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Media Education

검색결과 288건 처리시간 0.033초

사회현상학 관점에서의 인터넷역기능 분류체계 표준화 연구 (A Standardizing research of Internet adverse effects catalog from Societal phenomenological pointview)

  • 권정인;이성철;안성진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0
    • /
    • 2011
  • 급속한 정보사회의 발달에 따른 사용자 윤리의식의 문제점을 논하는 기존의 많은 정책과 연구보고서에서는 그에 따른 해결책을 논의하고 있지만 이는 사후방법론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역기능의 문제점을 사후 해결책이 아닌 예방차원에서의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역기능분류의 표준안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가 제시하는 역기능 분류의 표준 모델은 사회적 현상이라는 관점에서 현재까지 역기능의 피해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1 2차 전문가 설문을 통해 미디어 중독, 유해콘텐츠, 사이버폭력, 권리침해, 사이버테러, 판단장해 등의 6영역으로 분류하였다. 제시된 표준안 모델은 현재의 정보화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문제점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이를 통해 역기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또는 교육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PDF

네온컬러를 활용한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tilizing Neon Color)

  • 이나례;정경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303-311
    • /
    • 2011
  • 21C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TV나 영화, 잡지,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나 영상물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시대가 바뀌고 무한한 정보의 공유와 기계의 발전으로 인해 유행과 사상이 빠르게 전달되고 있으며, 좀 더 감각적이고 자극적인 것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 주위에는 마치 공기처럼 특별한 존재감 없이 인간의 식별능력을 넘어선 수많은 색(컬러)이 있다. 이러한 컬러는 시각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고, 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가장 빠르게 반영하게 된다. 바로 이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네온컬러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여러 선행 연구에서 컬러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네온컬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 지지 않고 있어 네온컬러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와 같이 시각문화 속에서의 컬러의 중요성과 그 심리를 파악하며 네온컬러의 특성과 시각문화가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미술교육에 응용하여 실연(實演)할 것인가를 연구 하였다.

교사도우미 로봇을 활용한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guage Education Service Platform for Teaching Assistance Robots)

  • 유갑상;최종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8호
    • /
    • pp.223-2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사도우미 로봇에 초점을 맞추어 클라우드 기반의 교육서비스 모델을 연구하여 서버영역에 적용하고, 클라이언트 영역에서는 교사도우미 로봇을 초등학교 교실환경에 적용하여 어학교육 서비스 플랫폼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새로운 사물인터넷(IoT)기술 접목을 통해 쾌적한 스마트 교실환경을 만들고 다양한 미디어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광범위한 선행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해서 서비스 모델구축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구조건을 정리하였다. 임베디드 기반의 영상인식, 음성인식, 자율주행은 물론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IR센서, GPS, 온습도 센서에 대한 기술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서비스를 완성하도록 한다. 본 연구결과의 가장 핵심적인 시사점은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한 최적화된 플랫폼에 로봇러닝 및 IoT, BIM기술 융합을 통한 지능형로봇기반의 스마트 교실구축 가능성 제시에 있다고 본다.

환경과학자 그리기를 이용한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An Investig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Scientists and Their Work by Using the Draw-An-Environmental-Scientist-Test)

  • 주영;김경순;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53-463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Draw-An-Environmental-Scientist-Test(DAEST)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인식과, 환경과학자 그림을 그리는데 영향을 미친 요인을 조사했다. 서울시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3개교에서 1학년과 2학년 학생 413명을 대상으로 DAEST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환경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는 과학자의 정형적인 이미지와는 다르게 나타났다. 학생들의 그림에는 환경과학자의 나이와 성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학생들은 환경과학자를 야외에서 실험기구와 노트북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환경오염과 관련된 데이터 수집을 하는 사람으로 인식했다. 한편, 학생들은 환경과학자에 대한 그림을 그리는데 영향을 준 요인으로 대중매체, 학교교육, 인터넷 등을 제시했다. 환경과학자와 환경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한 인식 및 인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생들의 학년과 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대학생들의 건강정보 접근이 건강행태 개선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approach to health information on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 김승대;김명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268-3275
    • /
    • 2015
  •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들이 건강관리를 하는데 있어 건강정보를 어떻게 접근하여 획득하느냐에 따라서 건강행태 개선이 얼마나 이루어지는지 파악하고 건강행태 개선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제언을 함에 그 목적이 있다. 경북의 일개 대학의 224명을 최종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과 건강 관련 서적보다 인터넷 검색에 대한 분석결과가 유의미하였으며, 학년이 높아질수록 B=.103(p=.007), 건강정보 접근빈도가 많아질수록 B=.137(p=.008), 기존의 건강행태 점수가 높을수록 B=.431(p=.000)만큼 건강행태 개선의 점수가 증가하였다. 인터넷이 건강정보 검색에 있어 가장 인기가 있었는데 원하는 정보를 즉시 탐색하여 비교적 금방 얻어낼 수 있는 점이 주된 요인으로 보인다. TV의 건강 관련 방송은 건강전문가 등이 출현하여 건강정보를 알려주므로 질적인 측면에서는 인터넷 건강정보보다 우수하나 맞춤식으로 방송을 보기에는 어느 정도 무리가 있으나 건강 관련 서적과 방송은 인터넷에서 다시보기 및 e-book으로 전환되는 점에서 인터넷 건강정보와 구분이 모호해지는 면이 있다.

부산광역시 초등학교 양호교사의 학교구강보건에 대한 태도와 의견 (Attitudes and Opinions about School Oral Health Care among Health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in Busan)

  • 전진호;류원향;이성훈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205-218
    • /
    • 2002
  • Objectives : Becau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re sensitive and prevalent to dental caries, oral health care program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ESOHCP) should be met the first priority for the national oral health care program.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posed the guidelines for executing the efficient ESOHCP through the evaluation of present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status based on the attitudes and opinions of health teachers. Methods : Subjects were 181 health teachers those are a part of the total 273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in Busan. From April to June 2001, questionnaire survey on the teacher's attitude and opinion, present status of oral health care and education in their own school was done. Data was analyzed by $\chi^2$-test, t-test, ANOVA using SAS (ver 6.21) program. Results : Mean age of the teachers was 40 years (24~58 years) and mean scale of the subject school was 32 classes (5~58 classes). Above 90% of them agreed wit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ESOHCP, but actual level of concerning was lower. They gained the informations about oral health mainly from media (33%), PC net (26%), academic society (25%), and more used internet (p=0.012) in younger generation. Though most of them (96%) had a specified school dentist, only 58% had the experience of periodic oral health examinations in their own school. The major experienced ESOHCP was fluoride brushing and contest to choose the best healthy teeth. Oral health education given by the teachers was not professional but their own. About half (42%) of the teachers had never taken education during last one year. Major education materials were VTR tape (79%), teeth model (64%), CD (55%), booklet (50%), etc., and the teachers' preference was also VTR tape (43%) and CD (41%). When they need education materials, they frequently request to dentist's association (36%), academic society (35%), but rarely to dental clinics or dentists (6%). They prefer that two times (46%) of annual oral health education, with the contents of regular brushing (53%), but lower regular visit to clinics (13%). The interest to oral health care (p=0.016) increased with teacher's age. And, they agreed regular students education in case of higher interest(p=0.044). Intention about join in the model school program was decreased with scale of school (p=0.002).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ed that the present status of ESOHCP is still insufficient. It considered that the health teachers' interest and role is most important for the maintenance and success of ESOHCP. The professional and efficient education program would be focused on the health teachers to induce drive on ESOHCP.

일반인에서의 의약품 부작용보고제도 인식도 (Awareness of Adverse Drug Reaction Reporting System in General Population)

  • 안소현;정수연;정선영;신주영;박병주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4-171
    • /
    • 2014
  • Background: Safety of drugs has become a major issue in public healthcare. Spontaneous reporting of adverse drug reaction (ADR) is the cornerstone in management of drug safety. We aim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knowledge of spontaneous ADR reporting in general public of Korea. Methods: A total of 1,500 study subjects aged 19-69 years were interviewed with a questionnaire for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related to spontaneous ADR reporting. Computer assisted telephone interview was performed from 27th February 2013 to 4th March 2013. Target population was selected with quota sampling, using age, sex, and residence area. Healthcare professionals such as physicians, pharmacists, and nurses were excluded.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awareness of spontaneous ADR reporting, opinions on ways to activate ADR reporting,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ults: Overall awareness of spontaneous ADR reporting system was 8.3% (${\pm}2.53%$) among general population of Korea. Major source from which people got the information regarding ADR reporting was television/radio (69.9%), followed by internet (19.3%), and poster/brochure (6.1%). Awareness level differed between age groups (p<0.0001) and education levels (p<0.0001). Upon learning about the ADR reporting system, 88.5% of study subjects agreed on the necessity of ADR reporting system, while 46.6% thought promotion through internet and mass media as an effective way to activate ADR reporting. Conclusion: The overall awareness of spontaneous ADR reporting should be enhanced in order to establish a firm national system for drug safety. Adequate promotions should be performed targeting lower awareness groups, as well as various publicity activities via effective channels for the general population.

웹 기반 학습평가 자동화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Automatic Study Evaluation System)

  • 정용기;최은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9D권2호
    • /
    • pp.289-296
    • /
    • 2002
  • 인터넷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웹은 교육 시스템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학습자들은 정적 형태의 웹 페이지로부터 양방향통신과 멀티미디어를 가미한 웹 어플리케이션과 웹 미디어를 사용한 학습교보재를 선호하고 있으며, 학습효과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변화 요인을 점검하여 학습의 진행에 효율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학습체계와 이에 따르는 자동화 평가시스템을 제시한다. 일반 평가 시스템은 정규적인 형태의 방법을 이용하므로서 학습자의 관심 또 다른 교수자 등 운영 및 관리자의 교육 목표에 의해서 운영되므로 컴퓨터를 활용한 교수방법이 적절치 못한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웹을 이용한 프로젝트 교육 시스템은 사용자, 관리자 및 운영자 사이의 상호 참여를 통하여 수행하게 될 직무를 이해하고 지식 및 적용 능력의 점증적인 발전을 도모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화 평가 시스템을 제작하여 교수자와 웹 운영 관리자가 교육의 주관자 입장에서 교육을 진행하고, 학습자는 사용자 중심의 비교 학습 및 패턴 설계의 장점을 극대화시켜 인터넷/인트라넷상에서 실행되는 프로젝트 교육의 평가 방법과 이에 따르는 설계와 구현 방법에 관해 논한다.

LDA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액티브 시니어 콘텐츠 트렌드 분석 (Active Senior Contents Trend Analysis using LDA Topic Modeling)

  • 이동우;김유신;신은정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5-45
    • /
    • 2021
  • 베이비 부머 세대가 고령인구로 진입하면서 기존의 시니어와는 달리 활동적인 모습을 보이는 시니어들이 액티브 시니어라는 신조어로 불리며 새로운 소비자 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많은 국가들과 기업들도 이들을 주목하고 관련 정책이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지만 액티브 시니어 트렌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액티브 시니어에 대한 특징과 이들이 생산하고 소비하는 온라인 미디어 콘텐츠 트렌드를 파악하여, 액티브 시니어를 적극 포용하고 지원할 수 있는 온라인 미디어에 대한 정책 및 서비스 방향성을 제시하고자한다. 이를 위해 소셜 미디어에서 액티브 시니어를 수집 키워드로 2018년 1월 1일부터 2021년 6월 31일까지 8,740건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키워드 빈도 분석, TF-IDF 분석,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 하였다. 키워드 빈도 분석 및 TF-IDF 분석을 통해서 액티브시니어에 대한 관심도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였으며 LDA 토픽 모델링 분석을통해서 온라인 콘텐츠의 주제 영역을 10가지로 분류하고 라이프 스타일, 혜택, 쇼핑, 정부 사업, 정부 교육, 건강, 사회/경제, 케어 산업, 실버 주택, 여가로 명명하였다.

Reversible Data Hiding in Permutation-based Encrypted Images with Strong Privacy

  • Shiu, Chih-Wei;Chen, Yu-Chi;Hong, Wie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2호
    • /
    • pp.1020-1042
    • /
    • 2019
  •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RDHEI) provides some real-time cloud applications; i.e. the cloud, acting as a data-hider, automatically embeds timestamp in the encrypted image uploaded by a content owner. Many existing methods of RDHEI only satisfy user privacy in which the data-hider does not know the original image, but leaks owner privacy in which the receiver can obtains the original image by decryption and extraction. In the literature, the method of Zhang et al. is the one providing weak content-owner privacy in which the content-owner and data-hider have to share a data-hiding key. In this paper, we take care of the stronger notion, called strong content-owner privacy, and achieve it by presenting a new reversible data hiding in encrypted images. In the proposed method, image decryption and message extraction are separately controlled by different types of keys, and thus such functionalities are decoupled to solve the privacy problem. At the technique level, the original image is segmented along a Hilbert filling curve. To keep image privacy, segments are transformed into an encrypted image by using random permutation. The encrypted image does not reveal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the original one. Data embedment can be realized by using pixel histogram-style hiding, since this property, can be preserved before or after encryption. The proposed method is a modular method to compile some specific reversible data hiding to those in encrypted image with content owner privacy. Finally,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image quality is 50.85dB when the averaged payload is 0.12b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