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ve Space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43초

사용자 모션데이터를 활용한 디지털 공간디자인 프로세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Space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 안신욱;박혜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87-19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a digital space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through a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y. In the progress of developing a developing of design process, this study was concentrated on searching a digital method applying user's interactive reflections. As introducing a concept of space form being generated by user's experiences, we proposed'a digital design process using user's motion data'. In the experimental stage, user's motion data were extracted and transferred as digital information by user behavior analysis, optical motion capture system, immersive VR system, 3D softwares com computer programming.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nother useful digital design process was embodied by building up a digital form-transforming method using 3D softwares providing internal algorithm.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terms of attempting a creative and interactive digital space design method, avoiding dehumanization of existing one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and the experimental approach.

박물관 전시공간에 있어 인터렉티브 디자인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ve Design Application of Exhibition Space in Museum)

  • 주광춘;박광범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72-177
    • /
    • 2005
  • What kind of information is it got in an exhibition space? And any order is determined and can read an exhibition? Is application possible with interactive design in an exhibition space? All elements must be reflected in an information design in addition to a biological process and perception process. Various uncertainty, a little information about exhibition contents and negative attitude, various ways of thinking, time physical a few psychological fatigue, uncertain target will be for these reasons. When configuration of a space and a human biological element are satisfied in an information design by physical configuration, maximization of a communication between exhibition water and visitor firm names will consist in a museum.

  • PDF

Bridging Real World and Shared Virtual Space

  • Oh, Gi-Dong;Osawa, Ei-Ichi;Toshio Kawashima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2001년도 Bulletin of The 5th Asian Design Conferen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Design Science
    • /
    • pp.18.2-18
    • /
    • 2001
  • PDF

DESIGN CONCEPT FOR THE RETROFIT KAO 1M ROBOTIC TELESCOPE

  • Han, Won-Yong;Mack, Peter;Park, Jang-Hyun;Jin, Ho;Lee, Woo-Baik;Lee, Chung-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2호
    • /
    • pp.211-220
    • /
    • 2000
  • Korea Astronomy Observatory(KAO) is working to retrofit its 1m robotic telescope in collaboration with a company (ACE, Astronomical Consultants & Equipment). The telescope system is being totally refurbished to make a fully automatic telescope which can operate in both interactive and fully autonomous robotic modes. Progress has been made in design and manufacturing of the telescope mount, mechanics, and optical performance system tests are being made for re-configured primary and secondary mirrors. The optical system is designed to collect 80% incident light within 0.5 arcsec with f/7.5 Ritchey-Chretien design. The telescope mount is an equatorial fork with a friction drive system. The design allows fully programmable tracking speeds with typical range of 15 arcsec/sec with accuracy of $\pm5$ arcsec/hour. The mount system has integral pointing model software to correct for refraction, and all mechanical errors and misalignments. The pointing model will permit positioning to better than 30 arcsec RMS within $75^{\circ}$ from zenith and 45 arcsec RMS elsewhere on the sky. The software is designed for interactive, remote and robotic modes of operation. In interactive and remote mode the user can manually enter coordinates or retrieve them from a computer file. In robotic mode the telescope controller downloads the coordinates in the order determined by the scheduler. The telescope will be equipped with a CCD camera and will be accessible via the internet.

  • PDF

Fractal-Interactive Art를 활용한 공공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ublic Design using Fractal-Interactive Art)

  • 주해정;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29-632
    • /
    • 2009
  • 공학적인 관점에서 Interactive Art와 디자인은 하나의 지능형 시스템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인간과 제작물 간의 원활한 소통, 즉 인터랙티브 반응을 주고받기 위해 센서, 카메라 등으로 입력 받은 후 이 정보들을 실시간으로 처리, 분석하여 그 결과를 영상, 그래픽, 음향 등의 다양한 매체로 표현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터랙티브를 활용한 영상은 다양한 예술 디자인 분야에서 그 영역을 넓혀가며 점차 발전되고 있다. 예술 형태의 Interactive Art에 환경에 대한 정보성을 융합하여 시민들에서 자연스럽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하며 주변환경을 느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Interactive Art가 공간자체에 활기찬 분위기를 조성하며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공예술로 활용된다. 기존의 정지된 설치의 개념에서 보다 발달된 동적인 형태로 인간과 자연스럽게 조화되어 정보를 습득하게 되는 참여 형태의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디자인의 활용에 Interactive Art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 PDF

디지털 아트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기반의 실내공간디자인 표현 연구 (A Study on Expression for Indoor Design base of Interactive using Digital Art)

  • 김재헌;김치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2473-2478
    • /
    • 2009
  • 최근 디지털 아트는 이미지, 사운드, 시뮬레이션, 3차원 홀로그래피 등의 다양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새로운 분야의 예술로 시도되고 있다. 이런 수많은 디지털 아트는 전시관이라는 제한된 장소와 제한된 기간에만 관객들과 접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디지털 아트는 디지털 형태의 미디어를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면 실내외 어디든 활용 가능성이 있다.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기 위하여 먼저 디지털 아트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성은 관객의 참여를 유발시킬 뿐 아니라 인간과 예술과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인간과 공간을 연결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인간과 공간의 상호작용과 디지털 아트의 상호작용성에 중점을 두고 인간과 공간, 공간과 디지털 아트, 디지털 아트와 인간의 관계성을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아트를 활용하여 실내공간디자인에 하기 위하여 필요한 상호작용성에 대해 분석하고, 인터렉티브 기반의 실내디자인에 관한 표현을 연구했다.

관람자 내러티브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텍스트 콜라주 창작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Interactive Text Collage using Viewer Narratives)

  • 임수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4호
    • /
    • pp.297-302
    • /
    • 2022
  • 디지털 공간에 익숙한 동시대 관람자들은 자기표현 욕구를 드러내며 의사표현 도구로 음성, 텍스트와 제스처를 많이 이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화한 관람자의 내러티브를 관람자의 모습을 이용하여 콜라주 형식으로 표현하고, 관람자의 움직임에 의한 스토리를 재생산하고 확장하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창작이다. 제안된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음성, 영상 정보를 텍스트 콜라주로 시각화하고, 제스처 정보와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개인화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세 가지 정보는 서로 연결되어 관람자의 현재 일시적 감정을 표출한다. 텍스트의 경직된 내러티브는 관람자의 초상 이미지와 제스처를 통하여 약간의 자유도를 가지게 되고, 동시에 현실과 밀착된 스토리의 구조를 생산하고 확장해간다. 이렇게 창조된 작품 공간은 실시간으로 관람자의 내러티브를 반영하고 갱신되며 창작되는 체험 공간이며, 자신의 반영이다. 또한 관람자의 능동적인 개입과 행위를 통해 적극적인 감상 행위를 유도해낸다.

옵티컬 플로우와 마스킹에 의한 실시간 인터렉티브 비디오 개발 (Development of Interactive Video Using Real-time Optical Flow and Masking)

  • 김태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98-105
    • /
    • 2011
  • 최근의 기술발달은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영상처리 및 특수효과 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작하고 시연한 실시간 인터렉티브 비디오 시스템을 기술하고 분석한다. 본 작품의 동기는 해변에서 파도가 부서지는 시각적 모습으로 부터 파도소리를 대체하는 사운드를 생성하고 자연과 하나가 되어가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해변의 모습을 촬영한 실사 영상을 컴퓨터 비젼 기법인 옵티컬 프로우(Optical Flow)에 의하여 처리함으로써 프레임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얻어 이를 카메라에서 실시간으로 캡쳐 받은 관객의 실루엣 이미지와 마스킹(masking)에 의하여 결합하고 그 결과를 프로젝터를 통하여 보여준다. 결과 이미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미디 피아노 사운드가 함께 생성된다. 이는 하나의 인터렉티브 비디오 작품으로써 의도된 개념을 반영하여 상호작용 공간을 창출한다.

Interactive Experience Room Using Infrared Sensors and User's Poses

  • Bang, Green;Yang, Jinsuk;Oh, Kyoungsu;Ko, Ilju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876-892
    • /
    • 2017
  • A virtual reality is a virtual space constructed by a computer that provides users the opportunity to indirectly experience a situation they have not experienced in real life through the realization of information for virtual environment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alize virtual reality, in which the user interface is a major factor in maximizing the sense of immersion and usability. However, most existing methods have disadvantages, such as costliness or being limited to the physical activity of the user due to the use of special devices attached to the user's body. This paper proposes a new type of interface that enables the user to apply their intentions and actions to the virtual space directly without special devices, and test content is introduced using the new system. Users can interact with the virtual space by throwing an object in the space; to do this, moving object detectors are produced using infrared sensors. In addition, the users can control the virtual space with their own postures. The method can heighten interest and concentration, increasing the sense of reality and immersion and maximizing user's physical experiences.

인터랙티브(Interactive) 웹 3D 연구 (A Study on the Interactive Web 3D)

  • 오병근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117-125
    • /
    • 2001
  • 웹 컨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지만 대부분 텍스트나 이미지 등의 2D 기반으로 사용자를 위한 상호작용 즉, 인터랙티브 구현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웹에서 사용자들은 마우스나 키보드를 이쪽, 저쪽으로 움직이며 공간과 시간을 뛰어넘고 있고 컨텐츠의 선택은 철저히 사용자들에 의해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웹의 특성상 이제 컨텐츠에 사용자를 위한 인터랙티브 요소론 구현하는데 많은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나 네트워크 기술 발전으로 웹에서 3D 컨텐츠에 인터랙티브 요소를 접목하는 것도 그러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국지적으로도 웹 인터랙티브 3D 표현은 아직 초기단계이지만 그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이제 상황화가 시도되고 있다. 2D기반의 웹 컨텐츠보다 실재감이나 몰입감, 사용사 인터렉티브 요소가 많아 사용자의 감각적 체험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웹 인터랙티브 3D는 단순 3D 오브젝트와 다중 사용자 아바타가 참여하는 가상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브젝트와 가상공간에서의 인터랙티브 3D의 개념, 기술과 디자인제작을 위한 구현요소 등을 살펴보고, 가상공간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네비게이션 요소와 방법들에 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웹에서 새로운 인터랙티브 컨텐츠 디자인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