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action experience

검색결과 1,250건 처리시간 0.026초

웹 인터랙티비티의 사례분석을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 분석 및 개발 사례 (Analysis and Adaptation of Strategy for Designing Web Interaction through Analyzing Cases of Interactive Website)

  • 김미영;김현정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4호
    • /
    • pp.37-50
    • /
    • 2004
  • 플래시의 액션 스크립트, 자바 스크립트, 자바 등 웹 기반 프로그래밍 툴의 발전과 사용잗ㄹ의 총체적 경험으로써의 인터랙티비티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웹은 정보를 면 단위로 보여주는 웹진의 형태로부터 인터랙티브한 조작 인터페이스를 제시하고 조작에 따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인터랙션의 형태로 진화하게 하였다. 웹은 소프트웨어에 비해 다향한 계층의 사용자가 비교적 단순한 작업을 하기 위해 사용하므로 보다 인터랙티브하게 작업을 지원함으로써 사용자의 인지적 부담을 줄이며 사용의 재미를 줄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 등장하고 있는 웹사이트의 인터랙티비티의 개념과 사례를 통해 인터랙티브화하는 경향을 분석하고, 웹의 인터랙티브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지 도출하였으며, 이의 적용 예를 보일 수 있는 사이트 개발 사례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웹 상에 있어서 인터랙티비티를 부여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을 제시하였으며, e-book 사이트에서의 인터랙티브 북셀프 디자인에 있어 인터랙션 디자인 전략의 적용 사례를 통해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차내 경험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오디오 기반 인터페이스의 동향 및 시사점 (Trends and Implications of Digital Transformation in Vehicle Experience and Audio User Interface)

  • 김기현;권성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66-175
    • /
    • 2022
  • Digital transformation is driving so many changes in daily life and industry. The automobile industry is in a similar situation. In some cases, element techniques in areas called metabuses are also being adopted, such as 3D animated digital cockpit, around view, and voice AI, etc. Through the growth of the mobile market, the norm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has been evolving from keyboard-mouse interaction to touch screen. The core area was the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recently, the audio user interface (AUI) has partially replaced the GUI. Since it is easy to access and intuitive to the user, it is quickly becoming a common area of the in-vehicle experience (IVE), especially. The benefits of a AUI are freeing the driver's eyes and hands, using fewer screens, lower interaction costs, more emotional and personal, effective for people with low vision. Nevertheless, when and where to apply a GUI or AUI are actually different approaches because some information is easier to process as we see it. In other cases, there is potential that AUI is more suitable. This is a study on a proposal to actively apply a AUI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context of various scenes occurring to improve IVE.

경험정서가 조종사의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의 상호작용 효과 (The Effect of Experience Emotion on Pilot's Risk Perception: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 엄태근;한태영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7-6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xperience emotion (i.e., happy, proud, sad, fear) on the risk perception. This study also examined interaction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i.e., reappraisal strategy, problem focused strategy) between experience emotion and risk perception.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168 flight crew members in Korean commercial airlines, using an online research in which an experiment of emotion manipulation and a survey were included. The results of the study found the positive effect of happiness emotion on the risk perception regarding cases 1(these cases have high possibility of negative result and low circumstance control) and the positive effect of sadness emotion on the risk perception regarding cases 2(these cases have low possibility of negative result and high circumstance control). This study also found the interaction effect of reapprais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between the relationship of happiness and risk perception regarding cases 2. From these results, the study provided th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that happiness and sadness emotion contribute risk perception and reappraisal strategy ha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ppy emotion and risk perception. Final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인터렉션 속성에 기초한 인터렉션 범식화 연구 (A Research on the Paradigm of Interaction Based on Attributes)

  • 샨슈야;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127-138
    • /
    • 2021
  • 본 연구의 목표는 인터렉션이 하나의 영역으로서 묘사 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이다. 또한 패러다임화된 시각으로 인터렉션을 이해하려고 시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규칙에 기초하여 이론모델을 구축하고, 디자이너들에게 인터렉션의 본질을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돕고, 현재 인터렉션 설계가 주로 기초적인 수단으로 의존하게 됨으로써 파생되는 인력과 시간비용의 낭비를 방지하는 것이다. 2000년도에 처음으로 인터렉션 패러다임화의 개념을 제시한 이래 지금까지 관련된 연구에는 일부 결함이 존재한다. 예를들어 제시된 이론 모델들이 서로 다른 척도에서 만들어졌거나, 혹은 접근하는 시각에 객관성이 결여된 것, 그리고 주로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 등에서 오는것 등이다. 본 연구의 가치와 뛰어난 성과는 그 전체적 기초가 파일검색이라는 토대위에 구축되었다. 최근 2000년 이래 현재까지의 인터렉션 패러다임화에 관한 연구 총 21편의 수집을 통하여 인터렉션 속성 모델 19개,인터렉션 속성 포함 총 174개를 추출하였다. 또한 이 174개 속성에 대하여 보다 통일된 표준 척도에 근거를 두고 집합류의 연구수단을 이용하여 재분류 귀납함으로써 두 개의 이론 모델을 한 조로 만들었다. 이 두 모형은 각각 인터렉션 운용과 인터렉션 체험의 시각으로 접근하며, 그중 각 모델은 각각 6개의 독립된 속성을 포함한다. 이 인터렉션 모델의 제시 및 집합류 데이터의 분석은 각 인터렉션 속성이 인터렉션 설계에서 얼마만큼의 주목을 받고 중요한지 밝히는데 도움이 될것이다. 이런 데이터는 디자이너가 디자인 과정에서 힘 분배를 합리적으로 할 수 있게 도와주며, 또한 미래에 인터렉션 설계에 관해 발전공간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다.

효율적인 건축디자인을 위한 가상현실을 활용한 공간경험연구 (Human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for an Optimal Architectural Design)

  • 전수경;차승현
    • 한국BIM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24
  • Virtual reality is one of the key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21th century and it has been used in a variety of ways in the fields of architectural research. Virtual reality is presented as an ideal alternative for studying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humans because it provides a realistic spacial experience while allowing experimenters to control environmental variables at a low cost easily. It allowed us to deepen our knowledge of human spatial experience in the built environment. However, existing reviews do not include the following points: 1) previous review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using virtual reality technology in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not spatial experience, 2) recently, some review researches started to study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humans in the built environment, however, they do not suggest specific concepts of spatial experience. The present review aims to examine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measuring spatial experience using virtual reality in architectural design. The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qualitative review that analyzes and synthesizes the evolving literature regarding design elements, methodology, and usability. The study concludes with an overall discussion and their potential for providing further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K-MOOC 참여자의 학습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iveness Analysis of K-MOOC Learners)

  • 박혜진;권영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3-53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learning effect on K-MOOC. It was confirmed how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affects learning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interaction and ease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ase and interaction of K-MOOC learn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Learning Persistence. Third, the satisfaction and willingness of learners with prior course experience of K-MOOC learners were hig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ourse experien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ffect of actual learning activities was verified for K-MOOC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comparative study on the K-MOOC activation plan and the case of using K-MOOC at each university.

공동경험 -촉지적 상호작용을 통한 소셜 미디어 사용자의 상호작용 경험에 향상에 대한 연구 (Co-Experience: Enhancing Interactive Experience of Users on Social Media through Tangible Interaction)

  • 임성택;박차라;차상윤;문지현;이인성;김진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868-875
    • /
    • 2009
  • 최근 페이스북 (Facebook), 유투브 (YouTube) 등과 같은 소셜 미디어 서비스가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이론으로는 사용자간 상호작용에 중점을 둔 소셜 미디어 상의 사용자 경험을 충분히 설명하기에 부족한 면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에 대한 철학적인 고찰을 통해 기존 사용자 경험 개념을 보완하는 개념인 공동경험을 재정의하였다. 촉지적 상호작용을 통해 사용자들간에 향상된 품질의 상호작용이 가능해져, 사용자들의 공동경험 지각이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험 목적의 소셜 미디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 시스템 상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한 분석과 연구의 의의가 제시되어 있다.

  • PDF

Evolving a Holistic Design Process of Experiential Design - Focus on the Cognitive Interaction in Design Process -

  • Woo, Heung-Ryong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65-76
    • /
    • 2007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olve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Experiential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former study, 'The Influence of Cognitive Factors on the Creative Abilities in Design'. Experience is a transformation factor to all of the design processes, which has three phase of problem solving; Input, Process, and Output. We regard Experiential Design is a transforming process from concept to experience, and set up a mode) of Holistic Design Process (HDP), which consists of four domains: Four Causes, Thinking Modes, Sensory Modalities, and Creative Abilities. Revolving Sensory Modalities (SM), Creative Abilities (CA), and Thinking Modes (TM) around Product Design Specification (PDS) through a design process, Design Concepts ripen and mature into Externalization. Each component of Experiential Design (TM, SM, and CA) turns around the PDS. Here, experience is first perceived by the five senses. Then, the knowledge is formed, and the CA works for a problem solving. And TM controls all of these procedures. We regard these are a phenomenon of Experiential Design. The HDP can be helpful to develop valuable solutions and create a good experience.

  • PDF

고등학생 근로경험과 성별에 따른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연구 (Difference in Career Compete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Work Experience Types and Gender)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771-785
    • /
    • 2013
  • 본 연구는 고교생들의 근로경험 유형--근로경험 없음, 긍정적 근로경험, 부정적 근로경험--에 따라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 간에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에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알아본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09년 청소년 진로 직업 실태조사" 자료로부터 3,499명 고등학생들의 근로경험과 진로 관련 자료들을 사용하여 이원 다변량분산분석(two-way MANOVA)을 실행하였다. 전반적으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 있어 높은 수준을 보인 가운데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보다 부정적 근로경험의 역효과가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진로역량과 진로준비행동에서 근로경험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존재하였으며, 여학생에게 있어 근로경험 자체보다는 부정적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부정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암시하였다. 남학생의 경우, 근로경험이 진로역량 및 진로준비행동과 긍정적인 영향과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특히 자기이해 역량과 확장된 진로준비행동에 있어서는 남학생의 부정적 근로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암시하였다.

디자인 호텔의 인터랙션디자인 속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Design in the Design Hotel)

  • 이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08-216
    • /
    • 2010
  • The design hotel where new life styles of users were created and the exchange of one's identity and the culture was executed was employed the interaction design which considered the attendance and experience of users as the important motives. This study is to discu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hotel and interaction design,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s in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m. It was concluded that the design hotel had a close relation with the properties of information supply, amusements, narrative, personalization, and social exchange in the interaction design, and it mainly used the digital media of non-material, the juxtaposition of strangeness, the change of structure, substitution of values, appropriation of hybrid as a means of its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properties above did not simply apply to an open space but were connected as a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into one subject. It is expected that the field of interaction design in the design hotel will be expanded due to the spread of digital technology and its role and importance will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 study to provide the development of a variety of contents of design hotel should be kept through the study of organic relation between different subjects, avoiding the indiscriminate use of the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