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te Node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1초

CCN 실시간 서비스에서 중간노드의 이동성 지원 (Supporting Intermediate-node Mobility in CCN Real-time Service)

  • 이은관;권태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27-1540
    • /
    • 2017
  • Recently,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the production and demand of high capacity contents are rapidly increasing.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hanging trend of internet usage, researches on CCN, the future internet architecture, are actively being conducted. Mobility support is an important challenge in CCN real-time services, given that today's internet environment is changing to mobile and real-time services are increasing. In CCN real-time services, the mobility problem can be largely divided into consumer mobility, provider mobility, and intermediate-node mobility. Among them, when the intermediate-node moves in the CCN real-time services, the service disconnection occurs and the QoS degradation is caused. In this paper. we propose Intermediate-Node Mobility Support(INMS) to support the intermediate-node mobility in CCN real-time servi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CCN in terms of service disconnection time and packet loss.

CCN 실시간 서비스에서 이동성 탐지에 따른 중간노드의 이동성 지원 (Supporting Intermediate-node Mobility in CCN Real-time Service according to Mobility Detection)

  • 성국일;권태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438-1446
    • /
    • 2019
  • Recently, the number of mobile users as well as high-speed Internet user has been increasing rapidly. Moreover, traffic is growing fast as services that provide real-time content such as Youtube and Netflix become popular. The problem of traffic control in real-time content services is important because many people use cell phones to receive real-time content. In this regard, the field of CCN is currently being studied. We studied the mobility of nodes among CCN research fields. Node mobility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 consumer mobility, intermediate node, and provide mobi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Mobility Node Support(MD-INS) to support the intermediate-node mobility in CCN real-time servic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shows better performance than CCN in terms of service disconnection time and packet loss.

POWER AWARE ROUTING OPTIMIZATION: AN ENHANCEMENT

  • Nguyen, VanDong;Song, Joo-Seok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53-1456
    • /
    • 2004
  • PARO, a power-aware routing optimization mechanism, is proposed in [1] to minimize the transmission power needed to forward packets between wireless devices in ad hoc network. The mechanism works by redirecting the route to pass through one or more intermediate nodes on behalf on source-destination pairs, then reducing the end-to-end transmission power. This paper will show an extension of this model and provide an analysis of the geometrical area lying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in which the intermediate node elects to perform redirection. The duration the intermediate node stays in that area is also computed.

  • PDF

Ad Hoc 망에서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경로 재설정 기법 (A re-route method for reliable data transport in Ad Hoc Networks)

  • 한정안;백종근;김병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3A호
    • /
    • pp.276-287
    • /
    • 2004
  • Ad hoc 망은 기지국이나 엑세스 포인트(AP) 같은 인프라가 없는 무선이동통신기술이다. 즉, ad hoc 망에서는 이동노드들이 라우터와 서버의 역할을 모두 한다. 기존의 경로 재 설정 방법에서는 노드의 이동으로 인하여 경로가 끊어졌을 경우 송신노드는 경로를 다시 재 설정 해야한다. 하지만 경로가 끊어진 후 다시 재 설정하는 방법은 QoS를 보장해야하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경로가 끊어지는 것을 미리 예방하는 경로 재 설정 기법을 제안한다. 중간노드가 이동하면서 어떤 임계영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자신의 다음 노드에게 핸드오프 패킷을 발생시키고, 핸드오프 패킷을 수신한 노드는 경로가 끊어지기 전에 경로요청패킷을 중간노드의 바로 이전노드에게 브로트캐스트 함으로써 중간 노드가 경로를 벗어나더라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경로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CCN 실시간 서비스 간 이중 경로에 의한 중간노드 이동성 지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of Intermediate Node Mobility by Double Paths in CCN Real-Time Services)

  • 금석주;권태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825-834
    • /
    • 2021
  • 다양한 디바이스와 인터넷 플랫폼의 발달로 콘텐츠에 대한 생산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TCP/IP 체계에서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 사용에 대해 효율적인 대처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CCN이라는 대안이 등장하면서 호스트 중심에서 콘텐츠 중심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면서 좀 더 경감된 네트워크 자원으로 대용량 콘텐츠를 다룰 수 있게 되었다. 이번 논문에서는 CCN에서 연구되는 분야 중의 하나인 중간노드 이동성에 대해서 다룰 것이다. CCN에서 실시간 서비스는 정보제공자뿐만 아니라 정보요청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노드 이탈 상황이 발생하면 패킷 전송량과 전송속도 저하가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위와 같은 수치를 보장하기 위해 이중 경로를 이용하여 중간노드가 이탈하더라도 대체 경로를 이용해 완벽한 QoS(: Quality of Service)를 제공한다.

효율적인 경로 탐색을 위한 A*와 유전자 알고리즘의 결합 (Combining A* and Genetic Algorithm for Efficient Path Search)

  • 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943-94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A^*$와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최적 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최적 경로를 탐색하기 위해 $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출발지 노드로부터 중간 경로 노드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개체를 생성한다. 적합도 함수를 이용하여 최적 출력 노드들을 탐색하기 위한 적합도를 계산한다. 적합도에 따라 교배할 노드와 교배 지점을 선택한다. 선택한 노드와 교배 지점을 기반으로 개체들을 교배한다. 교배를 통해 새로운 개체를 생성하고 새로운 개체가 적합도 조건에 만족하면 출력 노드로 선택하고, 다음 출력 노드를 선택하기 위한 출발 지점의 노드로 설정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반복하여 최적화된 출력 노드를 도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경로 탐색 문제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A^*$ 알고리즘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제안된 방법이 경로 탐색 문제에 있어서 최적화된 거리를 기반으로 경로를 탐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의 고 신뢰성을 위한 중계 노드 기반 전송 (Reliable Transmission Using Intermediate Relay Node-based Transmission for Reliability in Sensor Network)

  • 이보형;윤형욱;박종호;정민영;이태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0권9A호
    • /
    • pp.850-857
    • /
    • 2005
  • 센서 네트워크는 저전력 저가격 소형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다기능 노드를 사용하여, 센싱, 데이터 프로세싱,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네트워크를 말한다. 센서 네트워크의 설계에서는 주로 네트워크 생존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전력 소모를 줄이는 것을 고려하였지만, 실제 응용에서는 최종 사용자에게 노드에서 감지한 정보를 신뢰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기존의 다중경로를 이용한 신뢰성있는 전송(Reliable information forwarding using multiple paths in sensor networks: ReInForM)은 에러가 일어나기 쉬운 환경에서 요구 신뢰도에 맞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알고리즘이지만, 채널 에러율이 높아지고 소스와 싱크간의 흡 수가 늘어날수록 전송 오버헤드가 급격하게 늘어난다. 본 논문에서는 중간 싱크 노드 및 소스 노드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전송 (Reliable transmission using intermediate source nodes in sensor networks :ReTrust)을 제안한다. 성능분석과 시뮬레이션을 통해 ReTrust 알고리즘은 오버헤드는 줄이면서 요구 신뢰도를 만족함을 보인다.

안전한 전송을 위한 MRNS(Mixed Radix Number System)네트워크에서의 비밀 다중 경로의 설계 (The Design of Secret Multi-Paths on MRNS(Mixed Radix Numbers System) Network for Secure Transmission)

  • 김성열;정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1534-1541
    • /
    • 1996
  • 경로 보안은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경로의 비밀성에 관한 것이다. 만일 경로의 일부분이라도 알려진다면 이 경로를 통해 전달된 데이타가 유출될 확률은 크 다. 이런 이유때문에 데이타의 전송경로는 보호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 개 의 중간노드를 비밀리 선택하여 기존의 최단 거리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 법을 선택하지 않고 이 중간 노드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한다. 더 나아가 우리가 여러 개의 비밀경로를 이용한다면 한 개의 경로에 모든 데이타를 보내는 대신에 각 경로에 partial 데이타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타의 보안은 좀 더 강해진다. 이 러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데이타는 정보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partial 데이타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아이디어를 네트워크상 에서 구현한다.

  • PDF

중간 에이전트를 이용한 Mobile IP 망에서의 효율적인 경로 최적화 알고리즘 (An Efficient Route Optimization Algorithm using Intermediate Agents in Mobile IP Networks)

  • 박은영;이재훈;최병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0권6호
    • /
    • pp.677-684
    • /
    • 2003
  • IETF의 Mobile IP 프로토콜은 인터넷에서 연결지점을 변경하는 이동 호스트(Mobile Node: MN)가 IP 주소의 변화 없이 임의의 호스트(Correspondent Node: CN)와 계속 통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Mobile IP 프로토콜은 삼각 라우팅(Triangle Routing)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IETF에서는 경로 최적화 메커니즘이 제안되었다. 경로 최적화 메커니즘이 동작하기 위해서는 CN에 경로 최적화 메커니즘이 구현되어 있어야 한다. 그러나 인터넷상의 임의의 모든 호스트들이 이러한 Mobile IP 프로토콜을 단기간에 구현할 수 없기 때문에 경로 최적화를 위한 다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CN에 추가 기능의 구현 없이 경로 최적화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홈 에이전트(Home Agent: HA)와 CN 사이의 경로상에 존재하는 라우터들을 IA(Intermediate Agent)로 사용하여, MN에게 전송되는 패킷들이 HA를 거치지 않고 IA에 의해서 직접 NM으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경로 최적화를 구현한다.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한 경로 탐색 (Path Search Method using Genetic Algorithm)

  • 김광백;송두헌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251-125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의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모든 노드를 탐색하여 최적의 경로를 도출하는 최적화 경로 탐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경로를 도출하기 위해 중간 경로 노드로부터 출발지 노드 및 도착지 노드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개체를 생성한다. 출력 노드들을 도출하기 위해 생성된 개체를 적합도 함수에 적용하여 적합도를 계산한다. 계산된 적합도 값에 따라 교배를 할 노드 및 교배 지점(비트단위)을 선택한다. 선택된 노드와 교배 지점을 이용하여 개체들을 교배한다. 교배를 통해 새로운 개체를 생성한다. 새로운 개체가 적합도 조건에 만족하면 출력 노드로 도출하고, 다음 출력 노드를 도출할 때의 출발지 노드로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출력 노드를 도출한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순차 방식과 난수를 이용한 경우보다 제안된 방법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