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ctable

검색결과 691건 처리시간 0.025초

Efficacy of Low Dose Barbiturate Coma Therapy for the Patients with Intractable Intracranial Hypertension Using the $Bispectral^{TM}$ Index Monitoring

  • An, Hung-Shik;Cho, Byung-Moon;Kang, Jeong-Han;Kim, Moon-Kyu;Oh, Sae-Moon;Park, Se-Hyuck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7권4호
    • /
    • pp.252-257
    • /
    • 2010
  • Objective : Barbiturate coma therapy (BCT) is a useful method to control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IICP) patients. However, the complications such as hypotension and hypokalemia have caused conditions that stopped BCT early. The complications of low dose BCT with $Bispectral^{TM}$ index (BIS) monitoring and those of high dose BCT without BIS monitoring have been compar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low dose BCT with BIS monitoring. Methods : We analyzed 39 patients with high dose BCT group (21 patients) and low dose BCT group (18 patients). Because BIS value of 40-60 is general anesthesia score, we have adjusted the target dose of thiopental to maintain the BIS score of 40-60. Therefore, dose of thiopental was kept 1.3 to 2.6 mg/kg/hour during low dose BCT. However, high dose BCT consisted of 5 mg/kg/hour without BIS monitoing. Results : The protocol of BCT was successful in 72.2% and 38.1% of low dose and high dose BCT groups, respectively. The complications such as QT prolongation, hypotension and cardiac arrest have caused conditions that stopped BCT early. Hypokalemia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rate in complications of both BCT. The descent in potassium level were $0.63{\pm}0.26$ in low dose group, and $1.31{\pm}0.48$ in high dose group. The treatment durations were $4.89{\pm}1.68$ days and $3.38{\pm}1.24$ days in low dose BCT and high dose BCT, respectively. Conclusion : It was proved that low dose BCT showed less severe complications than high dose BCT. Low dose BCT with BIS monitoring provided enough duration of BCT possible to control ICP.

스포츠 손상 후 비골건 봉합술 (Peroneal Tendon Repair in Sports Injury)

  • 양기원;박기철;황지선;이홍섭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0-10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outcomes and assessed the average time to return to play following a peroneal tendon repair in Korean athlet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17, a total of 30 athletes underwent peroneal tendon repair for a peroneal tendon tear. The ind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were chronic pain or intractable symptoms after a previous ankle sprain affecting sports activity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for at least six months. The patient underwent tubulization for a longitudinal tendon rupture. Peroneus longus to peroneus brevis tenodesis was performed when tendon repair was impossible due to total rupture or multiple longitudinal rupture. Results: Twenty patients not includ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sufficient follow-up, previous surgery, and additional bone surgery. All 10 patients had a previous ankle sprain history, tenderness and swelling on the retromalleolar area. In the 10 patient population, there were five peroneus brevis tendon tears, three peroneus longus tendon tears, one peroneus longus and brevis tendon tear, and one peroneus brevis and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tear. In the 10 patients, six cases of peroneal brevis tendon repair and four cases of peroneal longus to brevis tenodesis were performed. The preoperativ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ore was improved from a mean of 60.6 (standard deviation [SD], 8.64) to a mean of 90.2, postoperatively (SD, 4.4; p<0.012). The pre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was improved from a mean of 5.43 (SD, 1.2) to 0.5 (SD, 0.16), postoperatively (p<0.023). The mean length of time to return to play was 12.2 weeks (range, 8~16 weeks). Conclusion: Peroneal tendon tear can occur due to sports injuries. If there is tenderness at the retromalleolar area, the surgeon should consider a peroneal tendon lesion. Surgical repair of the peroneal tendon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help athletes to return to play.

혈중 아연 농도는 정상이나 모발 검사에서는 감소된 아연 농도를 보인 일과성 장병성 선단 피부염 1례 (A case of acquired acrodermatitis enteropathica with a normal serum zinc level but a low level in the hair)

  • 오경일;김정희;이지은;임대현;손병관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209-212
    • /
    • 2007
  • 장병성 선단 피부염은 위장관에서 아연 흡수가 제대로 되지 않아 발생하는 질환으로서 주로 이유기의 영 유아에 호발하고 상염색체 열성 유전하는 질환이다. 홍반, 인설, 가피, 건선양 피부와 습진의 특징적인 피부 병변이 개구부와 사지 말단 부위에 대칭적으로 나타나고, 만성 설사, 탈모증, 조갑 주위염, 그리고 성장 장애가 나타나는 드문 질환이다. 혈중 아연 농도가 대부분에서 떨어져 있지만 정상 혈중 농도에서도 말초 조직 내의 아연 농도가 떨어지면 증상이 나타난다. 다른 원인 질환이 없고 만삭으로 정상 분만한 모유 수유 영아에서 조직학적으로 일치하며, 혈중 아연 농도는 정상이지만 모발에서 아연 농도가 떨어진 장병성 선단 피부염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신피질성 간질에서 발작기 $^{99m}Tc$-HMPAO 뇌혈류 SPECT의 간질병소 국소화 성능 (The Performance of Ictal Brain SPECT Localizing for Epileptogenic Zone in Neocortical Epilepsy)

  • 김은실;이동수;현인영;정준기;이명철;고창순;이상건;장기현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5-450
    • /
    • 1995
  • 신피질성 간질에서 발작기 뇌혈류 SPECT는 발작기 표면뇌파도를 기준으로 국소화했을때 67%의 국소화성능을 보였다. MR에 병변을 찾지 못한 57%(12예)에서도 혈류증가부위를 9예에서 찾을 수 있었다. 그리드삽입을 위한 수술부위 결정에 도움을 받은 경우가 MR에 나타난 병변유무와 상관없었다. 반면 MR에서는 43%에서 병변을 찾았다. 일부예에서 혈류증가부위의 확산을 관찰할 수 있었고 드물게 확산이 반대쪽 반구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부분 국소화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사용할 수 있었다. 수술후 간질발작이 가라앉는 것을 확인한 결과를 준거로 성능비교 연구를 확장하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PDF

부중심소엽 주변 경막하 전극들에서 기록된 후경골신경 체성감각유발전위 (Posterior Tibial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Recorded on Subdural Electrodes around Paracentral Lobule)

  • 서대원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1권2호
    • /
    • pp.112-117
    • /
    • 1999
  • 부중심소엽 주변의 경막하 전극들에서 기록한 PTSEP는 전극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파형을 나타내며, 파형의 최대치는 주로 부중심소엽의 후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최대값이 주변보다 확연히 차이 나며 10uV이상의 파형으로 기록될 경우는 40 msec에서 양극성을 나타낸다. 또한 주변의 전극과 상역전을 형성할 수 있는데 최대 전극의 뒤에서 형성될 경우는 더욱 분명한 상역전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경막하전극을 통한 PTSEP는 내측 반구의 부중심소엽 주변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 PDF

신혈관성 고혈압 및 장골동맥 폐쇄에 대한 수술 (Surgical Treatment for Renovascular Hypertension and Iliac Artery Occlusion)

  • 류경민;류재욱;박성식;강태수;김석곤;서필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82-586
    • /
    • 2007
  • 48세 남자 환자가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및 좌측 하지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컴퓨터 단층 혈관조영술에서 동맥경화에 의한 양쪽 신장동맥 폐쇄와 좌측 총장골동맥 폐쇄가 관찰되었으며, 2개월간의 내과적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아 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은 8 mm 인공도관을 이용하여 대동맥-양측 신동맥간 우회수술 및 대동맥-좌측 대퇴동맥간 우회수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0개월간 1종류의 항고혈압제(안지오텐신 수용체 억제제)와 항응고제만 사용하면서 정상적인 혈압을 유지하고 있다. 수술을 통한 신혈관성 고혈압의 치료는 중재적 시술기법 및 약물치료의 발달 및 최근 감소하는 경향이나, 광범위한 동맥경화가 동반된 경우에는 수술치료가 필요하다. 본 증례는 광범위한 동맥경화에 의한 신혈관성 고혈압 및 좌측장골동맥 폐쇄 환자에 대한 수술치료로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암성통증(癌性痛症)에 대(對)한 지주막하(蜘蛛膜下) 10% Phenol-Glycerine 차단(遮斷) (Intrathecal Block with 10% Phenol-Glycerine for Cancer Pain)

  • 오흥근;이윤우;윤덕미;백상기;방서욱;고신옥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권1호
    • /
    • pp.47-52
    • /
    • 1988
  • Since 1979 forty-three cancer patients have been given intrathecal block at the pain clinic of Yonsei Medical Center. The male patients numbered 23 and female 20 and most of them were in the 4th and 5th decades of age. In 78.6% of the patients, the diagnosis was rectal cancer in 20 cases, cervix cancer in 7 cases, bladder cancer in 4 cases and colon cancer in 3 cases. Thirty six patients with cancer pain were treated by intrathecal 10% phenol-glycerine block and rest of them had only test block. Fourteen patients whose pain sites were lumbar or lumbar and upper sacral dermatomes were put into the lateral recumbent position on the fluoroscopic table. The spinal puncture was performed as close to the spinal roots to be impregnated as possible. In 22 patients the pain sites were covered by the sacral dermatomes and so the L5-S1 interspace was punctured in the sitting position shifted 15 degree to the affected site. Fifty one blocks were performed and their result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good, fair antral poor. We achieved good results in 38 patients(77.1%), fair in 6 patients(17.1%) and poor in 2 patient(5.7%). Thus a satisfactory pain relief was achieved in 94.2% of patients. After intrathecal block with phenol glycerine, transient voiding difficulty was noted in 7, defecation difficulty in 1, and transient paresthesia and/or muscle weakness was present in 3 patients. The mean duration of pain relief was 2.5 months and longer than the mean survival time of 2.25 months. When patients are selected carefully and tile block is performed with great caution and good technique, the risk is minimal and a long lasting relief of intractable cancer pain achieves a painless life until death.

  • PDF

개에서 Histamine으로 유발한 피부소양증에 대한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 (Anti-pruritic Effect of Botulinum Toxin Type A against Histamine-induced Pruritus on Canine Skin)

  • 정병한;김태완;이근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279
    • /
    • 2011
  • 보툴리늄 톡신(BoNT/A)은 사람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인 주름치료제로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름치료효과 이외의 효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 피부에 히스타민을 피하 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한 다음 보툴리늄 톡신의 항소양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총 5 마리의 비글을 이용하여 우측 배측 흉부 피부에 보툴리늄 톡신 0.05 ml (5unit)를 주입한 처치부위와 좌측 배측 흉부 피부에 0.05 ml의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대조부위를 비교하였다. 보툴리늄 톡신 투여 전, 투여 후 1, 3, 7일에 Histamine 을 피내주입하여 소양증을 유발하였다. 소양증의 정도, 팽진의 지름과 두께, 홍반수치 및 피부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보툴리늄 톡신 주입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양증의 정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 < 0.05) 팽진의 지름과 두께도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했다(p < 0.05). 홍반수치는 최초 히스타민을 피내투여한 직후에 처치부위와 대조부위에서 모두 증가했으나 대조부위에 비해서 처치부위에서 적게 증가하였다. 피부표면온도는 처치부위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 < 0.05). 본 연구결과 보툴리늄 톡신은 개 피부에서 히스타민에 의한 소양증에 대한 항소양 효과를 보였으며 임상적으로 극심한 국소 소양증을 보이는 피부질환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Quercetin 에 의한 사람백혈병 세포의 TRAIL 에 대한 감수성 증가: DNA-PK/Akt 신호전달경로의 관여 (Quercetin Sensitizes Human Leukemic Cells to TRAIL-induced Apoptosis: Involvement of DNA-PK/Akt Signal Transduction Pathway)

  • 박준익;김미주;김학봉;배재호;이재원;박수정;김동완;강치덕;김선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23-1032
    • /
    • 2009
  • TNF-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는 암세포에만 작용하고 정상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항암제로서 알려져 있지만, TRAIL에 내성을 나타내는 암세포의 출현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사람 백혈병세포인 K562 및 CEM 세포는 TRAIL에 내성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백혈병 세포의 TRAIL 내성에 대한 새로운 표적 분자의 발굴과 이를 토대로 한 새로운 내성극복 방법을 연구하였다. 새로운 TRAIL sensitizer로서 quercetin을 발굴하고, 이를 K562 세포에 TRAIL과 병용 투여하므로서 TRAIL의 효과 증강에 의한 내성극복을 시도하였다. Quercetin은 DNA-PK/Akt 신호전달경로를 억제하므로서, caspases 활성 증강과 PARP cleavage, 이에 따른 Bax의 발현을 증강시키는 기전으로 K562 세포의 TRAIL에 의한 apoptosis를 증대시키는 활성이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quercetin 병용 처리에 의한 TRAIL의 활성 증강으로 TRAIL 내성이 극복됨을 CEM 세포에서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DNA-PK 발현 증강에 의한 Akt의 활성화가 TRAIL 내성을 유발하는 기전을 토대로 함을 밝힘으로써, DNA-PK 활성 억제제를 TRAIL과 병용하므로서 TRAIL 내성을 나타내는 암세포에 내성 극복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약제 병용 방법을 제시하였다.

성상신경절 차단과 전기침 자극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 (Stellate Ganglion Block and Electrical Acupuncture for Treatment of Allergic Rhinitis)

  • 김진승;진성미;조성경;김봉일;이상화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6권2호
    • /
    • pp.208-212
    • /
    • 1993
  • 1990년 5월부터 1993년 4월까지 알레르기성 비염으로 대구가톨릭대학 병원 통증치료실을 방문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SGB와 E-AP로 병용 치료 하였는바 2회 이상 시행한 49명을 본 대상으로 하여 회고적으로 관찰하였다. 나이는 7세에서부터 70세까지로 평균 34.1세 였으며, 연령별로는 41~50세 사이가 많았으며, 내원 계절별로는 가을과 여름 순으로 많았다. SGB의 평균 시행 횟수는 $6.02{\pm}4.29$회였고, E-AP의 평균 시행 횟수는 $7.15{\pm}5.57$회였다. 환자의 병력은 평균 $5.53{\pm}7.10$년 이었으며, 1주일에서 30년까지 다양하였다. 6개월 이하의 병력시 SGB의 평균 시행 횟수가 $3.13{\pm}1.81$회로 6개월 이상 병력시의 평균 시행 횟수 $6.51{\pm}4.40$회 보다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적었으며, 또한 치료기간도 6개월 이상 병력시의 $49.67{\pm}37.30$일 보다 6개월 이하 병력시의 $18.00{\pm}14.88$ 일이 통계적으로 의의있게 짧았다. 24명의 남자중 1명이, 25 명의 여자중 1명이 재발 내원하여 재 치료하였다. 치료 도중에 1명의 남자와 1명의 여자에게서 연하곤란증이 있었고, 1명의 여자에게서 4~5시간의 애성이 있었으나 그 후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본 질환은 일단 발병 하게되면 그 원인 규명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치료 역시 재발 악화 등 개운치 않은 질환인데도 전기침자극과 국소마취제에 의한 성상신경절 차단등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매우 효과적인 반응을 얻게 되어 향후 널리 보급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