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osseous impla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악안면 보철의 임상적 고찰;골내 매식술을 통한 보철적 회복에 관하여 (CLINICAL STUDY OF MAXILLOFACIAL PROSTHESES;OSSEOINTEGRATED IMPLANTS FOR MAXILLOFACIAL PROSTHESES)

  • 민승기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5호
    • /
    • pp.406-414
    • /
    • 2001
  • 현재 악안면 보철 제작에 있어 재료로 실리콘이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굳어져 가고 탄력성을 잃으며 원래의 색도 노랗게 변색되어 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재료의 화학적 구성 단점 때문에 보철 생명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환자들은 매 3년마다 새로운 보철물을 재 제작하여야 한다. 그렇다면 복잡했던 악안면 기공 과정을 다시 반복해야 하는 시간적, 물질적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이러한 단점들을 보완하고 환자 피부색과 적합이 잘 되는 다양한 색의 실리콘 개발과 아울러 눈동자를 깜빡일 수 있는 인공 눈동자의 개발 등이 필요하며, 눈동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인공 수정체의 발전이 향후 악안면 보철 분야의 큰 과제라 할 수 있다.

  • PDF

요골두 치환술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Radial Head Prosthesis)

  • 문준규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40-145
    • /
    • 2011
  • 목적: 금속 요골두 치환술은 주관절 불안정성을 동반한 고정할 수 없는 분쇄된 요골두 골절의 치료로 최근 다양한 임플란트의 개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저자는 금속성 요골두 치환술의 적응증과 국내에 사용중인 임플란트의 종류와 수술 술기를 문헌 고찰과 함께 기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골두 치환술의 주 적응증은 동반된 연부조직 손상으로 인한 주관절의 불안정성이 있고, 요골두의 분쇄 골절로 안정적인 내고정이 불가능한 골절이다. 이러한 경우 과거 시행되었던 요골두 절제술은 많은 합병증의 발생으로 금기시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양극성, 압박 고정 단극성 및 이완 고정 단극성 임플란트의 3종류가 수입되어 사용되고 있다. 요골두 치환술은 궁극적으로 원래의 요골두의 크기와 길이로 복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과도하게 긴 요골두의 삽입은 흔한 합병증으로 수술 시 주의가 필요하다. 결과 및 결론: 요골두 치환술은 적절한 적응증과 정확한 수술 술기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향후 장기추시 연구와 다양한 치환물들의 임상적인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Treatment of Nonsyndromic Craniosynostosis Using Multi-Split Osteotomy and Rigid Fixation with Absorbable Plates

  • Nam, Su Bong;Nam, Kyeong Wook;Lee, Jae Woo;Song, Kyeong Ho;Bae, Yong Cha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1-217
    • /
    • 2016
  • Background: Nonsyndromic craniosynostosis is a relatively common craniofacial anomaly and various techniques were introduced to achieve its operative goals. Authors found that by using smaller bone fragments than that used in conventional cranioplasty, sufficiently rigid bone union and effective regeneration capacity could be achieved with better postoperative outcome, only if their stable fixation was ensured. Methods: Through bicoronal incisional approach, involved synostotic cranial bone together with its surrounding areas were removed. The resected bone flap was split into as many pieces as possible. The extent of this 'multi-split osteotomy' depends on the degree of dysmorphology, expectative volume increment after surgery and probable dead space caused by bony gap between bone segments. Rigid interosseous fixation was performed with variable types of absorbable plate and screw. In all cases, the pre-operational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was checked and brain CT was taken immediately after the surgery. Also about 12 months after the operation, 3D CT was checked again to see postoperative morphology improvement, bone union, regeneration and intracranial volume change. Results: The bony gaps seen in the immediate postoperative brain CT were all improved as seen in the 3D CT after 12 months from the surgery. No small bone fragment resorption was observed. Brain volume increase was found to be made gradually, leaving no case of remaining epidural dead space. Conclusion: We conclude that it is meaningful in presenting a new possibility to be applied to not only nonsyndromic craniosynostosis but also other reconstructive cranial vault surge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