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pretation Attribute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32초

두리틀 로봇 프로그래밍 일원화를 위한 로봇 객체 설계 (Unifing Robot Control Programming Language And Dolittle Using Robot Objects)

  • 권대용;염용철;유승욱;이원규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3-32
    • /
    • 2005
  • 두리틀은 프로그래밍을 통해 컴퓨터 과학의 원리 및 개념의 학습을 돕는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이다.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다. 그러나 두리틀과 로봇 제어용 언어는 명령어나 언어체계, 실행체계가 다르다. 따라서 학습자는 로봇제어를 위해 사실상 두 가지 언어를 습득해야 하므로 두리틀의 교육용언어로써의 장점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리틀 거북객체 명령어를 로봇 제어 명령어로 변환하여 주는 parser를 이용하여 두리틀과 로봇 로봇제어용 언어의 일원화를 시도하였지만, 거북객체와 로봇의 속성이 다름으로 인해 적용 가능한 명령어가 일부분에 그치는 제약을 극복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리틀 표준객체군에 로봇을 직접 제어할 수 있는 로봇객체를 추가함으로써 두리틀과 로봇 제어용 언어 일원화의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여 로봇을 포함한 두리틀의 다양한 객체를 동시에 제어하는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도록 하여 로봇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제고하였다.

  • PDF

복잡한 지질구조 지역에서의 3차원 탄성파 Attribute를 이용한 층서해석 사례 (3-Dimensional Sequence Interpretation of Seismic Attributes in the Structurally Complex Area)

  • 김건득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권3호
    • /
    • pp.149-153
    • /
    • 1999
  • 본 연구는 한국석유공사가 셸사(화란)와 공동탐사를 하고있는 남콘손분지에 대한 3차원 탐사작업의 일환으로 실시되었으며 구조가 매우 복잡한 동지역에서의 탄성파층서 해석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지질구조가 복잡한 지역에서는 탄성파상이나 시퀀스 경계면 형태(lap-out pattern)가 탄성파 자료상에 잘 나타나지 않으므로 Exxon Group(Vail et at., 1977)등이 개발한 탄성파 층서 분석법의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지역에서는 시추공의 층서분석 결과와 탄성파 Attribute 및 등층후도 등을 이용하여 탄성파 층서 분석을 실시할 수 있다. 연구결과 탄성파 Attribute는 시퀀스 및 시스템트랙면의 고퇴적 환경과 암상변화와 대비가 되며 등층후도 및 구조도를 사용하여 시스템트랙 내부의 층서변화와 대비가 가능하였다. 또한 Azimuth Attribute를 사용하여 탄화수소의 이동경로 등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층서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저류암, 덮개암, 구조형성시기, 및 탄화수소의 이동경로 등에 대한 리스크를 계산하는데 이용하였다.

  • PDF

TIMSS 2003의 내용 영역별 수학 성취도 국제 비교 (International Achievement in Mathematics Content Areas Based on TIMSS 2003)

  • 김선희;김경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239-261
    • /
    • 2008
  • 본 연구는 TIMSS 2003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수학 성취도를 내용 영역별로 싱가포르, 대만, 홍콩, 일본과 비교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구성형과 선다형 문항 모두에서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낮았으며 일본에 비해서는 선다형 문항의 정답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 영역별 평균 정답률을 보면, 우리나라는 수 영역에서 싱가포르보다 낮았는데, 특히 '비 비율 백분율'의 차이가 컸다. 대수 영역의 하위 주제 정답률은 높았지만 측정 영역, 특히 '속성과 단위'에서는 정답률이 5개국 중 가장 낮았다. 기하 영역에서는 평균 정답률이 가장 높았으나, '평면도형과 입체도형', '대칭과 변환'에서는 높지 않았다. 자료 영역에서도 정답률이 높지 않았는데 우리나라 학생들이 중앙값, 범위, 분포 상태, 자료를 통해 미지의 값 추정하기, 자료 해석에 대하여 평가하기 등의 내용에 대한 학습 경험이 부족한 것에 그 원인이 있을 수 있다. 문항 분석 결과, 우리나라 정답률이 국제 평균보다 35% 이상 높은 문항은 194개 중 42개로서 수 10개, 대수 9개, 측정 10개, 기하 7개, 자료 6개였고, 국제 평균보다 낮은 문항은 측정, 기하, 자료 영역에 각각 하나씩 있었다. 또한 우리나라보다 전체 성취도 순위가 높았던 싱가포르에 비해 정답률이 20% 이상 낮았던 문항은 10개가 있었다.

  • PDF

Modelling land degradation in the mountainous areas

  • Shrestha, D.P.;Zinck, J.A.;Ranst, E. V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817-819
    • /
    • 2003
  • Land degradation is a crucial issue in mountainous areas and is manifested in a variety of processes. For its assessment, application of existing models is not straightforward. In addition, data availability might be a problem. In this paper, a procedure for land degradation assessment is described, which follows a four-step approach: (1) detection, inventory and mapping of land degradation features, (2) assessing the magnitude of soil loss, (3) study of causal factors, and (4) hazard assessment by applying decision trees. This approach is applied to a case study in the Middle Mountain region of Nepal. The study shows that individual mass movement features such as debris slides and slumps can be easily mapped by photo interpretation techniques. Application of soil loss estimation models helps get insight on the magnitude of soil losses. In the study area soil losses are higher in rainfed crops on sloping terraces (highest soil loss is 32 tons/ha/yr) and minimal under dense forest and in irrigated rice fields (less than 1 ton/ha/yr). However there is high frequency of slope failures in the form of slumps in the rice fields. Debris slides are more common on south-facing slopes under rainfed agriculture or in degraded forest. Field evidences and analysis of causal factors for land degradation helps in building decision trees, the use of which for modelling land degradation has the advantage that attributes can be ranked and test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In addition, decision trees are simple to construct, easy to implement and very flexible in adaptations.

  • PDF

프로덕트 라인 개발에서 피쳐 모델의 명세화 기법 (Feature Model Specification Method in Product-Line Development)

  • 송재승;김민성;박수용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1호
    • /
    • pp.1001-1014
    • /
    • 2003
  •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의 요구에 대응하고자 특정 영역에 속하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재사용을 높이려는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프로덕트 라인 개발 방법에서는 영역 내의 여러 애플리케이션들 간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류하는데 피쳐 모델링이라는 분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기존 피쳐 모델링에서는 피쳐를 비정형적으로 명세화하기 때문에 모호성, 이해의 오류, 잘못된 해석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피쳐를 추상화하여 도메인에 독립적인 메타 모델로 나타내고 정형화 기법을 도입하여 명세화 한다면 기존의 피쳐 모델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메타 수준에서의 피쳐 모델링을 통하여 피쳐의 구조와 속성을 정의한 후 다중 패러다임 정형화 명세 언어를 사용하여 피쳐를 명세화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피쳐에 대한 정형화 명세 프로세스를 기술하였으며, 셋째, 명세화된 피쳐들 간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피쳐 상호작용 관리기법을 정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시된 피쳐의 정형화 명세 기법을 분산 미팅 스케줄러 시스템에 적용시켜보았다.

모바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속성이 정치, 경제, 사회적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적 분석 (Statistical analysis of mobile internet news users' attributes affecting on opinion formation for social major issues)

  • 김재희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1호
    • /
    • pp.57-74
    • /
    • 2021
  •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의 스마트기기의 확산으로 모바일 기반 인터넷의 이용률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으며, 이로 인해 모바일 인터넷의 영향력도 중요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난 일주일동안 모바일 인터넷을 통해 뉴스를 본 뉴스 이용자의 어떠한 특성들에 따라 정치, 경제, 사회적 주요 현안에 대한 의견을 형성할 때 모바일 인터넷의 영향을 받는지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 언론 진흥재단의 2016년과 2017년의 언론수용자 의식조사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모바일 인터넷 뉴스 이용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구소득, 뉴스 이용일수, 뉴스 이용시간, 언론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일수, 뉴스모음 애플리케이션 이용일수, 포털 이용일수, 언론사 공식 홈페이지 이용일수를 뉴스 이용자의 특성으로 지정하였다. 모바일 인터넷 의견 형성 여부에 뉴스 이용자의 어떠한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를 적합하고 해석하였다.

Automated Water Surface Extraction in Satellite Images Using a Comprehensive Water Database Collection and Water Index Analysis

  • Anisa Nur Utami;Taejung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25-440
    • /
    • 2023
  • Monitoring water surface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ominent areas of research in addressing environmental challenges.Accurate and automated detection of watersurface in remote sensing imagesis crucial for disaster prevention, urban planning, and water resource management, particularly for a country where water plays a vital role in human life. However, achieving precise detection poses challenges. Previous studies have explored different approaches,such as analyzing water indexes, like normalized difference water index (NDWI) derived from satellite imagery's visible or infrared bands and using k-means clustering analysis to identify land cover patterns and segment regions based on similar attributes. Nonetheless, challenges persist, notably distinguishing between waterspectralsignatures and cloud shadow or terrain shadow. In thisstudy, our objective is to enhance the precision of water surface detection by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water database (DB) using existing digital and land cover maps. This database serves as an initial assumption for automated water index analysis. We utilized 1:5,000 and 1:25,000 digital maps of Korea to extract water surface, specifically rivers, lakes, and reservoirs. Additionally, the 1:50,000 and 1:5,000 land cover maps of Korea aided in the extraction process. Our research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utilizing a water DB product as our first approach for efficient water surface extraction from satellite images, complemented by our second and third approachesinvolving NDWI analysis and k-means analysis. The image segmentation and binary mask methods were employed for image analysis during the water extraction process. To evaluate the accuracy of our approach, we conducted two assessments using reference and ground truth data that we made during this research. Visual interpretation involved comparing our results with the global surface water (GSW) mask 60 m resolution, revealing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uality and resolution. Additionally, accuracy assessment measures, including an overall accuracy of 90% and kappa values exceeding 0.8, further support the efficacy of our methodology. In conclusion, thisstudy'sresults demonstrate enhanced extraction quality and resolution. Through comprehensive assessment, our approach proves effective in achieving high accuracy in delineating watersurfaces from satellite images.

유색 대두수집종의 특성 연구 제4보 유색 대두수집종의 식미특성과 관련형질간 상호작용 (Basic Studies on the Native Colored-Soybean Cultivars IV. Sensory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Related Component in Seeds of Collected Colored-Soybean Cultivars)

  • 구자옥;하기용;홍은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62-468
    • /
    • 1983
  • 1980년 포장에 공시했던 38개 유색 대두종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 그리고 관능검사치와 Texturometer Parmeter의 수치 및 종실의 화학성분 함량상호간 상관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부분의 식미성분은 종실중보다 품종별 특성에 영향을 받으며, 종실중$\times$품종 상호작용 효과에 따라서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2. 38개 공시 수집종중 전체적인 식미 수용도가 높은 10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3. 관능검사치, Texturometer측정치 및 종실성분간에는 형질에 따라 유의한 정 또는 부의 상관계수가 인정되었다. 4. 전체적인 유색 대두의 Overall-Acceptance를 Texturometer 요인들의 다중회귀로 산출한 결과, Cohesiveness와 Gumminess의 회귀계수가 컸으며, 소ㆍ중립은 Cohesiveness가, 대ㆍ특대립은 Gumminess가 컸다. Sensory 요인 중에서 Overall-Acceptance에 가장 높은 회귀계수를 보이는 것은 식후감이었다. 또 Y축(Acceptance Degree)은 대립 > 특대립 > 중립 > 소립의 순으로 높았다. 5. Overall-Acceptance에 대한 기여도는 소립ㆍ중립ㆍ특대립의 경우에는 Cohesiveness가 가장 컸으나 대립에서는 Hardness였으며, 관능검사치 가운데서는 일반적으로는 물렁이지 않고 씹히는 맛이 있는 특성들의 기여도가 컸다.

  • PDF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exual Offender in Prison)

  • 한인영;김진숙;김지혜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3호
    • /
    • pp.121-155
    • /
    • 2011
  • 본 연구는 교도소와 치료감호소에 수감되어 있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로서 이론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의 경험의 본질구조를 살펴보고자 했고 실천적으로는 성폭력 가해자들의 재범을 막고 치료적 감호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 개입의 근거 자료를 구축하고자 했다. 연구는 Van-Manen(1990)의 분석틀을 원용하여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으로 수행했고 연구에는 7명의 성폭력 가해자가 참여했다. 자료는 심층면담으로 수집했으며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론의 피해자라는 인식, 카인의 표식, 견본생활(show window)로 인한 성찰기회의 상실, 구별짓기(distinction)를 통한 집단차별화, 허물을 벗고자 하는 형이상학적 존재의 발현, 과학적 관리기술의 역이용, 상상계(the Imaginary)로부터의 미분화(undifferentiation), 도치된 소통으로 나타난 성행위, 통제받음의 반동형성으로서 지배영역을 찾음, 아동의 성마저 상품화하는 자본주의 속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음, 성정체성 사회화과정에서의 왜곡, 억눌린 욕망의 화신으로 각인된 부상, 상실된 어머니의 순결성 회복, 산산이 부서진 이름으로서의 가족 등으로 나타났다.

Complementary Color Scheme Which Appeared in Women's Fashion Collections of New York, Milan, Paris, and London

  • Kwon, Hae-S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3권6호
    • /
    • pp.125-136
    • /
    • 2009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ary color scheme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mporary women's fashion color coordination as they appear in the 'Collections'. Data collection of 115 was done through review of 'pr$\hat{e}$t-$\grav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ities; Milan, London, New York, Paris.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characteristics of complementary color harmony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in four collection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ed; (1) Only 115 complementary color schemes out of 4968 two color combinations appeared. Compared the comparative ratios of appearance frequency between the two color combination and the complementary color harmony, London showed the highest, and followed by New York, and Milan and Paris. (2)The combined color type of 'red+green' wa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nd followed by 'violet+yellow' and 'orange+blue'. For the type of tone harmony, the contrast tone showed the most, and followed by the similarity and identity. According to the type of complementary color combination, the type of tone harmony used differently. Some differences showed in the types of color harmony and tone harmony between collections. (3) The complementary color scheme which shown in four collections harmonized two opposite colors mainly through the strong tone contrast and this could cause tension along with interest in the image. The complementary colors intensified and brought out the attributes each other. More details, high contrast of two complementary colors of yellow and violet created a vibrant look especially when used at higher saturation. Sometimes, however, some tone variations of two hues neutralized the strong effect and sometimes enhanced each other. When they used in similarity tones or identity tones in light colors, the tension was reduced and became softened but still presented nice harmony. In the type of 'red+green' color harmony, the various color combinations were demonstrated, mostly through tone manipulation of green color. The similarity tone harmony, which used the most, could effect a better sense of harmony and present more sophisticated looks. When used in contrast tone harmony, some changes in its own color which have only one color of two the excessive intensity led a good harmony. The 'orange+blue' color harmony was shown the least and used three tone harmony almost the same ratio. In this color harmony, blue amplified its energy and brilliance of orange and seemed to work better when one color was at a lower intensity than the other. In harmony with a similarity and an identity tone, this color harmony produces a stable and calm image. (4) The complementary scheme appeared more frequently in the S/S collections than in A/W collections and showed som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color harmony and tone harmony between seasons, however, no big differences between coll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