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telligent Power Module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43초

감성 조명장치의 소모 전력 절감을 위한 거리 측정 센서 기반 자동 조광 제어 (Automated Brightness Control Using Distance Measuring Sensor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Emotional Lighting)

  • 신성훈;지상훈;정구민;이영대;배성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47-25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감성조명의 소모전력 절감을 위한 거리 측정 센서 기반 자동 조광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지속적인 색상변화를 표현해야 하는 감성 조명에서의 소비 전력 절감을 위하여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와의 지속적인 거리 측정 및 이를 통한 PWM Dimming 제어를 수행한다. 조명장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LED Driver, 초음파 센서,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되며, 초음파 센서를 통해 측정된 거리 정보를 PWM 신호에 적용하여 실시간 밝기 제어를 수행한다. 기존 조명에서의 에너지 절감 기법을 감성조명에 적용하여 사용자 부재 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능동형 조명 시스템을 구현한다.

IoT Enabled Smart Emergency LED Exit Sign controller Design using Arduino

  • Jung, Joonseok;Kwon, Jongman;Mfitumukiza, Joseph;Jung, Soonho;Lee, Minwoo;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76-81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 low cost and flexible IoT enabled smart LED controller using Arduino that is used for emergency exit signs. The Internet of Things (IoT) is become a global network that put together physical objects using network communications for the purpose of inter-communication of devices, access information on internet, interaction with users as well as permanent connected environment. A crucial point in this paper, is underlined on the potential key points of applying the Arduino platform as low cost, easy to use microcontroller with combination of various sensors applied in IoT technology to facilitate and establishment of intelligent products. To demonstrate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ystem, devices such as LED strip, combination of various sensors, Arduino, power plug and ZigBee module have been integrated to setup smart emergency exit sign system. The general concept of the proposed system design discussed in this paper is all about the combination of various sensor such as smoke detector sensor, humidity, temperature sensor, glass break sensors as well as camera sensor that are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ler (Arduino) for the purpose of communicating with LED exit signs displayer and dedicated PC monitors from integrated system monitoring (controller room) through gateway devices using Zig bee module. A critical appraisal of the approach in the area concludes the paper.

LAN 기반 디지털 변전소 보호를 위한 동기 샘플링 구조적용 HW/SW 플랫폼 기술 (Synchronized Sampling Structure applied HW/SW platform for LAN-based Digital Substation Protection)

  • 손규정;남경덕;안기성;장태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78-18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미래 LAN 기반 디지털 변전소 보호를 위하여 정밀 시각동기 기반 동기 샘플링 구조를 적용한 계통 구성 IED(Intelligent Electronic Device)의 HW/SW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플랫폼은 전력계통 자동화를 위한 표준인 IEC 61850 프로토콜 및 IED 간 정밀 시각동기를 위한 IEEE 1588 Precision time protocol 통합 소프트웨어가 적용되었으며, Synchronized reference signal을 이용한 IED 간 동기 샘플링 구조를 적용하였다. 이는 미래 IEC 61850 기반 디지털 변전소에 적용될 네트워크 기반 데이터 송수신 환경에서 IED 간 동기 측정된 계전 데이터를 제공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기반 분산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새로운 보호 및 제어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제시한 플랫폼 기술의 타당성 및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TMDXIDK572 멀티코어/멀티프로세서 EVM(Evaluation Module)을 기반으로 구현하였으며, 성능 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제시한 플랫폼의 시각동기 성능 및 동기 샘플링 기능의 동작을 확인하였다.

퍼지 상태 공간 분할 기법을 이용한 지능형 태양광 추적시스템 설계 (Designed of Intelligent Solar Tracking System using Fuzzy State-Space Partitioning Method)

  • 김관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72-2078
    • /
    • 2011
  •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을 정면으로 바라 볼 때 가장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즉, 태양의 위치에 대한 집광판(PV; Photovoltic)의 법선벡터를 일치시켜야 가장 높은 효율을 얻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태양의 이동경로를 추적할 수 있도록 태양의 그림자를 판독할 수 있는 8개의 CdS 센서 모듈을 통하여 태양의 위치를 판독하여 태양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태양광 추적시스템의 퍼지제어기(fuzzy controller)는 퍼지 입력공간에 대한 격자형 퍼지분할(grid-type fuzzy partition) 영역으로 분할한 후 퍼지규칙(fuzzy rule)을 수립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추적을 위한 간단한 모형의 2축 제어시스템을 구성하였으며, CdS 모듈의 좌표축과 집광판의 좌표축을 일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고정된 장소 및 선박과 같은 이동하는 환경에 효과적으로 태양광을 추적할 수 있는 지능형 퍼지제어기의 적용가능 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블루투스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군집합로봇의 행동학습 (Attitude Learning of Swarm Robot System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Network)

  • 진현수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37-143
    • /
    • 2009
  •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로봇은 더욱 소형화 되어가지고 응용을 요구하는 로봇의 수효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역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많은수의 자동로봇을 처리하는 방법이 로봇군집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실험 주제로 자리잡고 있다. 군집로봇시스템은 선배정된 조건으로부터 자기의 상태를 유추할수 있는 제한된 환경가운데 있는 독립적인 자동로봇으로부터 자기자신을 유도할 수 있고 서로간의 역할을 분담하는 로봇이다. 군집로봇에 있어서 로봇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을 인식하기 위해 센서부분을 포함하고 정보를 교환하기위해 통신 부분을 포함하고 작업을 하기위해 액튜에이터 부분을 포함한다. 특히 다른 로봇과의 협동작업을 하기 위해 로봇과의 통신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블루투스는 저전력 소모라든지 모둘패키지 크기가 작든지, 여러 가지 기준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든지하여 작은 크기의 로봇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많은 잇점을 가지고 있다. 본문에서 자동로봇을 위하여 블루투수 통신을 개발한다. 그리고 지능공간안에서 군집합로봇의 통신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기위한 방법을 논의한다.

  • PDF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 (Self-powered wireless bus information and disaster 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IoT))

  • 김태국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7-22
    • /
    • 2022
  • 본 논문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의 버스 정보 시스템은 유선으로 전력과 통신을 제공함에 따라 유선 매설작업으로 인한 설치비용 증가와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가 전력을 이용한 무선 버스 정보 및 재난 정보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버스 도착 정보를 제공하며, 자연재해 등의 재난 발생 시,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재난 정보도 알림으로써 혼란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이용한 자가 전력 시스템을 제안하였고, 무선 WiFi 또는 LTE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SoC를 이용한 소형 무선 센서 노드 설계 (Design of Miniaturized Wireless Sensor Node Using System-on-Chip)

  • 김현중;양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90-193
    • /
    • 2009
  •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본적인 요소는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사용자 응용시스템에 전송하는 무선 센서 노드이다. 무선 센서 노드는 센서로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저장, 가공하여 처리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로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형화, 지능화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컨트롤러, RF 모듈, 메모리 등을 하나의 칩 내부에 모두 통합하는 SoC(System-on-Chip)기술은 센서 노드의 소형화와 제조 단가를 낮추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고에서는 상용 SoC를 사용하여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소형 무선 센서 노드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여러 활용 방안 및 추가적인 고려사항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지능형 LED 조명 시스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유무선 이중망 통합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Interface based on Wire and Wireless Dual Network for Ensuring the Reliability of Intelligent LED Lighting System)

  • 이운선;박태진;박만곤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2호
    • /
    • pp.306-312
    • /
    • 2014
  • The ZigBee communication method,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applied to the LED lighting control system, has drawbacks of low-speed and low-capacity, and the communication failure possibility due to environmental influences is on the ris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secure the communication reliability by applying an integrated interface with a wire-wireless dual-network. This paper developed a communication module, which has a platform converging and combining the ZigBee of USN environments with the PLC of power line communication environments, to implement a dualized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supporting the wire-wireless integrated protocol, and implemented a wire-wireless networking device and a control system software technology. As a result, it was automatically switched into the PLC communication within 4.4 seconds on average when there was an access failure in the ZigBee communication network, so a reliable communication network was built.

확장칼만필터 이론을 응용한 속도센서없는 유도전동기의 벡터제어 (Vector Control of sensorless induction motor using Extended Kalman Filter theory)

  • 오원석;임남혁;홍찬희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지:조명전기설비
    • /
    • 제9권6호
    • /
    • pp.41-4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Extended Kalman Filter(EKF)를 이용한 속도센서없는 우도전동기의 벡터제어의 구현을 제안하였다. 또한 회전자 저항의 변동을 보상 할 수 있도록 회전자 저항도 추정한다. 이산화된 유도전동기의 모델을 통해 유도 전동기의 속도와 회전자 저항을 포함한 상태 변수를 정의하고 벡터 제어에 필요한 자속각을 추정하여 노이즈 환경에 놓인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안정되게 하였다. EKF알고리즘의 연산을 위하여 DSP를 이용하고, 전류제어 장치로 공간 전압벡터 변조 방식의 적용이 용이한 마이크로 콘트롤러를 체용하고, 인버터는 IPM(Intelligent Power Module)으로 실험 장치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속도 추정 특성과 회전자 저항 특성을 살펴본 결과, 본 논문의 EFK 알고리즘이 속도 센서없는 유도전동기 벡터제어에 적합함을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DSP(TMS320F240)를 이용한 BLDC서보 전동기 다축 이송시스템 제어기 설계 (Design of DSP(TMS320F240) Controller for Multi-axes Transportation System with BLDC Servo Motor)

  • 김민섭;구효원;최중경;권현아;신영호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5)
    • /
    • pp.95-9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DSP(TMS320F240) controller design for multi-axes transportation system using BLDC servo motor. This BLDC servo motor controller was realized with DSP(Digital Signal Processor) and IPM (Intelligent Power Module). The multi-axes transportation system needs torque, speed, position control of servo motor for variable action. This paper implements those servo control with vector control and space vector modulation technique. As CPU of controller DSP(TMS320F240) is adopted because, it has PWM(Pulse Width Modulation) waveform generator, A/D(Analog to Digital) converter,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port and input/output port etc. The controller of multi-axes transportation system consists of 3-level hierarchy structure that main host PC manages three sub DSP system which transfer downword command and are monitoring the states of end servo controllers. Each sub DSP system operates eight BLDC servo controllers which control BLDC servo motor using DSP and IPM Between host system and middle digital signal processor communicate with RS-422, between main processor and controller communicate with SPI por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