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net Bandwidth

검색결과 831건 처리시간 0.033초

OFPT: OpenFlow based Parallel Transport in Datacenters

  • Liu, Bo;XU, Bo;Hu, Chao;Hu, Hui;Chen, 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10호
    • /
    • pp.4787-4807
    • /
    • 2016
  • Although the dense interconnection datacenter networks (DCNs) (e.g. FatTree) provide multiple paths and high bisection bandwidth for each server pair, the single-path TCP (SPT) and ECMP which are widely used currently neither achieve high bandwidth utilization nor have good load balancing. Due to only one available transmission path, SPT cannot make full use of all available bandwidth, while ECMP's random hashing results in many collisions. In this paper, we present OFPT, an OpenFlow based Parallel Transport framework, which integrates precise routing and scheduling for better load balancing and higher network throughput. By adopting OpenFlow based centralized control mechanism, OFPT computes the optimal path and bandwidth provision for each flow according to the global network view. To guarantee high throughput, OFPT dynamically schedules flows with Seamless Flow Migration Mechanism (SFMM), which can avoid packet loss in flow rerouting. Finally, we test OFPT on Mininet and implement it in a real testb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verage network throughput in OFPT is up to 97.5% of bisection bandwidth, which is higher than ECMP by 36%. Besides, OFPT decreases the average flow completion time (AFCT) and achieves better scalability.

와이브로 기반의 텔레매틱스 시스템 설계 (Design of Telematics Mobile System Based on WiBro)

  • 임승철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59-26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기존에 근거리전용통신 방식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위치정보와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브랜드 콜, 화물차 및 관용차 등의 서비스에 적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긴급 구난 정보제공, 무선인터넷, 영화 및 게임 등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경쟁력 있는 차량용 무선 이동시스템을 설계하여 이를 바탕으로 와이브로 기반의 무선 텔레매틱스 단말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이동 차량 내 유비쿼터스 환경 구축을 위한 와이브로 기반의 무선 텔레매틱스 단말 시스템을 구현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텔레매틱스 시스템의 고정대역과 가변대역에 대한 시스템 분석을 하였다.

Bandwidth Management of WiMAX Systems and Performance Modeling

  • Li, Yue;He, Jian-Hua;Xing, Weix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2권2호
    • /
    • pp.63-81
    • /
    • 2008
  • WiMAX has been introduced as a competitive alternative for metropolitan broadband wireless access technologies. It is connection oriented and it can provide very high data rates, large service coverage, and flexible quality of services (QoS). Due to the large number of connections and flexible QoS supported by WiMAX, the uplink access in WiMAX networks is very challenging since 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must efficiently manage the bandwidth and related channel allocations.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investigate a cost-effective WiMAX bandwidth management scheme, named the WiMAX partial sharing scheme (WPSS), in order to provide good QoS while achieving better bandwidth utilization and network throughput. The proposed bandwidth management scheme is compared with a simple but inefficient scheme, named the WiMAX complete sharing scheme (WCPS). A maximum entropy (ME) based analytical model (MEAM) is proposed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two bandwidth management schemes. The reason for using MEAM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is that MEAM can efficiently model a large-scale system in which the number of stations or connections is generally very high, while the traditional simulation and analytical (e.g., Markov models) approaches cannot perform well due to the high computation complexity. We model the bandwidth management scheme as a queuing network model (QNM) that consists of interacting multiclass queues for different service classes. Closed form expressions for the state and blocking probability distributions are derived for those schemes. Simulation results verify the MEAM numerical results and show that WPSS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network’s performance compared to WCPS.

A Study on The Internet Connectivity in The Philippines

  • Salac, Romeo Agan;Kim, Yun Seon
    • Asia Pacific Journal of Business Review
    • /
    • 제1권1호
    • /
    • pp.67-88
    • /
    • 2016
  • This study aims to help address concerns about the growing demand of wider bandwidth Internet connection in the Philippines. Using articles and research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ontent from official websites of the Philippine government, this paper has carefully examined the slow Internet connectivity and the high cost that the end-users pay for it. This paper suggests that this inefficiency hampers the motivation of users to innovate in a way that could contribute to inclusiv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an inclusive information society. Through a comparison of the current global ICT situation with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Philippines, this paper shows that the country's Internet infrastructure lags behind among those of contemporary developing countries in Asia, particularly in terms of Internet connectivity. In 2015, Thailand had an average Internet speed of 7.4 Mbps, Sri Lanka 7.4, and Malaysia 4.3. Meanwhile, the Philippines had a meager average Internet speed of 2.8 Mbps, placing the country at 104 among 160 countries, with developed countries in Asia such as South Korea (23.6 Mbps) and Singapore (12.9 Mbps) ranking 1 and 12, respectively. Findings show that the lack of competition in the Internet connectivity market, among other reasons, is at the root of the dilemma of slow and costly Internet connection. Assessing the accomplishments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other broadband-leading countries has provided practical insights and recommendations that can promote competitiveness. Furthermore, related literature argues how ISP practices may affect Internet speed and cost. This study offers an approach in improving Internet connectivity in the Philippines by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Internet infrastructure market and government policies.

자바 기반의 이동 에이전트 보안 구조 설계와 암호기능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Java Based Mobile Agent Security System)

  • 최길환;배상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61-69
    • /
    • 2002
  • 인터넷과 World Wide Web의 폭발적인 성장은 네트워크에 많은 정보와 리소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에게 있어서 인터넷 리소스의 사용은 bandwidth에 의하여 많은 제한을 받고 있다. 그러나 애플릿 방식을 통해서 HTML이 가지고 있는 정적인 면과 CGl의 bandwidth에 따르는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Mobile Agent는 사용자의 특정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출발하여 네트워크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렇게 수행할 수 있는 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고, 네트워크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mobile code의 보안에 중요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Mobile Agent를 사용하는 컴퓨팅 환경에서, Mobile Agent를 호스트와 Agent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보고, Mobile Agent의 개념과 Mobile Agent를 구성하면서 생기는 문제를 기술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연구중인 방법을 제시하고. 제시된 방법 중에서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방법을 사용하여 이동 에이전트의 보안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해 보도록 한다.

  • PDF

TEIN2를 활용한 고대역 전송계층 프로토콜 테스트베드 구축 및 성능 분석 (Testbed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High Speed Transport Protocols using TEIN2 Networks)

  • 이기라;소상호;최윤철;박만규;이재용;김병철;김대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2호
    • /
    • pp.104-113
    • /
    • 2009
  • 현재 초고속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하고 있고, 광대역 네트워크 인프라의 구축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인터넷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TCP는 기존의 인터넷 환경에 적합하며, 대역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 환경의 트래픽 전송에 있어서는 그 효율성이 낮은 상태이다.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광대역 네트워크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혼잡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그 성능 검증이 대부분 시뮬레이션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 TCP의 문제점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고대역 전송 프로토콜(High Bandwidth Transport Layer Protocol)을 간단히 살펴보고, 이의 성능 검증을 위한 실제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으며 TEIN2 국제연구망을 통하여 한국, 중국, 독일 3개국 간 국제협력 실험을 통해 고대역 전송 프로토콜의 성능을 측정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미디어 스트리밍에서 일정한 QoS보장을 위한 네트워크 적응적 프리페칭 기법 (Network Adaptive Prefetching for Constant QoS Guarantee in Media Streaming)

  • 이좌형;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5C권6호
    • /
    • pp.547-556
    • /
    • 2008
  • 최근 컴퓨팅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되고 있지만 인터넷에서 높은 대역폭을 필요로 하는 미디어를 스트리밍하는 것은 아직 매우 어려운 일이다. 기존의 인터넷 기반 스트리밍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QoS(Quality of Service)를 조절하는 기법들을 제시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의 문제 해결이며 네트워크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QoS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동작하는 프리페칭을 통하여 일정한 QoS를 보장하고자하는 NAP(Network Adaptive Prefetching)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NAP기법은 네트워크의 가용한 대역폭이 높을 경우 프레임 재생율보다 빠르게 프레임을 전송시키는 방식으로 프리페칭을 한다. 이렇게 프리페칭된 프레임은 대역폭이 낮아지는 경우에 QoS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데 사용된다. 실험을 통하여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프리페칭을 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비해 QoS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끊김없는 미디어 스트리밍을 위한 프리페칭 기반 적응적 미디어 재생 기법 (Prefetching Based Adaptive Media Playout for Seamless Media Streaming)

  • 이좌형;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5호
    • /
    • pp.327-338
    • /
    • 2009
  • 기존의 인터넷 기반 스트리밍에 관한 연구들에서는 네트워크의 변화에 따라 적응적으로 QoS(Quality of Service)를 조절하는 기법들을 제시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의 문제 해결이며 네트워크 상태에 상관없이 일정한 QoS를 원하는 사용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상태가 변하더라도 끊김없는 미디어 스트리밍을 보장하는 프리페칭 기반 적응적 미디어 재생 기법인 PAP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PAP기법에서는 서버 측에서 네트워크 장애에 대비하여 미디어 데이터를 미리 전송하는 프리페칭 기법을 사용하며 클라이언트에서는 장애발생시 프리페칭된 미디어 데이터의 재생간격을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재생하도록 한다. 클라이언트에서는 네트워크에 장애 발생여부에 따라 프레임의 재생간격을 늘리거나 줄여 버퍼 언더플로우가 발생할 확률을 줄인다. 프리페칭과 적응적 미디어 재생 기법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미디어의 화질 열화와 재생 지연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실험을 통하여 비디오 스트림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적응적으로 프리페칭을 함으로써 기존 방식에 비해 QoS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을 보였다.

A Novel Bit Rate Adaptation using Buffer Size Optimization for Video Streaming

  • Kang, Young-m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4호
    • /
    • pp.166-172
    • /
    • 2020
  • Video streaming application such as YouTube is one of the most popular mobile applications. To adjust the quality of video for available network bandwidth, a streaming server provides multiple representations of video of which bit rate has different bandwidth requirements. A streaming client utilizes an adaptive bit rate scheme to select a proper video representation that the network can support. The download behavior of video streaming client player is governed by several parameters such as maximum buffer size. Especially, the size of the maximum playback buffer in the client player can greatly affect the user experience. To tackle thi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aximum buffer size optimization according to available network bandwidth and buffer status. Our simulation study shows that our proposed buffer size optimization scheme successfully mitigates playback stalls while preserving the similar quality of streaming video compared to existing ABR schemes.

Memory Design for Artificial Intelligence

  • Cho, Doosa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90-94
    • /
    • 2020
  •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software that learns large amounts of data and provides the desired results for certain patterns. In other words, learning a large amount of data is very important, and the role of memory in terms of computing systems is important. Massive data means wider bandwidth, and the design of the memory system that can provide it becomes even more important. Providing wide bandwidth in AI systems is also related to power consumption. AlphaGo, for example, consumes 170 kW of power using 1202 CPUs and 176 GPUs. Since more than 50% of the consumption of memory is usually used by system chips, a lot of investment is being made in memory technology for AI chips. MRAM, PRAM, ReRAM and Hybrid RAM are mainly studied. This study presents various memory technologies that are being studied in artificial intelligence chip design. Especially, MRAM and PRAM are commerciallized for the next generation memory. They have two significant advantages that are ultra low power consumption and nearly zero leakage power. This paper describ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our representative new memory technolo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