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onic liquids

검색결과 204건 처리시간 0.026초

Promoting Effect of AlCl_3 on the Fe-catalyzed Dimerization of Bicyclo[2.2.1]hepta-2,5-diene

  • Nguyen, Mai Dao;Nguyen, Ly Vinh;Lee, Je-Seung;Han, Jeong-Sik;Jeong, Byung-Hun;Cheong, Min-Serk;Kim, Hoon-Sik;Kang, Ho-Ju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9권7호
    • /
    • pp.1364-1368
    • /
    • 2008
  • The activity of the catalytic system composed of Fe$(acetylacetonate)_3$ (Fe$(acac)_3$), triphenylphosphine, and diethylaluminum chloride for the dimerization of bicyclo[2.2.1]hepta-2,5-diene (2,5-norbornadiene, NBD) to produce hexacyclic endo-endo dimer (hexacyclo[$7.2.1.0^{2,8}.1^{3,7}.1^{5,13}.0^{4,6}$]tetradec-10-ene, Hnn) was significantly enhanced by the presence of $AlCl_3$, especially at the molar ratios of NBD/Fe$(acac)_3$ of 500. XPS analysis of the catalytic systems clearly demonstrates that $AlCl_3$ facilitates the reduction of Fe$(acac)_3$ to form active species, Fe(II) and Fe(0) species. The layer separation was observed when [BMIm]Cl was used along with $AlCl_3$, but catalyst recycle was not very successful.

Equimolar Carbon Dioxide Absorption by Ether Functionalized Imidazolium Ionic Liquids

  • Sharma, Pankaj;Park, Sang-Do;Park, Ki-Tae;Jeong, Soon-Kwan;Nam, Sung-Chan;Baek, Il-H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7호
    • /
    • pp.2325-2332
    • /
    • 2012
  • A series $[C_3Omim]$[X] of imidazolium cation-based ILs, with ether functional group on the alkyl side-chain have been synthesized and structure of the materials were confirmed by various techniques like $^1H$, $^{13}C$ NMR spectroscopy, MS-ESI, FTIR spectroscopy and EA. More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changing the anion with same cation is carried out. The absorption capacity of $CO_2$ for ILs were evaluated at 30 and $50^{\circ}C$ at ambient pressure (0-1.6 bar). Ether functionalized ILs shows significantly high absorption capacity for $CO_2$. In general, the $CO_2$ absorption capacity of ILs increased with a rise in pressure and decreased when temperature was raised. The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absorption capacity reached about 0.9 mol $CO_2$ per mol of IL at $30^{\circ}C$. The most probable mechanism of interaction of $CO_2$ with ILs were investigated using FTIR spectroscopy, $^{13}C$ NMR spectroscopy and result shows that the absorption of $CO_2$ in ether functionalized ILs is a chemical process. The $CO_2$ absorption results and detailed study indicates the predominance of 1:1 mechanism, where the $CO_2$ reacts with one IL to form a carbamic acid. The $CO_2$ absorption capacity of ILs for different anions follows the trend: $BF_4$ < DCA < $PF_6$ < TfO < $Tf_2N$. Moreover, the as-synthesized ILs is selective, thermally stable, long life operational and can be recycled at a temperature of $70^{\circ}C$ or under vacuum and can be used repeatedly.

염료감응 태양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의 총설 (Review o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s)

  • 이재훈;박철훈;이창수;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29권2호
    • /
    • pp.80-87
    • /
    • 2019
  •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장기 안정성은 전극 물질과 전해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데 본 총설에서는 전해질에 초점을 두어 서술하고자 한다. 고분자 전해질막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에서 기존의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되어 왔다. 기존의 액체 전해질은 높은 효율을 나타낼 수 있지만 장기적인 안정성 문제와 누액 문제로 인해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매년 이와 관련된 논문들이 활발히 보고되고 있다. 본 총설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위한 고분자 전해질막의 개념과 개발에 대한 간단한 설명을 다루고 있으며 고분자 매트릭스의 개질, 유-무기 가소제 및 이온성 액체와 같은 첨가제의 도입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효율과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해서도 최근의 연구들이 정리되어 있다.

충격파 완화 복합재의 설계 (Design of Polymer Composites for Effective Shockwave Attenuation)

  • 박경민;조승래;김혜진;이재준
    • Composites Research
    • /
    • 제37권1호
    • /
    • pp.21-31
    • /
    • 2024
  • 이 리뷰 논문은 복합재에 함유되어 충격파를 감쇠하는 물질에 대한 탐구를 통해 폭발로 인한 외상성 뇌손상(bTBI)에 대비하여 인적자원을 보호하는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더하여 복합재의 충격파 감소의 정량화를 위한 충격파의 생성과 측정에 관련된 실험적인 방법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충격파는 고에너지 폭발물, 충격관, 레이저 및 레이저-플라이어 기술과 같은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생성이 가능하다. 충격파 전파 및 감쇠의 평가는 압전, 간섭계, 전자기 유도 및 스트릭 카메라 방법을 비롯한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진행된다. 또한 충격파 압력감쇠 특성이 알려진 폴리우레아, 이온액체를 포함한 상분리 물질을 조사하였고 복합재 구조의 구성을 통해서 충격파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리뷰에서는 충격파 감쇠 물질 개발에 관한 연구를 종합하고 분석함으로써 폭발로 인한 외상성 뇌 손상에 대한 위험을 낮출 수 있는 재료적인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