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nsive semester system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졸업설계 집중학기제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ntensive Semester of Graduation Design)

  • 김경언;강승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51-158
    • /
    • 2019
  • 대학교육 경쟁력과 혁신 요구가 높아지면서 대학의 특성을 고려한 유연한 교육체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공학계열 중심인 K대학의 경우 기술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해 졸업설계 교과목의 교육목적, 내용, 평가, 운영방식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를 도입하였다. K대학의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는 2018년 1학기 2개 전공에서 시범 운영 후 2019년 1학기 3개 전공에서 4학년 1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였다. 참여 교수자와 학생을 대상으로 졸업설계 집중학기제 실태 및 효과성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존과 대비하여 교수자의 지도 시간이 향상되었고 졸업작품의 질 향상, 학생의 역량 함양 등 졸업설계 집중학기제를 도입하고자 하였던 목적에 비추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교육 집중학년·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bjects-integrated Career Education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 a Career Education Intensive Semester & Grade System: Focusing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5-84
    • /
    • 2017
  • 본 연구는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한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 고등학교 가정과 성취기준과 진로개발역량과의 관계 분석 및 가정교과통합 진로교육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운영에 미흡한 점이 많다. 이에 2015 개정교육과정의 적용과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의 확산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교과통합 진로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준비가 요구된다. 둘째, 가정교과 3개 영역의 모든 성취기준은 진로개발역량과 관련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가정교과는 학교 진로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고, 미래 인재로서 갖추어야 할 진로개발역량을 길러주는 핵심적인 교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진로개발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과정-교수 학습-평가의 연계를 중심으로 가정교과통합 진로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개발된 수업 사례를 현장에 적용하지 못해 그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것이다. 하지만 본 연구는 가정교과와 진로교육의 통합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진로교육 집중학년 학기제에서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파이썬을 활용한 온라인 기반 프로젝트의 집중학기제 운영사례 : S 여대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Intensive Semester Operation of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Using Python : Focusing on S Women's University)

  • 권선아;장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4권5호
    • /
    • pp.3-14
    • /
    • 2021
  • This study deals with the case of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which was designed for the purpose of university educational innovation and enhancing learners' competencies required by society, opera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course was applied Python programming language,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intensive course system, which is required by our society and compani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lso it was operated as a non-face-to-face online class, which would have been operated in an offline class if it had not been for Covid 19 pandemic,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educational effects of online learning. To do this, 32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d in online-based project learning during 8 weeks, and then conducted a survey.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in terms of i) non-face-to-face online learning, ii)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iii) application of the intensive course system. Results say that most of the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the online learning, team-based project learning, and the intensive semester system applied in this course at a high level, and also they clearly presented the reasons. Thereby,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learners were already well aware of the pros and cons of each learning metho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중학교 자유학기제 교육과정 운영에 대응하는 공간배치 대안 연구 (A Study on Spatial Layout Corresponding to Free Learning Semester Curriculum of Middle School)

  • 강혜진;정진주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1-20
    • /
    • 2014
  • A total of 2,325 schools including all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 have operated variation type since government announced the "Variation Type classroom System Promotion Plan" in May 2009. New education policy, free learning semester of middle school, was introduced after current government took office, followed by extende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olicy. Korean students have a low level of happiness and interest in the school due to admissions intensive competition and the investment memorize education and cramming education.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youth development stage, free learning semester system introduction commitment was announced in November 2012, and free learning semester was operated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in 2013, and then expansion implementation plan of 2015 was established, because free learning semester introduction in middle school stage is increasing. This study considers concept and operation method to free learning semester of middle school which are newly introduced, based on the policy documents of Ministry of Education. Also, through the example of Japanese schools, this analyses creativity, personality, social skills, and healthy corresponding to a free learning semester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nd present method to apply for Korea.

전공심화과정 개설을 위한 설문조사연구 (Analysis of Questionary Survey Research on the Intensive Major Course in the KNAC)

  • 강윤규;홍규현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137-151
    • /
    • 2008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uggest a policy plan for intensive major course in recurrent education system of KNAC. A survey was answered by students, graduates, field professors and (full-time) professo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item of educational operation system,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reference among 4 examinee groups. Students preferred 'semester system', graduates and field professors did 'once per week system', and professors 'cyber+centralized training system'. 2. As entering time, students and graduates preferred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However, field and full-time professors preferred '1 to 3 years after graduation' that became reality. 3. As board and lodging, all examinee groups wanted 'dormitory in college'. Students and graduates were open to pay educational expenses as a level of national colleges. 4. As a curriculum, the most preferred subject by all groups was 'major field technique', which was followed by 'marketing/sale' and 'farm management' in the order of preference.

2009 개정 교육과정 집중이수제 시행에 따른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의 학습 만족도 및 인식 (Learning Satisfaction with and Perceptions on Life Sc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urse According to the Intensive Course Complete System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박재연;문두호;김은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446-457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집중이수제로 운영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인식을 조사하여 교과목표 달성의 기초 자료로 삼고, 교과 운영에 반영함으로써 인문사회과정 고등학생들이 생명과학 기초소양과 과학적 소양을 갖춘 합리적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 소재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인문사회과정 학생 30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집중이수제를 통한 생명과학교과에 대한 학습만족도가 낮으며, 현재 수업시수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빠른 진도와 시험의 분량에 대한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의 생명과학에 대한 인식은 '약한 긍정'으로 진로 차원에서는 부정적이었으나 교육 차원에서는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이수제의 시행을 전면 재검토하거나 전체적인 보완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문사회과정 학생들을 위한 생명과학교과의 다양한 교수 방법 및 맞춤형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자연이공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를 시행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PDF

머신러닝 기반 대학생 중도 탈락 예측 모델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based Prediction Models for University Students Dropout)

  • 정석봉;김두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2권4호
    • /
    • pp.19-26
    • /
    • 2023
  • 전국 대학생의 중도 탈락 비율의 증가는 학생 개인 뿐만 아니라 대학과 사회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중도 탈락이 예상되는 학생을 사전에 식별하기 위하여, 각 대학의 학사관리 시스템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학적 데이터를 기반으로 머신러닝 분야의 결정트리, 랜덤 포레스트, 로지스틱 회귀 및 딥러닝 기반의 중도 탈락 예측 모델을 구축하고, 그 성능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로지스틱 회귀 기반 예측 모델의 재현율이 가장 높았으나 f-1 및 auc 값이 낮은 한계를 보였고, 랜덤 포레스트 기반의 예측 모델의 경우 재현율을 제외한 다른 모든 지표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또한 예측 기간에 따른 예측 모델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예측 기간을 단기(1개 학기 이내), 중기(2개 학기 이내) 및 장기(3개 학기 이내)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장기 예측 시 가장 높은 예측력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각 대학은 중도 탈락이 예상되는 학생들을 조기에 식별하고, 이들에 대한 집중 관리를 통해 중도 탈락 비율을 줄이며 나아가 대학 재정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