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media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6초

치주낭 내의 치은 염증의 감소와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전동 칫솔의 효과 (Influence of the Sonic Power Toothbrush on Reduction of Gingival inflammation and on the Amount of interleukin-6, Prevotella intermedia and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in Periodontal Pocket)

  • 홍지연;채경준;정성원;엄유정;최성호;김종관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7권sup2호
    • /
    • pp.409-426
    • /
    • 2007
  • 세균성 치태는 치은의 염증과 치주 조직 파괴를 동반하는 치주염의 주요한 인자로서 치주 조직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치태 조절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목적은 12주 동안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은염에 대한 임상 지수의 감소, interleukin-6 (IL-6) 농도와 치주질환 원인균인 Prevotella intermedia (P.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효과를 일반 칫솔과 비교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총 82명의 환자를 선택하였으며, 30명은 일반 칫솔, 52명은 소니케어 전동 칫솔 군으로 분류하여 칫솔질 교육을 실시하였다. 전악을 전치부와 구치부로 나누어 초진, 1, 4, 12주에서의 치태, 치은 지수 및 탐침 시 출혈 여부를 조사하였으며,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을 보이는 치아 3개를 선택하여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를 측정하였고, 선택된 치아에서 초진, 1, 12주에 채취된 샘플을 통해 치은열구액 내의 IL-6 농도와 P. intermedia, A. actinomycetemcomitans의 CT값을 추가적으로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소니케어 전동 칫솔과 일반 칫솔군 모두 치은 염증을 나타내는 임상 지수 (치태지수, 치은지수, 탐침 시 출혈)는 12주 기간 동안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으나, 전동 칫솔 군에서 통계학적으로 더욱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2. 전치부를 제외한 구치부 치아에서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은 12주 기간 동안 탐침 시 출혈의 감소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p<0.05) 나타났다. 3. 가장 깊은 치주낭 탐침 깊이를 보이는 3개의 선택된 치아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와 부착 정도는 두 군 모두 초진에 비해 유의한 감소 (p<0.05)를 보였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치주낭 탐침 깊이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18.47{\pm}10.05%$, 일반 칫솔군이 $14.19{\pm}8.16%$로, 부착 정도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군이 $24.26{\pm}12.51%$, 일반 칫솔군이 $15.65{\pm}9.92%$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4. 치은열구액의 IL-6 농도는 두 군 모두 12주 기간 동안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 (p<0.05)를 나타내었다. 퍼센트 변화 비교에서 전동 칫솔군은 51%, 일반 칫솔군은 37%로 각각 나타났으나, 군 간 통계적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5. Prevotella intermedia,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관찰에서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 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소니케어 전동 칫솔의 사용이 일반 칫솔에 비하여 만성 초기 및 중등도 치주염 환자에서 치태의 제거, 치은 염증 및 임상 지수의 감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으며 IL-6의 감소 경향에도 효과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실내 사육한 Neomysis intermedia의 생활사에 따른 에너지 수지 (Energy Budget of the Mysid Shrimp, Neomysis intermedia Reared in the Laboratory)

  • 최유길;노섬;주수동;박기영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9-300
    • /
    • 1997
  • 실험실에서 사육시킨 Neomysis intermedia 의 섭이, 성장, 탈피, 생식 및 대사에 관한 자료로부터 생활사에 따른 에너지수지를 분석하였다. 1. 치하 및 성체의 성장은 암수 모두 초기성장이 빠르고 성장해 감에 따라 성장률이 현저히 저하되어 암컷의 경우 최대체장이 8.55 mm에 도달하여 6.87 cal 그리고 수컷의 최대체장은 7.53 mm로서 5.67 cal 에너지를 체성장에 사용하였다. 2. 성장에 수반되어 탈피체로 손실된 에너지는 암컷이 0.46 cal, 수컷은 0.38 cal의 에너지를 탈피에 사용하였다. 3. N. intermedia 암컷의 생식에 사용된 에너지는 6.75 cal 이었다. 4. 호흡에 사용된 에너지는 암컷이 48.48 cal, 수컷이 36.45 cal 이었다. 5. 치하 및 성체의 암컷은 84.15 cal의 에너지를 섭이를 통해 섭취하였으며, 수컷은 67.09 cal를 섭취하였다. 6. 요로 배설된 에너지는 암컷이 10.36 cal, 수컷은 6.46 cal 이었으며 분배출은 암컷이 11.23 cal, 수컷이 12.08 cal의 에너지를 배출하였다. 7. 섭취한 에너지에 대한 동화효율은 암컷이 86.65%, 수컷이 81.99%이었다. 8.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섭이에너지에 대한 백분율인 총성장효율(K 하(1))은 암컷이 8.71%, 수컷이 9.02%이었다. 9. 성장으로 전환된 에너지의 동화에너지에 대한 백분율인 순성장효율(K 하(2))은 암컷이 10.05%, 수컷은 12.36%이었다. 10. 동화에너지에 대한 대사에너지의 백분율은 암컷이 66.48%, 수컷이 66.26% 였다.

  • PDF

싸리류(類)의 삽목시험(揷木試驗) (The Cuttings of the Genus Lespedeza)

  • 한영창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5-50
    • /
    • 1973
  • 싸리류(類)에 대(對)한 선발된 우량개체 및 앞으로 육성(育成)될 신품종(新品種)에 대(對)하여 무성번식의 방법을 구명(究明)코져 조록싸리, 참싸리, 늦싸리, 싸리, 털근록싸리, 풀싸리를 공시재료로 하여 4월(月) 상순(上旬) 삽목직전 1년지(年枝)를 채취하여 삽수길이 15~20cm, 삽수굵기 3~4mm, 삽수상하단을 동일하게 타원형으로 조제하여 1,000배액의 "우수프론"으로 소독한 삽상길이 150cm의 모래상에 삽목하였으며 삽목후 해가림 관수를 하였다. 그 결과 교배에 의한 신품종 및 선발개체(選拔個體)에 대(對)한 무성번식이 가능함을 인정할 수 있었으며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싸리류(類)의 삽목발근율은 50.3~69% 로 품종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으며 털조록싸리, 조록싸리의 발근율이 제일 높고 풀싸리가 제일 낮았다(유의 수준 1%). 2. 생육상황(生育狀況)은 조록싸리, 싸리가 좋았으며 풀싸리가 가장 불량했다. 3. 본당(本當) 뿌리수는 길이 5cm 이상만을 측정하였으며 털조록싸리가 6.4개로 제일 많고 풀싸리가 1.3개로 제일 적었다(유의수준 1%). 4. 본당(本當) 뿌리의 총연장은 털조록싸리 279.8cm, 조록싸리 200.1cm로 가장 길고 풀싸리는 41.1cm로 가장 짧았다(유의 수준 1%). 5. 본당(本當) 근류착생수는 직경 1mm 이상만을 조사하였으며 털조록싸리 34.4개, 조록싸리 27.1개로 제일 많고 풀싸리는 4.6개로 제일 적었다.

  • PDF

TOL 플라스미드 세균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turally Occuring Bacteria Carried TOL Plasmid)

  • Nam, Cho-Byung;Cho, In-Sun;Rhee, Young-Ha;Ryu, Jae-Keun;Min, Kyung-Hee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21-326
    • /
    • 1989
  • m-Toluate 최소배지에서 선택적 enrichment culture를 통하여 82개의 세균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ol들 중 두 균주는 Pseudomonas cepacia, 한 균주는 P. Putida, 한 균주는 Yersinia intermedia, 그리고 한 균주는 Flavobacterium odoratum으로 동정되었다. P. cepacia SUB37은 P. putida mt-2의 TOL 플라스미드와 비슷한 크기의 플라스미드를 가지고 있었으며, Flavobacterium odoratum과 Yersinia intermedia는 이보다 더 큰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었다. P. cepacia SUB37은 streptomycin에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나, rifampicin에는 내성을 나타내었다. 플라스미드를 갖는 P. cepacia SUB37은 탄화수소를 해당 알콜과 알데히드를 거쳐서 benzoate와 toluate 로 분해하였다. 플라스미드 제거실험으로, P. Cepacia SUB37의 플라스미드에는 탄화수소 분해과정 중 toluene과 xylene을 benzoate, toluate로 분해하는 효소와, 계속하여 meta pathway를 거치는 단계의 효소를 코딩하는 유전자들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P. cepacia SUB37은 생장이 왕성하였을 때 m-toluate를 거의 분해하였다.

  • PDF

싸리나무류재(類材)의 조직(組織)과 섬유(纖維)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Wood Structure and Fiber Characteristics of Genus Lespedeza species)

  • 김수인;염창술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6권1호
    • /
    • pp.9-20
    • /
    • 1988
  • Lespedez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not only as plant resources for bark, leaves and honey, but also as erosion control materia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and wood tibe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obtain basic information for the utilization of the wood. The wood structure was investigated for 10 selected species and the wood fiber, for the 5 selected species among Lespedeza specie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cross section, campylotropis showed ray diffuse porous wood, L. bicolor, L. cyrtobotrya, L. thunbergii var. intermedia, diffuse porous wood, and L. tomentella, L. angustifolioides. L. maritima, L. robusta, L. patentibicolor, ring porous wood. The maximum diameter of a single vessel ranged 66-123 ${\mu}$ in all species.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vessel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The number of ray per mm ranged 7-22, Campylotropis showed the most number of rays, L. angustifolioides, the least. In the radial section the average length of vessel ranged 121-250 ${\mu}$ in all species. L. thunbergii var. intermedia showed the longest vessel, L. tomentella, the shortest. In tangential section the average width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9.2-14.7${\mu}$, that of the multiseriate ray, 19.2-42.1 ${\mu}$. The average height of the uniseriate ray ranged 143.0-1162.0 ${\mu}$. The width of fiber ranged 10.12-13.61 ${\mu}$, L. maximowiezii showed the narrowest tiber,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widest, the thickness of fiber wall ranged 2.93-3.71 ${\mu}$ in the five species. L. maximowiezii showed the most thin fiber wall, L. thunbergii var. intermedia, the thickest, L. cyrtobotrya showed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fiber between the shade and the sunny sites but L. maximowiezii showed no differenc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fiber length, fiber width and wall thickness between L. eyrtobotrya and L. maximowiezii.

  • PDF

매체간(Intermedia)과 매체내(Intramedia) 의제분석을 통한 뉴스획일화 연구: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운동에 관한 뉴스보도를 중심으로 (A Study of News Consonance on the Intermedia and Intramedia Agenda: Focused on the 2000 presidential campaign news coverage)

  • 구교태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1권
    • /
    • pp.7-34
    • /
    • 2003
  • 본 논문은 다양한 뉴스 미디어들(텔레비전, 신문, 인터넷웹사이트)이 2000년 미 대통령 선거기간 동안 캠페인 의제를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뉴스 획일화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미디어 의제설정에 대한 연구관점은 뉴스보도의 동일성 여부에 초점을 둔 기존의 뉴스 획일화 연구 경향을 보완하고자 제시되었으며, 새로운 정보 환경에서의 뉴스 질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세 개의 매체로부터 캠페인 관련 뉴스들을 수집, 분석한 결과는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보도가 이슈 현저성 설정과 각 이슈에 대한 보도량 비율 할당에 있어 매체간, 매체내 높은 유사성을 가졌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매체간/매체내 의제설정에 관여하는 시간요인의 영향을 밝히고 있다.

  • PDF

Cloning of a Potentially Strain-Specific DNA Probe of prevotella intermedia ATCC 25611 by Inverted Dot Blot Hybridization Screening Method

  • Kook, Joong-Ki;Han, Jin-Ju;Kim, Hwa-Sook;Seong, Jin-Hyo;Kim, Dong-Kie;Baek, Dong-Heon;Choe, Son-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82-28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a specific DNA probe for the strain ATTC 25611 of the species Prevotella intermedia by using a new rapid screening mothod. The whole-genomic DNA of P. intermedia ATCC 25611 was isolated and purified. The HindIII-digested genomic DNAs from the strain were cloned by the random cloning method. To screen the strain-specific DNA probe, inverted dot blot hybridization tests were performed. In this assay, 20 ng of recombinant plasmids containing the HindIII-digested genomic DNA fragment were boiled and blotted onto a nylon membrane, and hybridized with digoxigenin-dUTP labeled genomic DNAs in a concentration of 100 ng/ml. Southern blot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the inverted dot blot hybridization tests. The data showed that a Pi34 probe (2.1 kbp; 1 out of 32 probes) was specific for P. intermedia strain ATCC 25611 and could be useful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strain, particularly in epidemiological studies of periodontal disease.

노인의 수분섭취정도와 구강건조증, 구취, 구강미생물과의 관계에 대한 융합적 연구 (지역사회 거주 노인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f Water intake on relationship between Xerostomia, Halitosis, Oral microorganisms in the Elderly)

  • 정혜영;최연임;최혜정;정인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309-316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50명을 대상으로 수분섭취 정도와 구강건조증, 구취, 구강미생물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발적인 수분섭취강화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18년 7월 1일부터 8월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5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변수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S. mutans와 P. intermedia 검출에 공통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은 칫솔질 횟수와 치과 방문 경험이었으며, 수분섭취량이 다른 세 그룹을 비교한 결과 P. intermedia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분섭취강화프로그램을 개발 적용 후 구강건강 개선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Study of Oral Microbial Prevalence and Oral Health in Adults

  • Moon, Kyung-Hui;Lee, Jin-Young;Kang, Yong-Ju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64-27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to examine the oral microbial prevalence in adults and intend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bacteria and correlation between oral test scores and oral microorganisms. Methods: We examined papillary marginal attached (PMA) index, mod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M-PHP) index, probing depth (PD), modified gingival index, and oral bacteria counts and surveyed 117, 20 years or older adult males and female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the Daejeon region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oral health. Results: The prevalence was 100% for Fusobacterium nucleatum, meaning it was observed in all examined subject, 85.5% for Parvimonas micra, 76.1% for Prevotella intermedia, and 72.6% for Tannerella forsythia. The averages of P. gingivalis and T. forsythia increased as the examined subjects were older,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 forsythia and E. nodatum in relation to medical history, between P. intermedia and P. micra in relation to gender, and between P. intermedia and E. corrodens in relation to smoking (p<0.05). For a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test scores and oral microorganisms, P. gingivalis and F. nucleatum was highly correlated with P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1 and 0.41) (p<0.01) while P. gingivalis, P. micra, C. rectus, and E. nodatum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PHP index, gingival index, PD, and PMA index (p<0.01, p<0.05). Conclusion: For oral health management of adults, the age, systemic disease, and smoking are closely related to oral bacteria, and P. gingivalis, T. forsythia, F. nucleatum, P. intermedia, P. micra, C. rectus, E. corrodens, and E. nodatum are considered to be the oral microorganisms that indicate periodontal health.

구강세정제가 다중 구강 바이오필름 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bacterial mouth rinses on multiple oral biofilms model)

  • Soo-Kyung Jun;Young-Suk Choi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9-218
    • /
    • 2023
  • 연구목적: 실험실내에서 성분이 다른 구강세정제가 오래 형성된 다중 구강 바이오필름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구강세정제의 항균효과를 ATP, CFU로 확인하였고, 다중 구강 바이오필름을 형성시킨 sHA 디스크를 구강세정제로 처리한 후 SEM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모양을 관찰하였다. 총RNA는 P. intermedia의 바이오필름에서 추출하였고 RNA sequencing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구강세정제 4개를 비교한 CFU 측정 결과에서 오래 형성된 다중 구강 바이오필름은 39.0%로부터 95.7%까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 에센셜 오일 처리 후 구강생물막 세포들은 크기가 변하고 일부 파열되고 작은 세포 파편 조각도 나타났다. 에센셜 오일로 처리 후 P. intermedia 유전자 발현은 RNA 전사와 단백질 번역 관련 유전자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결론: 성분이 다른 구강세정제는 항균효과를 가지며 표면 구조 및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