency of shoot primordial formation. The best rooting results were obtained with 1.0 mg/L IBA, on which 98% of regenerated shoots developed roots and produced an average of 7.4 roots within 45 days. This in vitro propagation protocol will be useful for conservation, as well as for mass propagation.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인 개암사 및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에 분포하는 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Iris koreana of Gaeamsa Temple and Soeppulbawi Rock Areas in Special Protection Zones of Byeonsanbando National Park)

  • 오현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5호
    • /
    • pp.365-375
    • /
    • 2017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특별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는 개암사와 쇠뿔바위 지역의 노랑붓꽃 자생지 2구역을 대상으로 식물상을 조사한 것으로, 변산반도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71과 166속 222종 2아종 27변종 4품종으로 총 255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목본식물은 114분류군(44.7%), 초본식물은 141분류군(55.3%)으로 확인되었다. 세부구역별로 개암사 지역에서 총 178분류군, 쇠뿔바위 지역에서 총 18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법정보호종인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에 해당하는 노랑붓꽃 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희귀식물은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들은 각각 멸종위기종(CR)에 노랑붓꽃 1분류군, 취약종(VU)에 호랑가시나무 1분류군, 약관심종(LC)에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4분류군으로 구분되었다. 특산식물은 은사시나무, 개족도리풀, 은꿩의다리, 고광나무, 떡윤노리나무, 민땅비싸리, 참갈퀴나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지리대사초, 노랑붓꽃 등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3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V등급에 노랑붓꽃 1분류군, IV등급에 층실사초 1분류군, III등급에 큰여우콩, 호랑가시나무, 단풍나무, 새비나무, 호자덩굴, 산기장 등 6분류군, II등급에 자주잎제비꽃, 큰참나물, 이팝나무, 청괴불나무, 좀딱취, 지리대사초, 금난초 등 7분류군, I등급에 쇠고비, 전나무, 폭나무, 개족도리풀, 큰꽃으아리, 개구리발톱, 투구꽃, 상산,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돌외, 송악, 오갈피나무, 개시호, 정금나무, 들메나무, 올괴불나무, 조릿대풀, 큰천남성, 일월비비추 등 2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노랑붓꽃 특별보호구는 변산반도국립공원 다른 어떤 지역보다 자연성과 건강성이 우수한 지역이므로 향후에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특별보호구로서 역할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aryotype Analysis of Eight Korean Native Species in the Genus Iris

  • Kim, Hyun-Hee;Park, Young-Wook;Yoon, Pyung-Sub;Choi, Hae-Woon;Bang, Jae-Woo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01-405
    • /
    • 2004
  • Karyotypes were established in the eight Korean native species of the genus Iris. Chromosome numbers were 2n=50 in I. koreana and 2n=42 in I. uniflora var. carinata and their karyotype formulas were K = 2n = 50 = 14m + 28sm + 8st and K = 2n = 42 = 16m + 26sm, respectively. I. dichotoma and I. pseudoacorus were diploids of 2n=34. However, they showed different karyotype formulas: K = 2n = 34 = 26m + 6sm + 2st in I. dichotoma and K = 2n = 34 = 8m + 24sm + 2st in I. pseudoacorus. I. setosa, and I. pallasii var. chinensis carried the same chromosome numbers of 2n=40, but they showed different patterns of karyotype formula: K = 2n = 40 = 22m + 14sm + 4st in I. setosa and K = 2n = 40 = 26m + 12sm + 2st in I. pallasii var. chinensis. I. sanguinea was a diploid of 2n=28 and the karyotype formula was K = 2n = 28 = 14m + 14sm. I. ensata var. spontanea was a diploid of 2n=24 and the karyotype formula was K = 2n = 24 = 10m + 14sm. Each species showed characteristic chromosome composition with a pair of satellite chromosome except I. koreana with three pairs of satellite chromosomes. The chromosomes of I. dichotoma and I. uniflora were comparatively short, while the chromosomes of I. ensata were remarkably bigger than those of other species. These cytological data will give a useful information for the identification and breeding program of the Iris plants.

백두대간 덕유산 지역의 식물상 (Vascular Plants of Mt. Deog-yu Area in the Baekdudaegan)

  • 임동옥;김용식;박양규;유윤미;고명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7-123
    • /
    • 2004
  • 백두대간 덕유산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조사한 결과 91과 243속 353종 53변종 5품종 총 411종류가 확인되었다. 개비자나무, 생강나무, 대팻집나무 및 노각나무 등이 나타나 남부아구로 볼 수 있으나 거제수나무, 사스래나무, 처녀치마 및 금강애기나리 등 중부아구 식물도 확인되었으며, 해발 1,000m 이상인 곳에는 고산식물이 많이 분포하였다. 산림청이 지정한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솔나리와 산작약, 그리고 구상나무, 금강애기나리, 말나리, 뻐꾹나리, 누른종덩굴, 등대시호, 흰참꽃 및 꽃창포 등으로 총 10종이 확인되었다. 환경부지정 보호 야생 동ㆍ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종은 솔나리 1종이 확인되었다. 한국특산식물종은 개비자나무, 구상나무, 일월비비추, 죽대, 뻐꾹나리 등 12과 21속 20종 1품종 1변종으로 총 22종류가 확인되었다.

팔공산 금붓꽃 계열의 자연 잡종 현상 (Natural hybridization of Iris species in Mt. Palgong-san, Korea)

  • 손오경;손성원;서강욱;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43-253
    • /
    • 2015
  • 붓꽃속(Genus Iris)의 금붓꽃계열(Series Chinensis)은 극동아시아에 국한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한국에는 총 6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다. 이는 크게 두 개의 주요 그룹 (각시붓꽃 complex와 금붓꽃 complex)으로 나뉜다. 본 연구에서는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개체들의 실체와 붓꽃속 금붓꽃계열 분류군간의 계통학적 유연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핵 rDNA ITS와 엽록체 matK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총 55개체로부터 얻은 106 개 ITS amplicon의 염기서열 및 군외군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금붓꽃계열의 노랑무늬붓꽃, 노랑붓꽃, 금붓꽃 및 잡종추정군은 군외군과 구분되어 유집되었으나, 군내군 사이에서는 높은 다형성 염기서열이 관측되었다. ITS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의 일부는 노랑무늬붓꽃과 하나의 분계조를 나타내었고, 나머지 잡종추정군의 경우는 금붓꽃+노랑붓꽃과 분계조를 형성하였다. 한편 cpDNA의 경우 matK를 제외한 나머지 마커는 금붓꽃과 노랑붓꽃의 차이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matK의 NJ 계통수에서 잡종추정군이 금붓꽃과 높은 Bootstrap 값으로 하나의 분계조를 형성하였으며, 염기서열이 일치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팔공산에서 발견된 잡종추정군의 모계는 금붓꽃이고 부계는 노랑무늬붓꽃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한반도 희귀·특산식물 노랑붓꽃의 자생지 환경 및 개체군 특성 (Habitats Environmental and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Iris koreana Nakai, a Rare and Endemic Species in Korea)

  • 피정훈;박정근;정지영;박정석;서강욱;손성원
    • 생태와환경
    • /
    • 제49권2호
    • /
    • pp.102-109
    • /
    • 2016
  • 노랑붓꽃은 주로 해발 50~150 m, 경사는 $2{\sim}11^{\circ}$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랑붓꽃자생지는 산지계류 하천에 위치하고, 수로를 따라 인접한 경계면에 띠상으로 분포하거나 상부사면에 점의 형태로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수관열림도 (%)는 평균 11.97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광량 ($mol{\cdot}m^{-2}{\cdot}d^{-1}$)은 평균 6.34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체밀도 (/$m^2$)는 평균 25.81이었으며, JS2에서 49.65으로 가장 높았고 JS1에서 9.3으로 가장 낮았다. 개화촉수는 BA3에서 가장 많았고, BA5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개체군특성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광량과 수관열림도가 높은 곳에서 노랑붓꽃의 촉수가 많이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면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역-J자 형태를 나타내어, 지속적으로 작은 개체들이 이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의 연구결과는 개체군 동태 예측 및 노랑붓꽃의 장기적인 보전전략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RAPD에 의한 한국산 붓꽃속(Iris)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A molecular systematic study of Korean Iris (Iridaceae) based on RAPD analysis)

  • 박선주;심정기;박홍덕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83-396
    • /
    • 2002
  • 한국산 붓꽃속(Iris L.; Iridaceae) 15종과 비교군인 등심붓꽃속(Sisyrinchium auguistifolium Mill.)과 범부채속(Belamcanda chinensis (L). DC.)을 포함한 17분류군을 대상으로 RAPD분석이 수행되었다. 10개의 oligoprimer를 이용한 효소중합반응에서 80개의 유효한 polymorphic band가 확인되었다. 유전적 상사도 지수에 의하여 bootstrap을 포함한 neighbour-joining 방법을 통하여 계통수를 평가하였다. 한국산 붓꽃속은 3아속(Limniris, Crossiris, Pardanthopsis) 또는 2속과 1아속으로 분류되어지고, 붓꽃아속(Limniris)은 6개의 분계조를 형성하고 있어 Waddick(1992)이 설정한 2절, 6계열의 분류체계가 더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Chinensis계열은 금붓꽃계열과 각시붓꽃계열로 구분되어진다. Tripetalae계열에 속하는 부채붓꽃은 Sibiricae계열(시베리아붓꽃, 붓꽃)과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Ensatae계열에 속하는 타래붓꽃은 Ruthenicae계열에 속하는 솔붓꽃, 난장이붓꽃과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RAPD 분석자료를 기초로 한 한국산 붓꽃속의 계통학적 연구는 형태학적, ITS 염기서열 결과와 비슷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많은 학자들에 의해 논란이 된 분류군들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유용한 접근방법이라 생각되며, 전체 붓꽃속 수준에서의 계통분석에 유용한 도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을 위한 일월산(경북 영양)의 관속식물상과 유형별 특성 (Vascular Plants and Characteristics by Type in Mt. Ilwolsan(Yeongyang, Gyeongbuk) for Designating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 오현경;손병율;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62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Korean ecosystem by surveying the present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of flora to select the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Ilwolsan(Mt.), Korea. The numbers of flora in Mt. Ilwol were summarized as 582 taxa including 94 families, 307 genera, 508 species, 4 subspecies, 61 varieties and 9 formas. The rare plants were 15 taxa including Clematis koreana, Aristolochia contorta,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Iris odaesanensis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4 taxa including Pseudostellaria coreana, Philadelphus schrenckii, Galium koreanum, Weigela subsessil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29 taxa including Cimicifuga heracleifolia, Parasenecio firmu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Acer mandshuricum, Syringa reticulata var. mandshurica and so forth. The naturalized plants were 22 taxa including Fallopia dumetorum, Rumex nipponicus, Trifolium repens, Sonchus asper, Phleum pratense and so forth. A set of important area is rare plant, Korean endemic plant, specific plant emerge a lot of are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