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lligent wheelchair

Search Result 3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시선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

  • Kim, Tae-Ui;Lee, Sang-Yoon;Kwon, Kyung-Su;Park, S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88-9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시선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감지하여 회피할 수 있게 하고, 조이스틱을 움직이기 힘든 중증 장애인을 위해 시선인식 및 추적을 이용하여 전동휠체어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시선인식 및 추적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애물 회피 모듈, 모터 제어 모듈, 초음파 센서 모듈로 구성된다. 시선인식 및 추적 모듈은 적외선 카메라와 두개의 광원으로 사용자 눈의 각막 표면에 두 개의 반사점을 생성하고, 중심점을 구한 뒤, 동공의 중심점과 두 반사점의 중심을 이용하여 시선 추적을 한다. 시선이 응시하는 곳의 명령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하달 받고, 모터 제어 모듈은 하달된 명령과 센서들에 의해 반환된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로 모터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좌우 모터들을 조종한다. 센서 모듈은 전등휠체어가 움직이는 동안에 주기적으로 센서들로부터 거리 값을 반환 받아 벽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 회피 모듈에 의해 장애물을 우회 하도록 움직인다. 제안된 방법의 인터페이스는 실험을 통해 시선을 이용하여 지능형 휠체어에 명령을 하달하고 지능형 휠체어가 임의로 설치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 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ersonal Communicator based on Embedded Single Board Computer for Controlling of Remote Devices (원격 장치 제어를 위한 임베디드 기술 기반의 개인용 커뮤니케이터 설계 및 구현)

  • Jang, Seong-Sik;Byun, Tae-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6 no.2
    • /
    • pp.99-109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implementation details of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using personal communicator based on LN2440 single board computer, which recognizes hand-gesture of user, controls remote moving device such as mobile home server, robot etc. through delivery of proper control commands. Also, this paper includes detail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home gateway and mobile home server. The implemented prototype can be utilized to develop various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a remote exploration robot, intelligent wheelchair based on general purpose embedded system.

Array of Ultrasonic Sensor for Obstacle Avoidance of Intelligent Wheelchair (지능형 휠체어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초음파 센서의 배열)

  • Kim, Tae-Ui;Kwon, Kyung-Su;Park, S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15-18
    • /
    • 2009
  • 지능형 휠체어 구현에 있어 초음파 센서의 배열은 전동휠체어가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결정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휠체어의 장애물 감지를 위한 초음파 센서의 효과적인 배열 방법을 제안한다. 초음파 센서 모듈은 총 10개의 4개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전동 휠체어의 전방, 좌, 우측에는 각각 3개의 센서를 48도씩 중첩되게 겹쳐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고, 후방에는 하나의 센서를 구성한다. 지능형 휠체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애물 회피 모듈, 모터 제어 모듈, 초음파 센서 모듈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정해진 명령을 하달 받고, 모터 제어 모듈은 하달된 명령과 센서들에 의해 반환된 장애물과의 거리 정보로 모터제어보드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좌우 모터들을 조종한다. 센서 모듈은 전동휠체어가 움직이는 동안에 주기적으로 센서들로부터 거리 값을 반환 받아 벽 또는 장애물을 감지하여 장애물의 위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알려 주고, 또한 장애물 회피 모듈에 의해 장애물을 우회 하도록 움직인다. 제안된 방법의 센서 배열은 실험을 통해 지능형 휠체어가 임의로 설치된 장애물을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보다 정확하게 장애물을 회피 할 수 있음을 보였다.

Development of Path Finding System using K-means clustering for Intelligent Wheelchair (K-means clustering을 이용한 지능형 휠체어의 경로 선정 시스템 구현)

  • Kwak, Dongseok;Lee, Jaekook;Ju, Jin Sun;Ko, Eunjeong;Kim, Eun Y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11a
    • /
    • pp.381-382
    • /
    • 2009
  • 본 논문은 고령자 및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을 지원하기 위한 지능형 휠체어에서의 자동 장애물 감지 및 회피 기술을 개발한다. 이때 다양한 환경에서의 장애물을 정확히 감지하고 회피하기 위하여 학습을 이용한 비전 기반의 경로 선정 방법이 제안 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배경 분류기, occupancy grid map 생성기, 경로 선정기로 구성되며, 경로 선정 시 강건한 장애물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입력 영상을 occupancy grid map으로 변환하고, 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생성된 대표 템플릿들과 비교하여 이동 가능한 방향을 선정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장애물을 포함하는 실내 및 실외에서 실험한 결과 81.7%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지능형 휠체어 사용자에게 안전한 이동성을 제공 할 수 있음을 증명 하였다.

Development of Intelligent Walking Assistive Robot Using Stereo Cameras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보행보조로봇의 개발)

  • Park, Min-Jong;Kim, Jung-Yup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38 no.8
    • /
    • pp.837-848
    • /
    • 2014
  • This paper describes the development of a walking assistive robot for effective self-rehabilitation for elderly people facing an inconvenience in walking. The main features of the developed robot are enhanced safety and mobility using the baby walker and electric wheelchair mechanisms and an accurate walking tracking control algorithm using potentiometers and stereo cameras. Specifically, a pelvis supporter is designed to prevent the user from falling down and reduce the burden on their legs, and electric motors are used for easy locomotion with low effort. Next, the walking intention and direction of the user are automatically recognized by using potentiometers attached at the pelvis supporter so that the robot can track the user, and the rapidity and accuracy of the tracking were increased by applying a lower-body motion analysis algorithm with stereo cameras. Finally, the user-tracking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obot was experimentally verified through stepwise walking assistance experiments.

Encoder Type Semantic Segmentation Algorithm Using Multi-scale Learning Type for Road Surface Damage Recognition (도로 노면 파손 인식을 위한 Multi-scale 학습 방식의 암호화 형식 의미론적 분할 알고리즘)

  • Shim, Seungbo;Song, Young 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9 no.2
    • /
    • pp.89-103
    • /
    • 2020
  • As we face an aging society, the demand for personal mobility for disabled and aged people is increasing. In fact, as of 2017, the number of electric wheelchair in the country continues to increase to 90,000. However,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seniors are more likely to have accidents while driving, because their judgment and coordination are inferior to normal people. One of the causes of the accident is the interference of personal vehicle steering control due to unbalanced road surface conditi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encoder type semantic segmentation algorithm that can recognize road conditions at high speed to prevent such accidents. To this end, more than 1,500 training data and 150 test data including road surface damage were newly secured. With the data, we proposed a deep neural network composed of encoder stages, unlike the Auto-encoding type consisting of encoder and decoder stage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this deep neural network has a 4.45% increase in mean accuracy, a 59.2% decrease in parameters, and an 11.9% increase in computation speed. It is expected that safe personal transportation will be come soon by utilizing such high speed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