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operative rupture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7초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아킬레스건 봉합술: 개방적 봉합술과의 비교 연구 (Intraoperative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Repair of a Ruptured Achilles Tendon: A Comparative Study with Open Repair)

  • 강동훈;강찬;황득수;송재황;최보성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522-529
    • /
    • 2018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아킬레스건 파열 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아킬레스건 봉합술과 개방적 봉합술의 임상적 결과에 대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15년 1월부터 2017년 2월까지 아킬레스건 파열로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봉합술을 시행 받은 12예(A군)와 개방적 봉합술을 시행 받은 18예(B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Arner-Lindholm scale, American Orthop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ore, Achilles tendon total rupture score (ATRS), 수술 후 만족도(전반적/미용적)에 대한 visual analogue scale(VAS), 한쪽 발꿈치 들기 가능 시기로 임상적 평가를 하였고, 그 외 합병증에 대해 평가하였다. 결과: 각 군별 평균 Arner-Lindholm scale, AOFAS ankle-hindfoot score (A군: 92.3점/B군: 91.6점), ATRS (A군: 88.9점/B군: 87.6점), 한쪽 발꿈치 들기 가능 시기(A군: 3.75개월/B군: 3.65개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884, p=0.755, p=0.983, p=0.645) 수술 후 결과에 대한 전반적, 미용적 만족도는 B군(8.2/6.7)에 비해 A군(9.1/9.9)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35, p=0.001). A군에서 2예의 봉합부위 신연(elongation)을 보였고, B군에서 1예의 심부 감염으로 인한 재파열과 1예의 천부 감염을 보였다. 결론: 초음파 유도하 경피적 봉합술은 개방적 봉합술과 비교할 때 비슷한 임상적 결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더 높은 주관적, 미용적 만족도와 함께 비복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결과를 보여 아킬레스건 파열의 치료에 있어 유용하게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의 관절경적 봉합술 (Arthroscopic Repair for th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Tears)

  • 최종혁;윤한국;김형식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37-142
    • /
    • 2005
  • 목적: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최소한의 절개에 의한 봉합술 후 조기 운동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슬관절의 급성 전방 십자 인대 파열로 내원하여 인대 봉합술로 치료받은 환자 중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관찰되었던 38명(39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가는 이학적 검사, KT-10000을 이용한 전방 전위 검사 및 Lysholm평가를 이용하여 수술결과를 파열양상, 활막의 상태, 내측 측부 인대 손상 여부등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후 운동장해는 근위부 및 원위부의 복합파열과 내측 측부 인대 동반손상시 빈도가 의미있게 높았으며 근위부 단독파열과 활막의 파열이 없는 경우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전방 불안정성은 근위부 파열만 있는 경우 의미있게 적었으며 복합파열과 활막의 손상이 심할수록 전방 전위가 의미있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급성 전방 십자 인대 손상의 치료로 관절경적 봉합술은 근위부 단독파열이면서 활막손상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결과가 좋은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 교통 동맥 동맥류 치료의 예후인자 (Prognostic Factors in the Treatment of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 Aneurysms)

  • 박준오;권택현;박윤관;정흥섭;이훈갑;서중근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5호
    • /
    • pp.592-599
    • /
    • 2001
  • Objective : The anterior communicating artery(ACoA) is known to be the most frequent location of intracranial aneurysms, but the complex arterial anatomy of the ACoA region makes this aneurysm among the most difficult one to treat. In the treatment of ACoA aneurysms, the direction of aneurysmal fundus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in the surgical tactics. All ACoA aneurysms in our seri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direction, and analyzed the clinical feat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influencing upon the surgical outcome. Methods : The authors reviewed 236 cases of ruptured ACoA aneurysms that were operated from 1990 to 1997,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Pia's classification. Results : The incidence rate of the ACoA aneurysm was 35.1%(236/672). Ventral group was more common than dorsal group, especially in ventro-caudal projection subgroup(36.0%). Poor preoperative clinical grade(Hunt-Hess grade IV and V) patients were more common in dorsal group(13.1%) than ventral group(2.6%). Rebleeding and intracerebral hematoma were more commonly seen in ventral group. However, vasospasm, hydrocephalus, hyponatremia, and intraventricular hemorrhage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in dorsal group. Worse outcome was more common in dorsal group than ventral group, especially in dorso-caudal projection subgroup. Also, poor outcome was identified in patients with intracerebral hematom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hyponatremia, and hypertension,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cases with the A1 dominancy,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gical outcom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ide approach. The higher the aneurysmal neck from the planum sphenoidale, the worse outcome via pterional approach. Conclusion : It seems that the preoperative clinical grade, aneurysmal direction, and the height of aneurysmal neck, especially in the pterional approach, would be the major prognostic factors, and that intracerebral hematom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hyponatremia, hydrocephalus and the intraoperative aneurysmal rupture would be the minor prognostic factors.

  • PDF

내경-후교통 동맥류 수술시 전 상상돌기 절제 유무에 대한 술전 혈관조영술의 의의 (Preoperative Angiographic Value in Anterior Clinoidectomy for Surgery of Internal Carotid-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IC-PC) Aneurysms)

  • 김재훈;김재민;이형중;백광흠;김충현;오석전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9호
    • /
    • pp.1188-1194
    • /
    • 2000
  • Objective : Internal carotid-posterior communicating artery(IC-PC) aneurysms can be clipped easily without any special preparations. Occasional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ip the low-lying IC-PC aneurysms without some kinds of additional procedures. Clinical Material and Methods : We experienced four cases of low-lying IC-PC aneurysms, which the intradural anterior clinoidectomy and/or anterior petroclinoid fold(APF) resection was essential to expose the proximal side of the aneurysmal neck and/or proximal control. One patient harbored two low-lying IC-PC aneurysms bilaterall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anterior clinoidectomy : Group I(n=4) that needed an intradural clinoidectomy and/or APF resection and Group II(n=29) that had IC-PC aneurysms, easily clipped without any special preparation. Also, various radiometric parameters were measured through the preoperative angiograms. Results : The incidence of such aneurysms was 12% among a total of thirty-three surgically treated IC-PC aneurysms during lasr 3 years. Among four cases, three cases presented with subarachnoid hemorrhage and all aneurysmal sac projected to postero-inferior direction. In our study, We initially considered the necessity of intraoperative anterior clinoid process(ACP) removal and/or resection of APF in cases of shorter distance less than 5.6mm between the proximal aneurysmal sac and tip of the ACP(p<0.001), and the proximal portion of aneurysmal neck has located below the interclinoid line(p=0.001). Conclusion : Through a careful preoperative evaluation, some radiometric parameters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ACP should be removed in clipping of the low-lying IC-PC aneurysms. Unlike to total removal of the ACP, the intradural partial anterior clinolidectomy and/or APF resection, which are more familiar to surgeons, reduce the risks of the premature rupture, operative time, and also contribute a more precise clip placement with proximal control than the extradural clinoidectomy.

  • PDF

관상동맥우회술 후 재수술의 단기 및 증기 성적 (Early & Midterm Results after Redo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김준성;김홍관;장우익;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2호
    • /
    • pp.146-153
    • /
    • 2004
  • 관상동맥우회술의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은 증가하는 추세이나 아직까지 국내 보고는 미흡한 수준이다. 저자들은 관상동맥 재수술의 사망률, 유병률 등의 임상경험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4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의 재수술을 시행 받은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초 수술 후 재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66$\pm$56 (3∼157)개월이었고 재수술 시 평균연령은 62.8$\pm$8.7 (51∼78)세였다. 2003년 6월 30일을 추적관찰 종료시점으로 하여 평균추적관찰 기간은 43$\pm$29 (8∼105)개월이었다. 재수술의 적응증은 이식편의 협착 또는 완전폐쇄가 11예(78.6%), 관상동맥질환의 진행이 1예, 그리고 두 가지 병리가 혼재한 경우가 2예였다. 결과: 입원기간 중 사망은 2예(14.3%)가 발생하였고 사망원인은 저심박출증이었다. 술 후 합병증은 총 7명(50.0%)의 환자에서 8예가 발생하였는데, 수술 전후 심근경색이 2예(14.3%), 종격동염이 1예(7.2%), 십이지장 궤양천공 1예, 허혈성 하지괴사 1예, 장간막경색에 따른 위장관 천공 1예, 지연 뇌경색 1예, 비장출혈 1예 등이었다. 조기사망 2예를 제외한 12명의 환자를 추적 관찰한 결과 만기사망은 1예가 발생하였고 추적관찰 종료시점에서 협심증을 호소하는 환자는 없었으며 모든 환자가 Canadian협심증분류 1급 또는 2급의 양호한 경과를 보였다. 결론: 관상동맥 재수술은 비교적 높은 유병률과 사망률을 보였으나 퇴원 후 환자상태는 양호하였으며 향후 경험의 축적과 노력이 요망된다.

침투성 동맥경화성 궤양과 흡사한 급성 A형 대동맥 박리증 -1l례 보고 - (Acute Type A Aortic Dissection Mimicking Penetrating Atherosclerotic Ulcer)

  • 최재성;곽재건;안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호
    • /
    • pp.30-34
    • /
    • 2003
  • 급성 대동맥 박리증과 대동맥 침투성 궤양은 근내혈종과 함께 급성 대동맥 증후군을 구성하는 치명적 질환이나 그 병태생리와 자연경과가 다르고 치료전략이 다를 수 있어 정확한 감별진단을 요한다. 그러나 서로 임상양상이 비슷하고 초음파나 CT, MRI등의 진단방법으로도 명확히 구분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환자는 약 10년간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71세 여자로 내원 3일전에 갑자기 시작된 전흉부 통증 및 오심, 구토를 주소로 입원하였다.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내막박리편은 보이지 않았으며, 상행대동맥 및 무명동맥간, 대동맥궁, 하행 흉부대동맥에 걸친 근내혈종(intramural hematoma)과 양측성 혈흉 및 혈성 심낭삼출 소견이 보였고, 무명 동맥간의 하방 약 1 cm 거리에 상행대동맥의 앞쪽으로 국소적인 궤양소견이 보여 상행대동맥에 생긴 침투성 궤양 및 이로인한 대동맥 파열로 진단하고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수술장 소견에서는 무명동맥 기시부 하방 1cm 정도에 약 0.5cm크기로 내막이 찢어져 있었고 외막을 열고 오래된 혈종을 제거하니 거의 폐쇄되어있던 가성내강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내막 파열 부위와 교통하였다. 이처럼 대동맥 박리증이 침투성 궤양과 흡사한 임상양상 및 진단 소견을 보일 수 있음을 경험하였기에 증례로 보고하는 바이다.

5년간 개심술 600예에 관한 검토 (Open Heart Surgery 600 Cases for 5 Years)

  • 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4권4호
    • /
    • pp.404-420
    • /
    • 1991
  • Surgical treatment of congenital and acquired heart disease preceded the development of accurate techniques for diagnosis, heart lung machine and cardiopulmonary bypass, intraoperative myocardial protection, operative techniques and cardiac anesthesia. For 5 years from Sep. 1985 to Sep. 1990, six hundred cases of open heart surgeries [OHS] were performed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Pusan Paik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nnual number of OHS[cases per year] was above 100 since 1987, and the increasing rate of cases was 23.5% per year since 1986. 2. Among the total 600 cases, there were 470 cases of congenital heart diseases and 130 cases of acquired. Age range of the congenital patients was 8 months to 44 years with the mean age of 10 years, and acquired patients was 16 to 56 years with the mean age of 36 years. 3. Among the 470 congenital anomalies, there were 429 cases of acyanotic and 41 cyanotic patients. Totally, VSD was 286 cases[60.6%], ASD 103 cases[21.9%], TOF 35 cases [7.4%], PS 20 cases [4.1%], ECD 12 cases [2.0%], Ebstein`s anomaly 3 cases [0.6%], Valsalva sinus rupture 3 cases [0.6%] and others. The appropriate one stage radical operations were applied to the all congenital cases with the result of 2.6% immediate postoperative hospital mortality rate. 4. Among the 130 acquired cases, there were 122 cases of valvular heart diseases, 6 of heart tumors [5 myxoma, one malignant histiocytoma], one of LA thrombus and one of annuloaortic ectasia. Cardiac tumors and LA thrombus were removed through the atrial septal approach. Bentall procedure was adopted to the annuloaortic ectasia case. AVR, MVR and TVA [DeVega procedure] were applied to 120 valve diseases, and there were also one of OMC and one of MVA[Jerome-Kay procedure]. 5. Among the 120 valve replacement cases, there were 87 of single valve replacement cases [AVR: 8, MVR: 79], 11 of double valve replacement [AVR+MVR: 11], 12 of MVR+TVR and 10 of MVR+AVR+TVA. The total number of implanted prosthetic valves were 141. In MVR, 45 of St. Jude Medical valves, 63 of Carpentier-Edward valves and 4 of Ionescu-Shiley valves were used. In AVR, 18 of St. Jude Medical valves and 11 of Carpentier-Edward valves were used. in MVR, 29mm and 31mm sized valves were used mostly and In AVR, 23mm sized valves were used mostly. 6. Postoperatively many kinds of complications were occurred. Among them, wound problems [30 cases], low output syndrome [29 cases], arrhythmia [20 cases], pleural effusion and pneumothorax [13 cases] were occurred frequently. The postoperative immediate hospital mortality was 3.0% in total [congenital 2.6%, acquired 4.6%].

  • PDF

인공 건삭을 이용한 승모판성형술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Mitral Valve Repair with Artificial Chordae)

  • 이석기;김정중;오삼세;백만종;나찬영;김욱성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9호
    • /
    • pp.768-773
    • /
    • 2004
  • 판막하 조직 변형에 기인한 승모판 건삭 연장 및 파열 등은 판막성형술시 부적절한 건사 조직 때문에 판막 수술을 복잡하고 쉽지 않게 만든다. 저자들은 Expanded Polytetrafluoethylene (ePTEF)을 이용한 인공 건삭으로 판막성형술을 시행하여 그 성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3월부터 1999년 2월까지 본원에서 인공건삭을 이용해서 승모판막성형술을 시행한 26령 환자를 대상으로, 술 전, 술 중, 퇴원 전 그리고 마지막 외래 방문 시에 증상 및 심초음파 검사 소견을 비교 분석하였다. 성별분포는 남자 15명, 여자 11명, 평균 연령은 51.2$\pm$13.4세, 원인 병변은 퇴행성 18예, 류마티즘 6예 및 감염 1예 그리고 허혈성 1예였으며, 건삭 병변은 파열 18예, 연장 6예, 연장 및 파열 2예였다. 동반 판막 질환은 심방중격결손 2예, 삼첨판폐쇄부진증 7예, 동맥판폐쇄부전증 4예 및 삼첨판폐쇄부전증과 동맥판폐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가 2예 있었다. 판막성형술 시 사용한 인공 건삭 수는 3.6$\pm$1.6개였고, 모든 예에서 판륜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인공심폐기시간은 182.1$\pm$63.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133.1$\pm$45.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조기 사망은 없었으며, 판륜성형술 부위 이상과 술 후 심낭삼출액으로 재수술은 2예가 있었다. 술 후 마지막 외래 방문 시 NYHA class I: 22예(88%), II: 2예(8%), III: 1예(4%), 승모판폐쇄부전 정도* 0/IV: 20예(78%), I/IV 4예(15%), II/IV 1예(5%)이었으며, 승모판 면적 2.2$\pm$0.35 $\textrm{cm}^2$*이였다(*: p<0.05). 결론: 승모판막 병변 시 인공 건삭을 이용하여 다른 승모판막 성형술과 함께 시술하여 단기 및 중기 결과의 호전이 있어서, ePTEF을 이용한 인공건삭은 승모판막 성형술 치료 성적을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치료 - 내측과 외측 반월상 연골의 비교 - (Management of Displaced Bucket-Handle tear - Differences Between Medial & Lateral Menisci -)

  • 정선욱;한성호;양보규;이승림;하정현;김민석;여용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3-159
    • /
    • 2003
  • 목적 : 내측 및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의 양상과 동반손상에 따른 치료원칙과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8년 9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내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군)로 진단받은 52명 52예와 외측 반월상 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이하 II군)로 진단받은 31명 3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I군 25세($16\~66$세), II군 29세($18\~63$세)였고, 평균 추시기간은 I군 18개월 ($12\~50$개월), II군 13개월($6\~46$개월)이었다. 술중 관절경 검사를 통하여 연골 파열의 부위, 동반손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며, 외측의 경우 추가적으로 원판형 연골인 경우를 조사하였다 술 후 최종 추시 시 이학적 검사와 임상양상에 따라 치료 판정을 하였으며, 두 군 전체에서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되었던 경우 추시 관절경을 19례$(23\%)$에서 시행하였다. 결과 : 전방십자인대 파열이 동반된 경우는 I군 38예$(73\%)$, II군 5예$(16\%)$였으며, 원판형 연골이었던 경우는 II군에서 19예$(59\%)$였다. 최종 추시 시 봉합술을 시행한 예에서 I군의 경우 26예 중 22예$(85\%)$는 성공 판정을 받았으며, II군의 경우 3예 중 2예$(67\%)$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고,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는 I군의 경우 26예 중 전예에서 II군의 경우 28예 중 26예$(93\%)$에서 성공 판정을 받았다. 이중 I군에서 재수술을 시행한 경우가 봉합술을 시행한 2예에서 있었고, 재수술 당시 1예에서는 봉합부위의 재파열과 다른 1예에서는 새로운 부위의 파열을 발견하였다. II군에서는 원판형 연골의 모양을 보였던 19예 중 2예에서 절제술 후 남아있는 연골에서 새로운 파열이 발견되었다. 결론 : 내측과 외측 반월상연골의 전위된 양동이 손잡이형 파열에 있어 동반 손상이 현저히 다르며, 그 차이를 고려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 원칙을 정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사료된다.

  • PDF

중복판막수술후 조기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Factors for Early Major Morbidity and Mortality in Multiple-valve Operations)

  • 한일용;조용길;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33-241
    • /
    • 1998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흉부외과학교실에서는 1985년 10월부터 1996년 7월까지 약 10년간 총 124례의 중복판막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성별, 나이, 술전 X-선 심흉곽비, 심도자검사상의 평균폐동맥압, 술전 심장초음파 검사상 좌심실구출률, 술전 NYHA 기능분류등급, 치환한 판막의 수, 대동맥차단시간과 총체외순환시간, 술후 중한 합병증 발생 및 조기사망 유무를 조사하고 수술후 조기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환자중 남자가 53례, 여자가 71례로 성비는 1:1.4 였으며, 술전 임상증상으로 NYHA 기능분류상 등급 I이 3명(2.4%), 등급 II가 41명(33.1%), 등급 III가 60명(48.4%), 등급 IV가 20명(16.1%)이었고 심전도검사상 술전 심방세동이 76명(61.3%), 술전 뇌색전증 병력이 5례(4.0%), 이전에 심장수술을 받은 경우가 7례(5.7%)였다. 술후 조기사망률은 8.1%, 술후 중한 합병증 발생율은 21.8%였다. 판막수술은 승모판막과 대동맥판막을 동시에 치환한 례(57례), 승모판막치환과 삼첨판륜성형술을 한 례(48례), 승모판막과 삼첨판막을 동시 치환한 례(2례), 그리고 승모판막치환과 대동맥판막성형술을 한 례(3례)등이 있었다. 수술후 조기 임상경과에 따라 사망례를 포함한 중한 합병증을 동반한 군(A군, 27례)과 특별한 문제가 없었던 군(B군, 97례)으로 분류하고, 또 조기사망군(10례)과 생존군(114례)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분류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들이 있는지 분석하였다. A군에서 발생한 중한 합병증은 저심박출증, 종격동염, 심장파열, 심실부정맥, 패혈증 등이었다. A군과 B군의 비교에서는 대동맥차단시간(A군:153.4$\pm$42.4분, B군:134.0$\pm$43.7, p=0.042), 총체외순환시간(A군:187.4$\pm$65.5분, B군:158.1$\pm$50.6분, p=0.038), 그리고 NYHA 기능분류등급(I등급:33.3%, II등급:9.7%, III등급:20.0%, IV등급:50.0%, p=0.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술후 조기사망군(10례)과 생존군(114례)의 비교에서는 연령(사망군:45.2$\pm$8.7세, 생존군:37.2$\pm$11.6세, p=0.036), 성별(여자:12.7%, 남자:1.9%, p=0.043), 대동맥차단시간(사망군:167.1$\pm$38.4분, 생존군:135.7$\pm$43.7분 p=0.030), 그리고 술전 NYHA 기능분류등급(I등급:0%, II등급:4.9%, III등급:1.7%, IV등급:35.0%, 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으로 볼 때 NYHA 기능분류에서 술전의 임상상태가 중할수록 조기성적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환자의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조기수술이 요망되며, 개선된 수술수기나 심근보호방법등으로 대동맥차단시간과 총체외순환시간을 효율적으로 줄일수 있다면 중복판막수술후 조기성적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