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r-192 sour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방사선 근접치료 디지털 선량계의 성능 개선을 위한 Passive Layer의 효과 (Effect of Passive Layer to Improve Performance of Digital Dosimeter in Brachytherapy)

  • 한무재;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15-721
    • /
    • 2021
  • 방사선 근접치료에서 잘못된 선원의 위치는 정상조직에 과도한 선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검출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디지털 선량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량계 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passive layer (PL)를 적용한 lead (II) oxide (PbO) 선량계를 제작하였다. 이후 Ir-192 선원의 조사조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재현성, 선형성, 거리의존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은 PL-PbO 선량계에서 상대표준편차가 0.40%로 평가 기준 1.5% 이내를 만족하였고, PbO 선량계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선형성은 선형함수 R2이 0.9995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선형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한 기울기 분석은 PL-PbO에서 우수하였다. 거리 의존성은 거듭제곱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기울기를 inverse square value와 비교하였을 때, PL-PbO 선량계는 PbO에 비해 +0.599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체선량계의 계측 구성에 따른 효과와 측정 변수를 제시하고 있고, 다양한 방사선 검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측정용 전리함에 따른 고 선량율 근접치료용 방사성 선원의 겉보기 활성도의 정확도 비교 분석 (Analysis of Accuracy of Apparent Activity According to Calibration Method for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Source)

  • 허현도;최진호;최상현;김성훈;김우철;김헌정;이레나;김금배;홍성언;신동오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4호
    • /
    • pp.305-3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측정 방법이 다른 두 전리함을 이용하여 고선량율 근접치료용 방사성 선원의 겉보기 활성도를 측정하여 선원의 활성도 정확성 및 두 장비간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국내 5개 의료기관을 선정하여 공기 중 기준거리에서 겉보기 활성도를 측정하고 동일한 선원에 대하여 측정 방법이 다른 두 팬톰을 동시에 측정하여 측정방법에 따른 상호 오차와 측정용 전리함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우물형 전리함과 Jig 팬톰의 상대 오차는 각각 -2.1%~0.2%, -2.8%~-1.0%로 나타났다. 동일한 방사성선원에 대하여 두 교정 장비간의 정확도 평가는 최대 상대오차 1%로 나타났다. 선원의 세기 검증 시 측정 방법에 따른 의존도는 없었다. 고 선량율 근접방사선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선원의 세기의 변화는 환자의 종양 및 인접장기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므로 방사성 선원의 세기 오차는 환자치료의 최적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선원 교체 시 뿐만 아니라 주기적인 선원 점검이 요구된다.

  • PDF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산화납 기반 방사선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sign of lead monoxide based radiation detecto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a Radioactive Source in an NDT)

  • 안기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83-188
    • /
    • 2017
  • 최근, 감마선 조사기의 자동 원격 조사 제어기가 오동작하여 방사선작업종사자가 방사선 피폭 사고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NDT 분야에서는 방사선에 대한 잠재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사선원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자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파괴검사장비에 범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사선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산화납 기반 방사선 검출기에 대한 감마선 응답 특성을 모의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는 방사선원에서 방사되는 감마선 에너지에 따라 상이하며 에너지가 증가함에 따라 최적화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PbO 기반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는 Ir-192에 대하여 $200{\mu}m$, Se-75 $150{\mu}m$, Co-60 $300{\mu}m$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2차 전자 평형을 고려한 PbO 기반 방사선 검출기의 적절한 두께는 $300{\mu}m$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다양한 NDT 장비에 범용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사선원 위치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시 방사선 검출기에서 요구되는 적절한 두께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방사선원의 위치 확인을 위한 반도체 검출기 설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sign of Semiconductor Detector for Checking the Position of a Radioactive Source in an NDT)

  • 김교태;김주희;한무재;허예지;안기정;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71-175
    • /
    • 2017
  • 비파괴검사 분야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방사선원에 대한 시스템 개발에 많은 시간과 재원을 투자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사고 발생 확률은 높은 실정이다. 방사선에 대한 잠재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방사선원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검증하는 것이지만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마선조사기의 선원 가이드 튜브에서 방사선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방사선 검출기에 대한 특성을 모의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Ir-192의 감마선 에너지에 대한 방사선 검출기는 반도체 소재에 무관하게 $150{\mu}m$에서 2차 전자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감마선 응답 특성은 $HgI_2$가 가장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는 차후 모니터링 시스템의 검출부에 위치하는 방사선 검출기의 최적화 두께를 결정하는데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바탕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 시 방사선작업종사자가 위험을 쉽게 인지하여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방사선 사고에 대한 예방 및 선제적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사회 안전망 구축 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r-192 고선량률 선원에 대한 공기커마강도의 품질보증 (Quality Assurance of Air Kerma Strength for Ir-192 High Dose Rate Source)

  • 김종언;윤천실;김성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2호
    • /
    • pp.147-151
    • /
    • 2007
  • AAPM TG43 프로토콜에서 선원 강도의 측정은 공기커마강도로 권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공기커마강도의 정확성이 ${\pm}5%$ 범위 이내에 있는지 측정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Standard imaging사의 MAX-4001 Electrometer와 HDR 1000 Plus, 그리고 6 french bronchial Applicator를 재료로 사용하여, 이온함의 중심축의 바닥으로부터 10 mm 지점에서 90 mm 지점까지 이온화 전류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이온화 전류 곡선에서 최대 이온화 전류를 나타내는 거리를 교정의 기준점으로 정하고, 이 이온화 전류 측정치로부터 공기커마강도를 구하였다. 이온화 전류 곡선의 정점인 최대 이온화 전류에 대응하는 거리는 50 mm이었다. 이 거리는 UW-ADCL의 교정 검증서의 선원의 기준점과 완전히 일치하였다. 측정으로 계산된 공기커마강도는 제조사에서 제공된 교정치보다 약 0.5% 더 높게 측정되었다. 제조사에서 제공되는 교정 검증서의 공기커마강도는 신뢰할 수 있는 정확성을 가졌다는 결과를 얻었다. 측정에서 우물형 이온함 안의 dead space의 길이와 선원의 dwell position으로 이동 오차 그리고 산란선의 영향 등을 고려하면, 정확한 측정과 교정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고선량율 근접치료의 정도관리 (Quality Assurance for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 방동완;조정희;박재일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44
    • /
    • 1998
  • Accurate delivery of doses using a high dose rate(HDR) brachytherapy, remote afterloading system(RALS) depends on knowing the strength of the radioactive source at the time of treatment, the precision and consistency of the timer, and the ability of the unit to position the source at the proper dwell location along the applicator. Periodic Quality Assurance(QA) on HDR machines is a part of the standard protocol of any user. The safety of the patient & staff, positional accuracy, temporal accuracy, and dose delivery accuracy are periodically(weekly, quarterly, monthly) estimated using HDR source(Ir-192), treatment planning devices, measurement devices, and overall treatment devices with regard to treatment delivery. The overall measurement results are estimated successfully and assessed its clin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ur HDR brachytherapy units has been very accurate until now. The QA program protocol permits routine clinical use and provides a high confidence level in the accurate operation of HDR units. Therefore, regular QA of HDR brachytherapy is essential for successful treatment.

  • PDF

전립선암의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에 따른 흡수선량평가 (Evaluation of Absorbed Dose According to the Nanoparticle in Prostate Cancer Brachytherapy)

  • 박은태;이득희;임인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67-172
    • /
    • 2018
  • 국내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전립선암을 대상으로, 근접치료 시 나노입자 사용에 따른 선량을 평가하여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량평가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인 MCNPX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선원은 국내 HDR장비에 다용하는 $^{192}Ir$으로 선정하고 나노입자는 금, 가돌리늄, 산화철, 요오드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표적장기인 전립선은 나노입자를 사용 시,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모두 흡수선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금 나노입자가 $3.13E-03J/kg{\cdot}e$의 값으로 가장 높았다. 주변장기 및 주변인에 대한 선량은 나노입자 사용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입자 사용은 치료가능비를 상승시켜 치료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erivation of External Exposur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Radiography Based on Empirical Evidence

  • Cho, Junik;Kim, Euidam;Kwon, Tae-Eun;Chung, Yoonsu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7권2호
    • /
    • pp.93-98
    • /
    • 2022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work type for industrial radiography based on empirical evidence through expert advice and a survey of radiation workers of various types of industrial radiography. Materials and Methods: According to a Korean report, work types of industrial radiography are classified into indoor tests, underground pipe tests, tests in a shielded room (radiographic testing [RT] room test), outdoor field tests, and outdoor large structure tests. For each work type, exposure geometry and radiation sources were mainly identified through the expert advice and workers' survey as reliable empirical evidence. Results and Discussion: The expert advice and survey results were consistent as the proportion of the work types were high in the order of RT room test, outdoor large structure test, underground pipe test, outdoor field test, and indoor test. The outdoor large structure test is the highest exposure risk work type in the industrial radiography. In most types of industrial radiography, radiation workers generally used 192Ir as the main source.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portion of sources was high in the order of 192Ir, X-ray generator, 60Co, and 75Se. As the exposure geometry, the antero-posterior geometry is dominant, and the rotational and isotropic geometry should be also considered with the work type. Conclusion: In this study, through expert advice and a survey, the external exposure characteristics for each work type of industrial radiography workers were derived. This information will be used in the reconstruction of organ dose for health effects assessment of Korean radiation workers.

방사선 근접치료에 있어서 핵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3차원 방사선 선량분포도의 가시화를 위한 polymer 젤의 이용 (The Use of Polymer Gel for the Visualization of 3-D Dose Distribution in Brachytherapy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강해진;조삼주;정은기;강승희;오영택;전미선;권수일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4호
    • /
    • pp.207-215
    • /
    • 1998
  • 방사선의 측정방법으로 현재까지 여러 방법들이 쓰여져 왔다. 여기에는 필름을 이용하는 방법, TLD를 이용하는 방법, 전리함(ion chamber)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대체로 가장 많이 쓰여지는 방법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방사선측정 방법이 시도되었다. 고분자 젤과 핵자기공명영상 (MRI)을 이용한 방법이 그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사선 측정을 위한 고분자 젤을 합성하고 합성된 젤을 사용하여 젤의 방사선 흡수선량과의 관계를 MRI 영상으로부터 구해서, 이 결과를 근접치료에 쓰이는 seed 선원의 선량분포를 측정하여 가시화 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지름 12 cm 원통형 팬텀에 젤을 합성하고, 이 젤을 뇌정위 방사선수술에 쓰이는 30 mm 콜리메이터를 이용하여 여러 단계의 선량을 젤에 조사하였다. 이렇게 조사된 젤은 MRI 을 촬영하였고 이렇게 촬영된 MRI 영상으로부터 젤팬텀의 각 위치의 횡이완시간 (T$_2$ time)을 영상분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젤의 홉수선량과 횡이완시간과는 17 Gy 근처까지는 거의 반비례 ($R^2$=0.993)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보다 높은 흡수선량에 대해서는 또 다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 이것을 이용하여 HDR afterloading system 의 Ir-192 seed 선원에 의한 선량분포와 2 mCi Ir-192 seed 선원에 의한 선량분포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이 것을 각각 치료계획컴퓨터에 의한 선량분포곡선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고분자 젤을 이용한 방사선의 측정방법을 시도하여 홉수선량과 젤의 특성과의 관계를 밝혔으며, 실제로 그접치료에 쓰이는 seed 선원에 의한 선량분포 곡선을 얻는데 적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