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 및 저항성 점박이응애 계통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lbachia Infection on Fitness of Resistance to Dicofol in Tetranychus urticae (Acarina: Tetranychidae))

  • 윤태중;류문일;조기종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1-326
    • /
    • 2001
  • Wolbachia 감염이 디코폴 감수성계통 점박이응애와 저항성계통 점박이응애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발육, 수명, 산란수, 산란기간)을 미니장미를 기주로 조사하였다. ftsZ PCR결과 감수성 계통만이 Wolbachia에 감염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수성계통은 저항성계통에 비해 높은 산란율과 빠른 발육률이 관찰되었으며, 성충수명과 산란기간은 감수성계통에서 길었다. 이는 적합도가 디코폴저항성 수준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동일한 조사를 상호교배 자손에서 조사한 결과, Wolbachia에 감염된 수컷과 Wolbachia 비감염 암컷을 교배한 조합에서 높은 난사망율과 수컷편중 성비가 관찰되어 전형적인 Wolbachia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질 불화합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Wolbachia에 감염된 암컷과 Wolbachia 비감염 수컷조합의 내적자연증가율값($0.09\pm$0.01)은 다른 조합($0.20\pm$0.01)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본 실험의 연구결과는 점박이응애 적합도의 발달과 진화가 저항성 수준과 Wolbachia 감염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한국 동해 생태계의 어획강도 변화에 따른 자원량 예측 연구 (A study on the forecasting biomass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ishing intensity in the Korean waters of the East Sea)

  • 임정현;서영일;장창익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4권3호
    • /
    • pp.217-223
    • /
    • 2018
  • Overfishing capacity has become a global issue due to over-exploitation of fisheries resources, which result from excessive fishing intensity since the 1980s. In the case of Korea, the fishing effort has been quantified and used as an quantified index of fishing intensity. Fisheries resources of coastal fisheries in the Korean waters of the East Sea tend to decrease productivity due to deterioration in the quality of ecosystem, which result from the excessive overfish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fishing gear and engine performance of vessels. In order to manage sustainable and reasonable fisheries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luctuation of biomass and predict the future biomass. Therefore, in this study, we forecasted biomass in the Korean waters of the East Sea for the next two decades (2017~2036) according to the changes in fishing intensity using four fishing effort scenarios; $f_{current}$, $f_{PY}$, $0.5{\times}f_{current}$ and $1.5{\times}f_{current}$. For forecasting biomass in the Korean waters of the East Sea, parameters such as exploitable carrying capacity (ECC), intrinsic rate of natural increase (r) and catchability (q) estimated by maximum entropy (ME) model was utilized and logistic function was used. In addition, coefficient of variation (CV) by the Jackknife re-sampling method was used for estimation of coefficient of variation about exploitable carrying capacity ($CV_{ECC}$). As a result, future biomass can be fluctuated below the $B_{PY}$ level when the current level of fishing effort in 2016 maintai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as useful data to suggest direction of establishment of fisheries resources management plan for sustainable use of fisheries resources in the future.

기후변화에 대응한 농업생명공학의 기회와 도전 (Agricultural biotechnology: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ssociated with climate change)

  • 장안철;최지영;이신우;김동헌;배신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2호
    • /
    • pp.117-124
    • /
    • 2011
  • Considering that the world population is expected to total 9 billion by 2050, it will clearly be necessary to sustain and even accelerate the rate of improvement in crop productivity. In the 21st century, we now face another, perhaps more devastating, environmental threat, namely climate change, which could cause irreversible damage to agricultural ecosystem and loss of production potential. Enhancing intrinsic yield, plant abiotic stress tolerance, and pest and pathogen resistance through agricultural biotechnology will be a critical part of feeding, clothing, and providing energy for the human population, and overcoming climate chang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genetically engineered crops hav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ncrease of crop yield and farmer's income, decrease of environmental impact associated with herbicide and insecticide, and to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is cropping area. Advances in plant genomics, proteomics and system biology have offered an unprecedented opportunities to identify genes, pathways and networks that control agricultural important traits. Because such advances will provide further details and complete understanding of interaction of plant system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biotechnology is likely to be the most prominent part of the next generation of successful agricultural industry. In this article, we review the prospects for modification of agricultural target traits by genetic engineering, including enhancement of photosynthesis, abiotic stress tolerance, and pest and pathogen resistance associated with suc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nder climate change.

고차기생봉(高次寄生蜂) Tetrastichus sp.의 생태(生態) (Biology of the hyperparasite Tetrastichus sp. (Hymenoptera : Eulopidae))

  • 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32-37
    • /
    • 1994
  • 고차기생자(高次寄生者) Tetrastichus sp.는 단기생성(單寄生性) 외부기생자(外部寄生者)로 일차기생자(一次寄生者) Aneristus ceroplastae, Microterys flavus, Coccophagus hawaiiensis의 종령유충(終齡幼蟲)이나 용에 산란(産卵)하였다. 란(卵)부터 성충(成蟲)까지의 발육한계온도(發育限界溫度)와 유효적산온도(有效積算溫度)는 각(各) $9.8^{\circ}C$와 272일도(日度)로 계산(計算)되었다. $25^{\circ}C$의 항온(恒溫), 16시간(時間) 조명조건(照明條件)에서 봉밀원액(蜂蜜源液)을 급여(給與)하며 사육(飼育)한 자(雌) 성충(成蟲)의 평균수명(平均壽命)은 40일(日) 이었다. 성충(成蟲)은 우화(羽化) 24시간후(時間後)부터 산란(産卵)을 시작하여 일생(一生)동안 평균(平均) 220란(卵)을 낳았으며, 50% 누적산란율(累積産卵率)은 산란개시(産卵開始) 14일(日) 후(後)에 달성(達成)되었다. 순번식율(純繁殖率)(Ro)과 세대기간(世代期間)(T), 내적자연증가율(內的自然增加率)(r)은 각(各) 99.6/세대(世代), 32일(日), 0.142/♀/일(日) 이었다.

  • PDF

가루응애류 Caloglyphus sp.의 생태에 관한 연구 (Bionomics of Caloglyphus sp.(Acarina : Acaridae))

  • 박지두;김종국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51-56
    • /
    • 1997
  • 각(各) 항온조건(恒溫條件)에서 솔잎혹파리 3령 유충을 식이물로 공급하며 응애류 Caloglyphus sp. 의 발육특성(發育特性)과 증식능력(增植能力)을 조사하였다. 본 응애는 란(卵), 유충(幼蟲), 제(第)1약충(若蟲), 제(第)2약충(若蟲), 성충(成蟲)의 4발육단계를 경과하며, 란(卵)을 제외한 모든 발육충태는 솔잎혹파리 유충을 포식(捕食)하였다. 란(卵)부터 성충(成蟲)까지의 발육소요일수(發育所要日數)는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으며, 발육한계온도(發育限界溫度)는 $8.2^{\circ}C$, 유효적산온도(有效積算溫度)는 122.0일도(日度)이었다. $25^{\circ}C$항온에서 란(卵)부터 제(第)2약충(若蟲)까지의 생존율(生存率)은 66.4%으며, 성충의 평균수명(平均壽命)은 수컷이 12.3일, 암컷이 10.2일 이었다. 성충은 1~2일 경과후 산란하기 시작하여 산란기간 초기에 다수의 알을 낳았으며 일생동안 평균 360.6 개체를 산란(産卵)하였다. 발육소요일수(發育所要日數) 및 령별생존율(齡別生存率)과 산란수(産卵數)를 이용하여 산출한 순번석율(純繁殖率)(Ro)과 평균(平均) 세대기간(世代期間)(T), 내적자연증가율(內的自然增加率)($r_m$)은 각 101.1, 9.3일, 0.494/♀/일 이었다.

  • PDF

In Vitro Apoptosis Triggering in the BT-474 Human Breast Cancer Cell Line by Lyophilised Camel's Milk

  • Hasson, Sidgi S.A.A;Al-Busaidi, Juma Zaid;Al-Qarni, Zahra A.M.;Rajapakse, S.;Al-Bahlani, Shadia;Idris, Mohamed Ahmed;Sallam, Talal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651-6661
    • /
    • 2015
  • Breast cancer is a global health concern and is a major cause of death among women. In Oman, it is the most common cancer in women, with an incidence rate of 15.6 per 100,000 Omani females. Various anticancer remedies have been discovered from natural products in the past and the search is continuing for additional examples. Cytotoxic natural compounds may have a major role in cancer therapy either in potentiating the effect of chemotherapy or reducing its harmful effects. Recently, a few studies have reported advantages of using crude camel milk in treating some forms of cancer. However, no adequate data are available on the lyophilised camel's milk responsibility for triggering apoptosis and oxidative stress associated with human breast canc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address the role of the lyophilised camel's milk in inducing proliferation repression of BT-474 and HEp-2 cells compared with the non-cancer HCC1937 BL cell line. Lyophilized camel's milk fundamentally repressed BT-474 cells growth and proliferation through the initiation of either the intrinsic and extrinsic apoptotic pathways as indicated by both caspase-3 mRNA and its action level, and induction of death receptors in BT-474 but not the HEp-2 cell line. In addition, lyophilised camel's milk enhanced the expression of oxidative stress markers, heme-oxygenase-1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in BT-474 cells. Increase in caspase-3 mRNA levels by the lyophilised camel's milk was completely prevented by the actinomycin D, a transcriptional inhibitor. This suggests that lyophilized camel's milk increased newly synthesized RNA. Interestingly,it significantly (p<0.003) repressed the growth of HEp-2 cells and BT-474 cells after treatment for 72 hours while 24 hours treatment repressed BT-474 cells alon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lyophilised camel's milk might instigate apoptosis through initiation of an alternative apoptotic pathway.

목화바둑명나방(나비목:명나방과)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Cotton Caterpillar, Palpita indica(Lepidoptera: Pyralidae))

  • 신욱균;김길하;송철;김정화;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5-140
    • /
    • 2000
  • 목화바둑명나방의 온도별(15.0, 17.5, 20.0, 22.5, 30.0, 32.5, $35.0^{\circ}C$)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기간은 $17.5^{\circ}C$에서 68.6일이었고, $35.0^{\circ}C$에서는 19.7일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그 기간이 짧았으며, $35.0^{\circ}C$에서는 $17.5^{\circ}C$보다 불육기간이 3.5배나 짧았다. 그리고 $15.0^{\circ}C$에서는 알에서 번데기 전단계까지는 발육하였으나 번데기에서 우화하지 않았다. 알, 유충, 번데기, 그리고 알에서 성충까지의 발육영점온도는 각각 $13.4^{\circ}C$, 10.6$^{\circ}C$, $11.6^{\circ}C$, $11.5^{\circ}C$였고, 유효적산온도는 각각 55.3, 251.5, 138.3, 479.8일도였다. 부화율, 용화율 그리고 우화율은 $25.0^{\circ}C$와 27.5$^{\circ}C$에서 높았다. 부화유충에서 성충까지의 생존율은$ 27.5^{\circ}C$에서 가장 높았다. 산란전기와 성충수명은 17.5$^{\circ}C$에서 각각 11.5일, 30.6일이었고, $35.0^{\circ}C$에서는 각각 1.5일, 9.2일로 온도가 높을수록 짧았다. 그리고 암컷한마리당 평균 총산란수는$ 25.0^{\circ}C$$27.5^{\circ}C$에서 많았다. 1세대당 순 증식율(${R}_{o}$)은 $27.5^{\circ}C$에서 199.1로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내적자연증가율(${r}_{m}$)은 온도가 높아 갈수록 컷으며 $30.0^{\circ}C$에서 0.148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목화바둑명나방의 성장에 적합한 온도범위는 25.0~$32.5^{\circ}C$이었다.

  • PDF

온도가 화랑곡나방(나비목:명나방과)의 생활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the Life History of Indian Meal Moth (Phralidae: Lepidoptera) on Brown Rice)

  • 나자현;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43-149
    • /
    • 1998
  • 현미(Sativa oryzae L., 품종 일품)에서의 화랑곡나방(Plodia interpunstella H)의 발육과 생명표와 통계량을 다섯상이한 온도 조건(17, 20, 25, 28, $35\pm$$0.5^{\circ}C$ )에서 조사하였다. 온도에 대한 발육반응은 성 간에 차이가 없었다. 조사 온도범위에서 나방의 발육일수와 성충 수명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짧아져서 $17^{\circ}C$에서 각각 $149.9\pm$30.4일과 $38.1\pm$5.6일이었고 $32^{\circ}C$에서 각각 $19.4\pm$5.1일과 $6.9\pm$2.0일이었다. 우화율도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높아져서 $17^{\circ}C$에서 $13.0\pm$6.2%였고 $32^{\circ}C$에서 $49.2\pm$25.6%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부화율은 $25^{\circ}C$에서 $73.8\pm$5.3%로 정점에 도달한 후 다시 감소하여 $25^{\circ}C$를 경계로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부화가 저해되었다. 암컷 당 산란수는 17SIM 28$^{\circ}C$의범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32^{\circ}C$에서는 유의하게 적어서 산란수와 부화율 간에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암시하였다. 암컷을 산란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우화 2일후로 집중되었다. 순증가율은 $28^{\circ}C$에서 가장 높았고 $25^{\circ}C$$20^{\circ}C$의순으로 낮아졌으나 내적 자연증가율은$ 32^{\circ}C$에서 가장 높아 일당 0.065로 추정되었으며 이는 빠른, 높은 우화율, 산란의 우화초기집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가지에서 온도별 점박이응애 발육특성 및 생명표 통계량 (Effect of Temperature on Development and Life Table Parameters of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e) Reared on Eggplants)

  • 김주;이상구;김정만;권영립;김태흥;김지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63-168
    • /
    • 2008
  • 가지잎에서 점박이응애의 온도에 따른 발육 특성을 조사한 결과 17, 22, 27, 32, $37^{\circ}C$에서 점박이응애의 사충률은 $27^{\circ}C$를 기준으로 온도가 올라가거나 내려감에 따라 증가하였고, 부화율은 $17^{\circ}C$$37^{\circ}C$에서 낮았다. 발육기간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37^{\circ}C$에서 5.3일로 가장 짧고, $17^{\circ}C$에서 25.8일로 가장 길었다. 온도와 발육률의 관계를 직선회귀에 의해 분석한 결과 $r^2$값이 0.88 이상으로 본 실험에서 수행한 온도 $17{\sim}37^{\circ}C$범위에서 점박이응애의 발육은 직선회귀에 부합되었다. 발육영점온도는 전체약충기간이 암컷 $12.5^{\circ}C$, 수컷 $12.8^{\circ}C$이었고, 전체약충기간의 유효적산온도는 암컷 80.5,수컷 74.7일도였다. 성충의 수명과 산란기간은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짧아졌고, 암수의 비교에 있어서 암컷이 수컷에 비해 수명이 길었다. 온도에 따른 산란수는 $27^{\circ}C$에서 141.0개로 가장 많았으며, $37^{\circ}C$에서 78.0개로 가장 적어 온도에 따른 변이가 컸다. 온도에 따른 부화율과 암컷의 비율도 $27^{\circ}C$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다. 점박이응애의 $R_o$ (순증가율)는 온도가 $27^{\circ}C$를 정점으로 온도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면 감소하였고, $r_m$ (내적자연증가율)은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같이 높아져 $37^{\circ}C$에서 최고치인 0.5652였으며, ${\lambda}$ (기간증가율)도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졌다. DT (배수기간)와 T (평균세대기간)는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감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