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ra Coding

검색결과 340건 처리시간 0.022초

3D-AVC에서 색상 영상 정보를 이용한 깊이 영상의 빠른 화면 내 예측 모드 결정 기법 (Fast Intra Mode Decision Algorithm for Depth Map Coding using Texture Information in 3D-AVC)

  • 강진미;정기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9-157
    • /
    • 2015
  • The 3D-AVC standard aims at improving coding efficiency by applying new techniques for utilizing intra, inter and view predictions. 3D video scenes are rendered with existing texture video and additional depth map. The depth map comes at the expense of increased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encoding process. For real-time applications, reducing the complexity of 3D-AVC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we present a fast intra mode decision algorithm to reduce the complexity burden in the 3D video system. The proposed algorithm uses similarity between texture video and depth map. The best intra prediction mode of the depth map is similar to that of the corresponding texture video. The early decision algorithm can be made on the intra prediction of depth map coding by using the coded intra mode of texture video. Adaptive threshold for early termination is also propos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saves the encoding time on average 29.7% without any significant loss in terms of the bit rate or PSNR value.

제 2차 잔차 변환을 이용한 HEVC 무손실 인트라 코딩 (Secondary Residual Transform for Lossless Intra Coding in HEVC)

  • 곽재희;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734-741
    • /
    • 2012
  • 차세대 영상압축 표준인 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 적용되는 새로운 인트라 코딩 기법은 잔차 변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HEVC는 공간상의 중복성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향의 공간 예측 방식을 하도록 만들어졌으며, 이를 위해 부호화 하려는 블록의 주변 화소들을 활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HEVC 표준에서의 새로운 무손실 인트라 코딩 방식은, 공간적 예측을 위해 화소 단위 DPCM (Difference Pulse Code Modulation)을 수행하면서도 잔차 변환과, 잔차 변환의 결과로 얻어지는 잔차 신호에 대해 잔차 변환을 재차 시행하는 제 2차 잔차 변환을 사용하여 블록 단위 처리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결과에서 보여지는 대로, 새로운 무손실 인트라 코딩 방식은 기존의 HEVC 표준과 비교하였을때 비트레이트를 평균 약 6.45%정도 감소시킨다.

H.264/AVC의 고속 인트라 모드 결정을 위한 효과적인 인트라 모드 (Efficient Intra Modes for Fast Intra Mode Decision of H.264/AVC)

  • 이웅호;이정호;조익환;정동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12C호
    • /
    • pp.1144-1152
    • /
    • 2005
  • 인트라 예측 코딩은 H.264/AVC에 제시된 여러 가지 효율적인 코딩 도구 중 하나이지만 그 결정과정에서 많은 계산량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과도란 계산량을 줄이기 위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을 위한 많은 고속화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이전 대부분의 연구가 모드 결정 과정에 집중된 반면 본 논문에서는 비트율-왜곡 최적화를 통한 인트라모드의 결정시 연산 수행 대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 중 여러 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한두 개의 효율적인 인트라 예측 모드로 대체하여 고속화를 이루었다. 추 논문에서 제안한 알고리즘을 참조소프트웨어로 구현한 실험결과 눈에 띄는 화질의 저하 없이 전체 부호화에 약 $49\%$의 계산량을 줄이는 효과를 보였다.

무손실 영상 압축을 위한 향상된 CABAC 방법 (Improved CABAC Method for Lossless Image Compression)

  • 허진;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6C호
    • /
    • pp.355-36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무손실 영상 압축의 효율을 높이가 위해 새로운 문맥 기반 적응적 이진 산술 부호화(context-based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H.264/AVC의 CABAC은 손실 (loosy) 부호화 환경에 적합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무손실 (lossless) 부호화 환경에서 최적의 부호화 성능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무손실 화면내 부호화 환경에서 잔여 신호의 통계적 특성을 고려하여 향상된 CABAC 기반의 잔여 신호 부호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로부터 무손실 화면내 부호화 환경에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향상된 CABAC 방법이 기존의 CABAC 방법에 비해 평균적으로 약 18.2% 정도의 비트 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했다.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한 변환 영역 잔차 신호 Wyner-Ziv 부호화 (Transform-domain Wyner-Ziv Residual Coding using Temporal Correlation)

  • 조현명;은현;심혁재;전병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40-151
    • /
    • 2012
  • Wyner-Ziv 부호화 방법에서는 키 픽처 부호화를 위하여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낮은 H.264/AVC 인트라 부호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인트라 부호화와 달리 인터 부호화는 율 왜곡 성능은 매우 좋으나, 움직임 예측 및 보상과 같은 복잡한 연산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때문에 저복잡도 부호화를 지향하는 분산 비디오 부호화에 적합하지 않다. 하지만 제로 모션 부호화 방법은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하면서도 높은 복잡도를 갖는 움직임 예측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현재 Wyner-Ziv 부호화에 사용하고 있는 키 픽처 부호화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특히, 변환 영역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은 시간적 중복성을 WZ 픽처에만 활용하기 때문에, 제로 모션 부호화 방법으로 키 픽처를 부호화하는 경우 키 픽처와 WZ 픽처 모두 시간적 상관도를 활용하여 율 왜곡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로 모션 키 픽처 부호화를 적용한 Wyner-Ziv 부호화의 경우, 인트라 키 픽처 부호화를 사용한 기존의 Wyner-Ziv 부호화 대비 평균적으로 약 9%의 복잡도가 증가되었지만, 움직임이 적은 정적인 영상에서 최대 54% 비트율이 감소하였다. 또한, 변환 영역 Wyner-Ziv 잔차 신호 부호화 기술에 제안한 제로 모션 키 픽처 부호화를 적용할 경우, 인트라 키 픽처 부호화를 사용한 기존의 Wyner-Ziv 부호화의 율 왜곡 성능과 비교하여 최대 70%의 비트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H.264 표준을 위한 효율적인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An Efficient Intra Prediction Mode Decision Method for H.264 Standard)

  • 박지윤;이창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0C호
    • /
    • pp.778-786
    • /
    • 2008
  • 가장 최근에 표준화된 H.264 동영상 압축 부호화 기법에서는 많은 새로운 기술들을 적용하여 높은 부호화 성능을 보인다. 특히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기 위해 모든 예측 모드들에 대해 비트율 왜곡 최적(rate distortion optimization) 기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을 이용하여 인트라 모드를 결정하고 영상의 edge들을 찾아내는 연산을 통해 블록의 방향성을 찾고 그 방향성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에 필요한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효율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Relative SATD-based Minimum Risk Bayesian Framework for Fast Intra Decision of HEVC

  • Gwon, Daehyeok;Choi, Haechul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1호
    • /
    • pp.385-405
    • /
    • 2019
  •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HEVC) enables significantly improved compression performance relative to existing standards. However, the advance also requires high computational complexity. To accelerate the intra prediction mode decision, a minimum risk Bayesian classification framework is introduced. The classifier selects a small number of candidate modes to be evaluated by a rate-distortion optimization process using the sum of absolute Hadamard transformed difference (SATD). Moreover,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a loss factor that is a good trade-off model between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coding efficiency.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 31.54% average reduction in the encoding run time with a negligible coding loss of 0.93% BD-rate relative to HEVC test model 16.6 for the Intra_Main common test condition.

H.264 무손실 부호화를 위한 Intra residual DPCM (Intra residual DPCM for H.264 lossless coding)

  • 한기훈;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74-180
    • /
    • 2006
  • ITU-T와 ISO/TEC의 공동 작업으로 제정 된 H.264/MPEG-4 AVC는 기존 비디오 표준들에 비해 동일한 화질에서 약 $30%{\sim}70%$의 비트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일한 비트량으로 PSNR이 $2{\sim}3dB$ 가량 우수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H.264/MPEG-4 AVC는 손실압축 뿐만 아니라 무손실 압축도 지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H.264/MPEG-4 AVC의 무손실 부호화 효율을 향상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Intra 예측 후 잔차 신호들을 DPCM 하는 방법으로, 공간적으로 최인접 화소로부터 예측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최인접 화소로부터 예측 시, 복호화기에서 파이프 라인이 깨지는 문제를 유발하지 않으므로 하드웨어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실험결과 제안한 방법은, Intra 무손실 부호화 시 비트량을 약 12% 정도 절감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제안한 방법은 현재 표준화중인 H.264/MPEG-4 AVC Advanced 4:4:4 프로파일에 채택되었다.

Intra Coding Tools of Enhanced Compression beyond VVC Capability

  • Kim, Bumyoon;Jeon, Byeungwoo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985-998
    • /
    • 2022
  • Even after the standardization of VVC completed in 2020, continuing efforts for developing even better video coding technology are still under way. In this context, the Joint Video Experts Group (JVET) is developing various video compression technologies under the name of enhanced compression beyond VVC capability which has reported BDBR gain of -6.75%, -14.05%, and -15.25% on its test model, ECM version 5.0, respectively in Y, Cb, and Cr channels by just having a few new or improved intra coding tools. The current activity has so far adopted 11 intra coding tools beyond VVC which can generate more sophisticated predictors, reduce signaling overhead, or combine various predictors. In this tutorial paper, we will review these techniques.

이웃한 블록 내 화소 정보를 이용한 투표 결정 기반의 인트라 예측 모드 부호화 생략 방법 (Voting-based Intra Mode Bit Skip Using Pixel Information in Neighbor Blocks)

  • 김지언;조혜정;정세윤;이진호;오승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498-512
    • /
    • 2010
  • 인트라 프레임 부호화 기술은 임의 접근성과 에러 확산 방지에 용이하기 때문에 비디오 부호화 기술의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인터 부호화 기술에 비해 낮은 부호화 효율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H.264/AVC 인트라 부호화 방식은 기존 표준 방법들보다 부호화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지만 부호화 과정이 복잡하여 저 비트율 기반의 양방향 서비스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복호화기 측의 예측을 이용해 인트라 부호화 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며 부호화 시간을 단축시키는 V-IMBS (Voting-based Intra Mode Bit Skip)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복호화기가 부호화기에서와 동일하게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면 인트라 예측 모드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기존의 H.264/AVC 표준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부호화하여 복호화기로 전송한다. V-IMBS는 H.264/AVC보다 시험 시퀀스에 대해 PSNR 값이 평균 약 0.24 dB 정도 향상되었고, 비트율도 평균 약 4.44% 정도 감소되었다. 또한 전체 부호화 시간도 평균 약 42.8% 정도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