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Korean Textbooks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4초

한국어 통합 교재의 문법 예문 작성 원칙 연구 (A Study on the Principles of Constructing Example Sentences for Grammar Description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 양재승
    • 한국어교육
    • /
    • 제28권1호
    • /
    • pp.197-220
    • /
    • 2017
  •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inciples of making example sentences when describing grammar items and examines aspects of example sentences presented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The requirements of example sentences in grammar descriptions have been mentioned in several preceding research.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which focuses particularly on example sentences in grammar descriptions and examines the appropriacy of example sentences presented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Therefore, this study sets up five principles to make appropriate example sentences and examine if these principles are in line with example sentences in Korean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recently. Comprehension and use of grammar items are two significant aspects when making sentences. Thus, example sentences should show meaning, form and pragmatic information unambiguously. The findings show that most textbooks follow the five principles. However, some example sentences do not meet the requirements to be effective examples. In particular, the integrated textbooks need to include more example sentences related to the topic and the goals of the unit considering the role of grammar.

국외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 이해영;방성원;박기영;박선희;이보라미;최은지
    • 한국어교육
    • /
    • 제29권3호
    • /
    • pp.227-25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future developments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by conduct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se and evaluate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and the researches for develop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overseas. In this study, we have the IPA of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from the total of 158 surveys that were collected from teachers who teach Korean at King Sejong Institute and overseas university. The survey conducted about the Korean textbooks regarding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1) integrated and separated textbooks, 2) textbooks by learners' variables, 3) teaching materials by media type, 4) sup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5) diffusion and support of textbooks. The result of this survey found that supporting for the separated textbooks is needed, and there is a high demand for localized textbooks considering local characteristics. Furthermore, it is noteworthy that King Sejong Institute has a high demand for textbooks that can be downloaded from the web despite most of institutes are highly satisfied with paper textbooks. For the supplementary textbooks, it was found that vocabulary learning materials were needed for the King Sejong school students and additional reading materials for overseas college learners needed to be developed. We also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not only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but also smooth and efficient diffusion.

초등학교 통합 교과서의 다문화요소분석 - 1, 2학년 통합 교과서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in Integrated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Around the First and Second Grades)

  • 강현주;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21-1235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ulticultural content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Textbook revised in 2015. This study abstracted the framework of multicultural factors for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from the research on "Revision Guidelines by Analysis of Multicultural Factors in Secondary Curriculum and Textbook". The analyzed textbook is the integrated winter textbooks for both the first and second grades revised curriculum in 2015. Several findings were re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multicultural content displayed five times in first grade and nineteen times in second grade respectively. Second, the analyzed textbooks did not include contents directly associated with multiculturalism. Activities and experience is important in the acceptance of unfamiliar cultures Thus, multicultural contents' frequency of within textbooks is very crucial. Finally, the revised curriculum focused on activities and experiences about the theme and content in the textbook and was developed around block chassis. For teaching the textbook content, teachers must perfectly understand textbooks through teacher training. The textbooks of reflecting right values on multiculturalismIn. this respect,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 should be improved by supplementary revision fitting for the growth of humanity in the multicultural era.

수행을 위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기반으로 한 통합형 한국어교재 분석 (Analysis of Integrated Korean Textbooks Based on the Components of Writing Tasks for Performance)

  • 박은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97-206
    • /
    • 2019
  • 본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교육에서 쓰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제시되는 쓰기 과제가 학습자들이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를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하고자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에서 언급한 쓰기 과제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정립하고 이 설정한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를 가지고 연구 대상인 통합형 한국어교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쓰기과제의 유형에서 '자유 작문'과 '모방해서 쓰기'가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고 교재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는 21개 정도였다. 지시 내용의 대다수가 한 두 문장의 지시문으로 지시사항을 진술하는데 대부분이 주제 및 장르만을 제공하고 있으며 글의 목적, 형식, 분량, 시간 등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읽기 텍스트의 유형은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설명문의 텍스트가 가장 많았고 평가 준거와 기타 요소에서 채점 기준과 시간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고급수준의 쓰기 과제에서는 글의 분량, 형식 등이 그나마 제시되는 편이나 초급과 중급에서는 이것조차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이처럼 통합형 한국어교재에는 쓰기 과제의 구성요소가 고루 갖추어지지 않은 채 학습자들에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내용의 통합적 구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Integrative Conten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420-435
    • /
    • 2009
  •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and compare the elementary textbook contents of science in Korea, USA and England and to mak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integrative contents in Korean science textbooks. For this study, lessons on living things in the three grade science textbook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five criteria: component elements of the lesson, integration of knowledges and investigations, integration of subject and life, connection with other subjects and focus of integration. From this comparative study, five suggestions are inferred for the improvement of the Korea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First, it is recommended that Korean textbooks should present unit objectives and evaluative components in the introductive part and last part of each lesson. Second, Korean textbooks should include scientific knowledges as a way of presenting educational contents. Third, Korean textbooks are recommended to include integrated contents fitting for students' life context. Fourth, Korean textbooks are recommended to integrate contents in connection with mathematics, arts, literature and so on. Fifth, issues which can facilitate students to understand contents in the textbooks and to relate to their life should be more employed.

초등학교 보건교과서 분석 (Contents Analysis of Health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 한지영;서지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26
    • /
    • 2014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offer the basic data required for development or revision of health-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Methods: This study was methodological study of the content of health-textbook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 health-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which were edited in 2009~2010. The components of contents divides into holistic analysis and specific areas. Results: One textbook was no introductory remarks and 2 textbooks were no preface. The health-textbooks consisted of 7 areas and were comprehensive for school education. The proportion of each was different in 10 textbooks. Sexuality and health wa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the seven areas in both the fifth and sixth grade. However, given that the mortality rate for the child's safety accidents is higher than in developed countries, the proportion of accident prevention and first aid can be relatively weak area. Conclusion: It is essential that health-textbooks empower schoolers to make healthy decisions through the promotion of useful life skills that provide a more integrated concept of health.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pproaches to health textbook to integrate more values of health.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활동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Inquiry Activities in Geology 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s of Korea and the U.S.)

  • 배현경;정공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626-639
    • /
    • 2008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개선을 위한 제안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영역에 있는 탐구 활동이 탐구내용, 탐구과정, 탐구상황 면에서 평가되었다. 탐구활동의 내용에서, 한국 교과서는 단원 당 5.8개로 미국 교과서의 단원 당 4개보다 더 많은 탐구활동 개수를 포함하고 있었다. 한국 교과서는 대부분 도표나 그래프 등 자료해석에 관련된 탐구활동을 포함하고 있고 미국 교과서는 스스로 조작하는 실험이나 자료변형 그리고 직접설계 할 수 있는 탐구활동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탐구활동 1개당 사용된 탐구과정 개수는 한국 교과서가 평균 1.8개인 반면 미국 교과서는 3개로 미국 교과서가 한국 교과서보다 더욱 다양한 탐구과정을 사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모든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탐구과정 요소는 추리와 자료해석으로 이 두 요소의 비율은 한국 교과서는 평균 73.3%이고 미국 교과서는 46.2%였다. 즉 한국 교과서는 특정 탐구과정 요소만을 강조하였고, 이런 고르지 못한 탐구과정 요소의 분포는 학생의 통합능력 신장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통합적 탐구과정에서 미국교과서는 7개의 모든 요소가 다 제시되었지만 한국 교과서는 단지 2개 내지 4개의 요소만이 제시되어 한국 교과서가 미국 교과서보다 학생들이 다양한 탐구능력을 함양할 수 있게 하는 탐구활동을 제공하는데 있어 취약점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탐구상황 분석에서 한국교과서는 다소 단편적 인이고 실생활과 관련이 낮은 탐구 상황이 제공되었고, 미국 교과서는 좀 더 실생활과 관련되어 적용된 탐구 상황의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의 과학과 핵심역량 분석: '산·염기·중화반응'과 '산화·환원'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chievement Standards, Activities, and Assessment Items in Integrated Science, Chemistry I, Chemistry II Textbooks on Science Core Competency: Focusing on Acid·Base·Neutralization and Oxidation·Reduction)

  • 고은아;최애란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6호
    • /
    • pp.486-50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관련 성취기준과 교과서 활동 및 평가 문항을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과 핵심역량별 하위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통합과학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순으로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나, 화학 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이 포함되어 있었고, 화학 II의 성취기준에는 과학적 사고력만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활동에는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고, 각 교과에서 과학적 탐구 능력과 과학적 사고력이 높은 비율로 포함되어 있었다. 통합과학, 화학 I, 화학 II 교과서의 '산·염기·중화반응', '산화·환원' 평가 문항에도 5가지 과학과 핵심역량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으며, 각 교과에서 모두 과학적 사고력이 포함된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교과서 부록에 관한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n Appendices of Science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 리경구;곽대오;성민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0-262
    • /
    • 1995
  • Investigation on the appendices was carried out to acquire teaching materials about improvement of a appendices and development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or science textbooks in Korean middle schools. We analysed the appendices for 30 kinds of science textbooks used in Korean middle schools during $1969{\sim}1994$ years. In the results there were three kinds of pattern for the appendices, such as appendix, non-appendix, and similar appendix without appendix title. The content of appendices were summarized as six categories. such as list of science and scientist history, SI unit-constants and symbols, handling methods of instruments for basic experiments, measuring methods and inquiry activity, safety and precautions, and supplementary data with figures and tables. The appendices of six categories were mostly a content of general and integrated science, and were concentrated in the first grader's textbooks. There were many appendices about the methods for basic experiments such as 'How to Use of Experimental Appliances' in the first grader's science textbooks, but there was no or lack of them in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r's science textbooks in the middle school. By the ratio to the pages of appendices which were included according to curriculum changes. the ratio was found to be 4.47% which was the highest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at the second curriculum and to be 3.47% which was the highest in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t the secon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cience textbooks should include as many appendices as possible, because teachers could utilize them in teaching activities and students should be able to be given much help in self-learning.

  • PDF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탐구 과제 분석 (Analysis of Inquiry Tasks in Earth Unit of the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 김정률;김명숙;박예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01-510
    • /
    • 2005
  •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탐구 과제가 제7차 교육 과정의 목표에 따라 제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11종 과학 교과서의 기본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탐구 과제의 유형과 기본 탐구 기능, 통합탐구 기능, 탐구 활동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제시된 탐구 기능과 활동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제는 평균 24.0개가 제시되었으나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고 제시하는 유형이 달랐다. 탐구 활동의 빈도는 교과서마다 달랐고 제시된 것보다 더 많이 분석되었으며 통합적인 활동으로 제시되지 않고 하나의 탐구 기능처럼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탐구 기능은 $77.2\%$로 기본 탐구 기능 $22.8\%$보다 많은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 기본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의 분포 비율은 각각 $45.6\%$$56.4\%$로 조사되었다. 각 탐구 기능 중에서는 추리$(49.5\%)$와 자료해석$(68.7\%)$이 가장 많이 있었고,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일반화 등의 탐구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본질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거나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 과정이 탐구,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조작적 수준으로 제시하고, 탐구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