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cavitary HDR brachytherapy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자궁 경부암 고선량율 강내조사 치료의 국내 현황과 적정 치료방법 (Current Status of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in Cervical Cancer in Korea and Optimal Treatment Schedule)

  • 허승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357-366
    • /
    • 1998
  • Brachytherapy is an essential part of radio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ncer. The low dose rate (LDR) regimen has been the major technique of intracavitary therapy for cervical cancer. However, there has been an expansion in the last 20 years of high dose rate (HDR) machines using Ir-192 sources. Since 1979, HDR brachytherapy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uterine cervical cancer in Korea. The number of institutions employing HDR has been increasing, while the number of low dose rate system has been constant. In 1995, there was a total 27 HDR brachytherapy units installed and 1258 cases of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ere treated with HDR Most common regimens of HDR brachytherapy are total dose of 30-39 Gy at point A with 10-13 fractions in three fractions per week. 24-32 Gy with 6-8 fractions in two fractions per week, and 30-35 Gy with 6-7 fractions in two fractions per week. The average fractionation regimen of HDR brachytherapy is about 8 fractions of 4.1 Gy each to Point A. In Korea, treatment results for HDR brachytherapy are comparable with the LDR series and appears to be a safe and effective alternative to LDR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rcinoma. Studies from the major centers report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cervical cancer as. 78-86$\%$ for Stage 1, 68-85$\%$ for stage 11, and 38-56$\%$ for Stage III. World-wide questionnaire study and Japanese questionnaire survey of multiple institutions showed no survival difference in any stages and dose-rate effect ratio (HDR/LDR) was calculated to be 0.54 to 0.58. However the optimum treatment doses and fractionation schemes appropriate to generate clinical results comparable to conventional LDR schemes have yet to be standardized. In conclusion, HDR intracavitary radiotherapy is increasingly practiced in Korea and an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cervical cancer. To determine the optimum radiotherapy dose and fractionation schedule, a nation-wide prospective study is necessary in Korea. In addition, standardization of HDR application (clinical, computer algorithms, and dosimetric aspects) is necessary.

  • PDF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in Two 9 Gy Fractions in the Treatment of Locally Advanced Cervical Cancer - a South Indian Institutional Experience

  • Ghosh, Saptarshi;Rao, Pamidimukkala Bramhananda;Kotne, Sivasank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6호
    • /
    • pp.7167-7170
    • /
    • 2015
  • Background: Although 3D image based brachytherapy is currently the standard of treatment in cervical cancer, most of the centres in developing countries still practice orthogonal intracavitary brachytherapy due to financial constraints. The quest for optimum dose and fractionation schedule in high dose rate (HDR)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CBT) is still ongoing. While the American Brachytherapy Society recommends four to eight fractions of each less than 7.5 Gy, there are some studies demonstrating similar efficacy and comparable toxicity with higher doses per fraction. Objective: To assess the treatment efficacy and late complications of HDR ICBT with 9 Gy per fraction in two frac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is a prospective institutional study in Southern India carried on from $1^{st}$ June 2012 to $31^{st}$ July 2014. In this period, 76 patients of cervical cancer satisfying our inclusion criteria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ation following ICBT with 9 Gy per fraction in two fractions, five to seven days apart.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in the study was 24 months (range 10.6 - 31.2 months). The 2 year actuarial local control rate, disease-free survival and overall survival were 88.1%, 84.2% and 81.8% respectively. Although 38.2% patients suffered from late toxicity, only 3 patients had grade III late toxicity. Conclusions: In our experience, HDR brachytherapy with 9 Gy per fraction in two fractions is an effective dose fractionation for the treatment of cervical cancer with acceptable toxicity.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시 열형광량계를 이용한 선량측정법 (TLD Dosimetry in HDR Intracavitary Brachytherapy)

  • Kim, Chang-Seon;Yang, Dae-Sik;Kim, Chul-Yong;Park, Myung-Su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1권2호
    • /
    • pp.109-116
    • /
    • 2000
  • 자궁경부암 환자의 방사선 조사시 고려하여야 할 사항 중 한가지는 결정 장기인 방광 및 직장의 부작용이다. 강내 고선량률 근접 치료시 방광과 직장의 흡수선량을 열형광량계 선량측정법을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방광 및 직장의 부작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방사선 치료 후 예후관찰 중인 200명의 자궁경부암 환자의 자기공명 영상에서 자궁경부의 중심축에서 방광 및 직장 그리고 자궁벽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밀봉시킨 열형광량계를 오보이드의 팩킹거즈 위에 놓고 씨물레이션 필름 상에서 오보이드의 중심에서부터의 거리를 측정한 후 실제의 방광과 직장의 흡수선량을 계산하였다. 발표된 연구결과들에서 방광 및 직장의 최대 견딤선량을 계산하였고 고선량률 근접치료 1회당의 허용선량을 토대로 양방향의 팩킹두께를 알아냈다 방광과 직장방향의 최소의 팩킹두께는 각각 0.43 과 0.92 cm 이었다. 이 결과를 마이스버거 다항식을 이용한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이 임상에서 고선량률 근접 치료시 방광과 직장 같은 결정장기의 흡수선량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 PDF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와 저선량률 강내치료의 비교 (High versus Low Dose-Rate Intracavitary Irradiation for Adeno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 김우철;김귀언;정은지;서창옥;홍순원;조영갑;노준규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32-39
    • /
    • 2000
  • 목적 : 자궁경부 선암은 발생률이 적어 편평상피암에 비하여 아직 치료방법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 또한 지금까지 저선량률 강내치료가 많이 사용되어 고선량률 강내치료의 결과는 많이 보고되고있지 않다. 따라서 저자들은 자궁경부 선암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와 저선량률 강내치료를 비교하여 고선량률 강내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71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목적으로 치료된 106명의자궁경부 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선량률 강내치료는 35명에서 시행되었고, 71명은 고선량률 강내치료가 시행되었다. 저선량률군에서는 병기 1기가 8명, 병기 2기가 18명, 병기 3기가 9명이었고 외부방사선치료는 10 MV X-ray를 이용하여 매일 2 Gy씩 총 40$\~$64 Gy (중앙값 48 Gy)가 조사되었다. 저선량률 강내치료는 radium 선원을 이용하여 Henshke applicator로 시행되었고 point A에 22$\~$59 Gy (중앙값 43 Gy)가 조사되었다. 고선량률군에서는 병기 1기가 16명, 병기 2기가 38명, 병기 3기가 17명 이었다. 외부방사선치료량은 40$\~$61 Gy (중앙값 45 Gy)이었고 분할선량은 1.8$\~$2.0 Gy이었다.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Co-60 선원을 사용하여 RALS (remote afterloading system)로 분할선량 3 Gy를 주 3회 총 30$\~$57 Gy (중앙값 39 Gy)가 시행되었다. 결과 :저선량률군의 5년 생존률은 병기1, 2, 3기에서 각각 72.9, 61.9, 45.0$\%$이었고 고선량률군에서는 각각 87.1, 58.3, 41.2$\%$이었다(p>0.05). 자궁경부 선암에서 고선량률군과 저선량률군간의 5년 생존률에는 차이가 혀었다. 또한 양군간에 유의한 예후인자는 없었다. 고선량률군의 만성 합병증률은 26.8$\%$로 저선량률군의 11.4$\%$에 비하여 높았으나 대부분 grade 1의 경미한 정도이었고 통계학적인 차이가 없어 받아들일 만한 결과이었다. 결론 :자궁경부 선암 환자에서 고선량률 강내치료는 저선량률 강내치료에 비하여 5년 생존률과 치료실패율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저선량률 강내치료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병기 2기와 3기에서 만성 합병증이 높아 분할 선량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자궁경부암의 강내치료를 위한 선량측정 (Dose Distribution&Calibration in HDR Intracavitary Irradiation for Uterine Cervical Cancer)

  • 김진기;김정수;김형진;권형철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6권1호
    • /
    • pp.13-18
    • /
    • 1995
  • 고선량의 RALS(Remote Afterloding Syetem)를 이용한 근접조사에서 선원의 위치에 따라 선량분포는 거리제곱의 반비례 형태로 변화되므로, 관심점의 흡수선량은 선원의 교정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자궁경부암 강내치료시 정확한 흡수선량을 결정하고자 선원을 교정하고, 선원의 위치에 따른 선량분포도에 의한 계산값과 반도체 검출기와 전리함을 이용한 설측값과 차이를 비교하고 보정 방법을 논의 하였다. Bulcher-RALS를 이용하여 치료에 사용된 선원의 교정은 공기커마와 사각형 아크랄 팬톰을 이용하여 r 인자에 의한 거리 역자승법칙으로 계산하였고, Co-60 선원의 8cm 거리에서 검교정된 측정기를 이용한 선량율을 비교치로 이용하였다. 선량측정치의 재현성은 팬톰내에서 0.3~1.1% 였으며, 측정치의 분포는 Bulcher-RALS 선량분포도에 의한 계산값과 팬톰측정치의 비교에서 -3~17%, 강내치료를 받은 18 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직장내 흡수선량에서 체내 실측값과 차이는 환자와 선원의 위치에 따라 -6~+21%로 측정값이 평균 6.3% 높게 나타났다.

  • PDF

비인강암 환자의 고선량 강내 방사선 치료의 효과 (The Role of High Dose Rate (HDR) Intracavitary Radiation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Nasopharyngeal Carcinoma)

  • 조정길;장혜숙;최은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1권1호
    • /
    • pp.91-96
    • /
    • 1993
  • From September 1989 to June 1992,22 patients with nasopharyngeal carcinoma were treated in Asan Medical Center with an external beam of 60 Gy followed by a boost dose of 15 Gy HDR brachytherapy. There were 5 females and 17 males with median age of 44 years (range: 20-69 years). All patients were histologically confirmed and staged by physical examination, CT scan and/or MRI. By the AJCC TNM staging system, there were 2 patients with stge II (T2NO), 4 with stage III (T3NO, T1-3N1), and 16 with stage IV (T4 or N2-3). Four patients received chemotherapy with 5-FU and cisplatin prior to radiotherapy.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periodically by a telescopic examination and radiologic imaging study of CT scan or MRI with a median follow-up time of 13 months (range: 3-34 months). Twenty one patients showed a complete response ore month after completing therapy and one patient showed a complete response after three months. At the time of this analysis, seventeen patients remain alive without evidence of disease, but four patients developed distant metastasis and one patient died a month after treatment. The local control rate was $100{\%}$ in a median follow-up time of 13 months. The two year overall and disease free survival rates by the Kaplan-Meier method were $94{\%}$ and $67{\%}$, respectively. Serious radiation sequelae have not been observed yet. Although longer follow-up is needed, this retrospective analysis suggests that HDR brachytherap. given as a boost therapy for nasoharyngeal carcinoma may improve the local control. To reduce the incidence of distant metastasis, we need to develop a more effective systemic chemotherapy.

  • PDF

자궁암의 고선량율 근접 방사선치료시 전산화 치료계획 시스템과 in vivo dosimetry system 을 이용하여 측정한 직장 선량 비교 (Comparison between the Calculated and Measured Doses in the Rectum during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for Uterine Cervical Carcinomas)

  • 정은지;이상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4호
    • /
    • pp.396-404
    • /
    • 2002
  • 목적 : 자궁암의 방사선치료시 호발하는 직장 부작용은 직장 방사선량과 관계가 있다는 보고들이 많다. ICRU 38에 따른 직장 선량을 측정함으로 강내 방사선치료 시에 조사되는 직장선량의 정도 관리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전산상 계산된 선량과 강내치료시 다이오드 검출기로 직접 측정된 직장 선량의 차이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 2001년 6월-2002년 2월까지 고선량율 Iridium-192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자궁경부암 환자 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강내치료는 주 2회씩 A점에 총 $6\~8$회간 총 $28\~32\;Gy$ 시행되었다 9명에서 총 44회의 강내치료 중 선량 측정이 가능하였고, 모의치료 계획시의 필름 및 분할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시에 촬영한 필름을 기준으로 전산화 계획 시스템상 계산한 직장 기준점 선량과 강내치료를 하면서 다이오드 직장 검출기에서 측정된 선량을 각각 분석하였다. 결과 : 모의치료시 필름을 기준한 직장의 전산화 계획상의 선량과 강내치료 시마다 촬영한 필름으로 다시 전산화 계획상 계산한 직장선량값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강내치료시에 촬영한 사진을 기준으로 전산화 설계에서 계산된 값과 강내치료 중에 검출기로 측정한 직장 선량 사이에도 차이가 많았다. 직장 검출기 표시점의 치료계획 선량을 5개 점에서 계산해 보았을 때 ICRU 38 직장 기준점이 최대 직장 선량점과 일치하는 경우는 $22.2\%$ (2/9)에 불과하였다. 결론 : 자궁암에서 고선량율 강내 방사선치료 선량을 계획할 때 모의 치료시 촬영한 필름만 가지고 직장 선량을 최적화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고 볼 수는 없다. 본 연구를 통해 고선량율 강내치료시의 직장 선량이 치료시마다 상당히 변화가 많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므로 가능하면 직장선량을 실측하거나 아니면 최소한 직장표지기를 삽입하고 측방 투시를 함으로 직장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자궁암의 고선량을 강내 방사선치료에서 정도관리 면에서 중요한 과정이라 생각한다.

Comparisons between the KKU-Model and Conventional Rectal Tubes as Markers for Checking Rectal Doses during Intracavitary Brachytherapy of Cervical Cancer

  • Padoongcharoen, Prawat;Krusun, Srichai;Palusuk, Voranipit;Pesee, Montien;Supaadirek, Chunsri;Thamronganantasakul, Koms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5호
    • /
    • pp.6115-6120
    • /
    • 2014
  • Background: To compare the KKU-model rectal tube (KKU-tube) and the conventional rectal tube (CRT) for checking rectal doses during high-dose-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HDR-ICBT) of cervic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February 2010 and January 2011, thirty -two patients with cervical cancer were enrolled and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EBRT) and intracavitary brachytherapy (ICBT). The KKU-tube and CRT were applied intrarectally in the same patients at alternate sessions as references for calculation of rectal doses during ICBT. The gold standard references of rectum anatomical markers which are most proximal to radiation sources were anterior rectal walls (ARW) adjacent to the uterine cervix demonstrated by barium sulfate suspension enema. The calculated rectal doses derived from actual anterior rectal walls, CRT and the anterior surfaces of the KKU-tubes were compared by using the paired t-test. The pain caused by insertion of each type of rectal tube was assessed by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Results: The mean dose of CRT was lower than the mean dose of ARW ($Dmean_0-Dmean_1$) by $80.55{\pm}47.33cGy$ (p-value <0.05). The mean dose of the KKU-tube was lower than the mean dose of ARW ($Dmean_0-Dmean_2$) by $30.82{\pm}24.20cGy$ (p-value <0.05). The mean dose difference [($Dmean_0-Dmean_1$)-($Dmean_0-Dmean_2$)] was $49.72{\pm}51.60cGy$,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42.32 cGy -57.13 cGy with the t-value of 13.24 (p-value <0.05). The maximum rectal dose by using CRT was higher than the KKU-tube as much as 75.26 cG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the t-score of 7.55 (p-value <0.05). The mean doses at the anterior rectal wall while using the CRTs and the KKU-tub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value=0.09). The mean pain score during insertion of the CR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KKU-tube by a t-score of 6.15 (p-value <0.05) Conclusions: The KKU-model rectal tube was found to be an easily producible, applicable and reliable instrument as a reference for evaluating the rectal dose during ICBT of cervical cancer without negative effects on the patients.

고선량율 질강 근접조사를 위한 새로운 적용구의 제작 (Design of a New Applicator for High-Dose Rate Vaginal Brachytherapy)

  • 신세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23-128
    • /
    • 2000
  • 본 연구에서 인체공학적으로 개선된 새로운 2-채널 고선량을 근접치료용 적용구(Shin's Applicator)를 개발하였으며, 기존의 단일 선원 근접치료 적용구와 비교하여 질벽에 더 균등한 방사선치료가 가능하고 방광과 직장선량이 적어 근접치료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감소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Shin's Applicator는 자궁 경부암이나 자궁 체부암의 수술 후 국소재발이나, 절강에 발생한 다발설 악성종양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방사선 치료 후 흔히 나타나는 질강의 협착을 예방할 수 있는 질 확장기(vaginal dilator)로도 사용 가능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Shin's Applicator는 부인과 종양환자들의 방사선치료 뿐만 아니라 치료 후 삶의 질의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자궁경부암 근접치료에서 A점과 H점을 이용한 치료계획 시 선량 비교 (Comparison of Dose When Prescribed to Point A and Point H for Brachytherapy in Cervical Cancer)

  • 강지형;김일환;황선붕;김웅;임형서;강진묵;김기환;이아람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61-66
    • /
    • 2012
  •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궁강 내 근접치료 시 ABS (American Brachytherapy Society)에서 권고한 H점(point H)을 이용한 치료계획을 수립해 보았고, 이를 A점(point A)에 처방한 치료계획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 탄뎀(tandem)과 난형체(ovoid)를 이용해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high dose 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를 시행한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계획은 Manchester System에 따라 A점, 방광 기준점, 직장 기준점을 지정하였고, ABS의 권고에 따라 H점을 지정하였다. 또한 임의로 S자 결장기준점과 질 기준점을 설정하였다. A점과 H점의 위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으며, H점에 100%의 선량을 처방하였을 때 A점에 들어가는 선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A점과 H점에 각각 선량을 처방하였을 때 직장, 방광, S자 결장, 질 기준점에 들어가는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H점이 A점보다 미측에 있는 경우 A점의 상대선량은 기존의 A점이 아닌 H점에 처방하였을 때 더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광 기준점과 직장 기준점, S자결장 기준점, 질 기준점에서의 상대선량은 H점이 두측에 있는 경우 H점에 처방하였을때의 선량이 A점에 처방하였을 때보다 크며, 미측에 있는 경우 더 적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H점이 A점보다 두측에 위치할수록 주변 장기의 흡수선량이 커지고, 미측에 위치할수록 주변 장기의 흡수선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 선량 차이가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지만, 두 치료계획에서의 선량 분포 및 주변 장기 흡수선량 차이가 크다면 두 점의 치료계획은 비교 또는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