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GIS

검색결과 427건 처리시간 0.026초

공간척도 유형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 분석 (Exploratory Sensitivity Analysis of Environmental Equity to Spatial to Measures)

  • 전병운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08-521
    • /
    • 2006
  •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분석방법이 적용되느냐에 따라 많이 다르다. 또한, 경험적 연구에서 연구자가 이용할 수 있는 정보와 자료도 흔히 불확실하고 부정확하다.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있어서 이러한 방법론적 일관성 결여와 자료의 불확실성을 다루기 위해서 민감도 분석이라는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적 근접성과 축척이라는 두 개의 공간척도에 대한 환경적 형평성의 민감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두 가지의 실험이 환경적 형평성 분석에 대한 두 개의 공간척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 통제 및 실험인자들을 사용하면서 수행되었다. 이러한 실험을 위해서 미국 조지아주 풀톤 가운티가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고,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 연구지역의 1990년 인구센서스 자료와 유독물질 배출목록(TRI) 데이터베이스가 지리정보시스템으로 통합되었다. 독립표본 t-test와 편재계수를 이용한 통계분석이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행평성을 결정하고 공간척도의 유형에 따른 인구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의 상대적 변이성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지역에서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TRI 시설들의 영향권을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 버퍼거리에 약간 민감하지만, 분석에 사용된 지리적 축척에는 민감하지 않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본 연구는 환경적 형평성에 대한 분석결과는 어떤 공간척도를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공간적인 측면에서 그리고 통계적인 측면에서 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하천주제도 데이터모델 설계에 관한 연구 (Building a Data Model of the River Thematic Maps)

  • 김한국;송용철;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5-43
    • /
    • 2003
  • 현재 정부는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온라인화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객의 접근과 이용이 가능한 전자정부의 구현을 위해 여러 분야에서 관련 사업들을 진행 중에 있다. 수자원 분야에서는 하천관련 업무의 전산화사업의 일환으로 하천지도전산화 사업을 진행 중에 있으며, 그 일부 결과로 1999년도부터 시작된 하천정보관리지리정보시스템(RIMGIS)의 구축사업이 완료되었고 각종 DB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분야의 하천주제도 구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주제도의 구축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구축방법론을 제시할 수 있는 데이터 모델이 필수적이지만 이러한 모델의 부재로 인하여 지금까지 구축된 하천관련 데이터 모델은 DB를 종합적으로 활용하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기 구축된 DB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보다 생산성 있는 하천주제도를 구축하기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하천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된 하천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은 실세계 하천의 명확한 표현을 위해 하천과 관련된 Core Feature Data와 Framework Data, 그리고 각 데이터들의 관계를 정의하였다. Core Feature Data와 Framework Data는 하천 관련 국내외 연구 및 구축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물관련 분야의 종사자를 상대로 다양한 요구분석을 통하여 제시하였다. 제시된 Core Feature Data는 데이터 모델의 최소 단위인 클래스로 정의하고, 각 클래스간의 관계는 하천정보의 통합처리를 위해서 ArcGIS Hydro Data Model을 기반으로 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하천공간정보 데이터 모델은 다양한 하천주제도의 효율적인 구축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역단위 화재 위험도 저감의 고양시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The Fire Risk Reduction at Regional Level in Goyang City)

  • 손민수;조동인;박창근;고현아;정승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685-69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국GIS건물통합정보표준데이터'의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활용하여 고양시 지역단위의 화재발생 위험도를 산출하고 화재발생 확률에 따른 산업별 경제적 피해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편의상 공간적 범위는 경기도 고양시로 제한하였고, 지역 단위별로 동일한 화재위험 감소율을 적용하였다. 먼저, 지역별 화재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건축물 공간정보 자료를 이용하여, DB 구축, 지표 설정, 공간 분석의 과정을 거쳐 표준화된 화재 발생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은행 산업 연관표 대분류 30개 산업구분과 고양시 사업체조사 20개 산업구분과 매칭하여 고양시 산업연관표를 생성하였다. 최종적으로 화재 위험에 따른 고양시의 산업별 경제적 피해 산출은 고양시 산업연관표와 화재발생 가능성을 결합하여 산출하였다. 화재로 인한 6개월 생산 불가와 영업 손실이라는 기본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공급모형을 기반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일산동구, 일산서구, 덕양구의 순으로 경제적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산업별로는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이 가장 큰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간과 산업적인 측면에서 일산서구의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손실이 전체의 약 60% 비중을 차지하였다.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Utilization Value of Greenbelts as Green Infrastructure: A Case Study of the Daejeon Metropolitan Area)

  • 최재혁;임병호;이시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67-84
    • /
    • 2022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분석 결과를 기존의 방식이 아닌 그린인프라적 관점에서 해석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제한구역을 그린인프라 네트워크에 어떻게 활용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 알아봄으로써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를 밝혀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개발제한구역에 대한 그린인프라 네트워크 구성의 적정성 측면에서, 공간구조와 주변지역과의 광역적 연결성 등을 바탕으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권 개발제한구역에서 가장 이슈가 되는 공간은 유성구에 존재하며, 이는 2000년대 초부터 시작된 주택개발을 위해 개발구역을 해제하면서 발생한 문제이다. 따라서 정확한 환경평가를 통해 개발제한구역을 추가로 해제할 것인지 아니면 녹지를 복원하여 그린인프라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인지 정책적 판단이 필요하다. 둘째, 남북으로 연결되고 있는 대도시들의 축이 전체 충청권의 녹지축뿐만 아니라 대전권 개발제한구역과 주변지자체의 개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러한 경향을 반영한 개발제한구역 조정안을 마련할 필요성 있다. 셋째, 개발제한구역의 강력한 집행으로 인해 주변 도시들의 인접부에 개발 압력이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중 북쪽으로는 세종시 남쪽으로는 논산 쪽이 주요 개발 타겟이 될 것으로 판단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넷째,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하거나 보전하는 양면적 접근보다 기존의 평가기준에 그린인프라적 가치를 추가하여 종합적인 광역계획과 연동된 방향설정이 필요할 것이다.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지구환경재해 관측과 관리 기술 현황 2 (Remote Sensing and GIS for Earth & Environmental Disasters: The Current and Future in Monitoring, Assessment, and Management 2)

  • 양민준;김재진;류종식;한경수;김진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5_3호
    • /
    • pp.811-818
    • /
    • 2022
  • 최근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으로 인해 지구환경재해 발생 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 및 인명 피해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이상기후의 출현 특성 및 규모가 과거와 다른 양상으로 더욱 복합적이고 대형화되고 있어 지구환경재해 대응 및 관리에 원격탐사와 인공지능 기술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특별호는 원격탐사 및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지구환경재해·재난 관측 및 관리 연구를 살펴보고, 부경대학교 i-SEED 지구환경교육연구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가뭄 및 홍수, 대기오염, 해양오염 등 국내에서 발생되는 재해·재난 관련 연구들의 내용 및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본 특별호에서 국내 자연재해 관측 및 관리 기술에 대한 정보 공유를 통해 사전에 재해를 예방하고 피해를 저감시킬 수 있는 기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공간의 통합적 녹지환경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Green Environment on Urban Space)

  • 이우성;정성관;박경훈;유주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의 녹지환경에 대한 통합적 평가를 통해 지속가능한 녹지계획의 방향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의 7개 행정구 중 녹지의 공간적 불균형이 가장 심화된 지역인 달서구를 선정하였다. 녹지환경 평가를 위한 세 가지 기능은 자연생태적, 환경조절적, 이용적 기능으로 설정하였다. 자연생태적 기능의 평가에서는 '녹지연결성'과 '동물이동성'을 지표로 활용하였으며, 환경조절적 기능 평가에서는 '열환경'과 '기온저감기능', 이용적 기능 평가에서는 '녹지의 서비스공급량'을 지표로 이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I등급 지역인 녹지환경 우수지역은 달서구 전체면적의 44.8%를 점하며, 대부분 남동쪽의 앞산과 비슬산, 북쪽의 궁산과 와룡산의 산림녹지를 따라 분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IV등급 지역인 녹지환경 단절지역은 감삼동과 죽전동의 주거지역, 월성1동과 진천동의 주거 및 공업지역 등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면적의 5.5%를 점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들은 향후 도시기본계획 수립 시 녹지 조성 및 배치를 위한 계획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계 모형과 시공간 환경정보를 이용한 우리나라 식생 탄소 수지 추정 (Estimation of Vegetation Carbon Budget in South Korea using Ecosystem Model and Spatio-temporal Environmental Information)

  • 유성진;이우균;손요환;이토 아키히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5-15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VISIT(Vegetation Integrated Simulator for Trace gases)이라는 생태계 모형 구동하였고, 우리나라의 생태계 탄소 수지를 추정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모델은 시뮬레이션 기간인 총 10년 동안 연평균 총일차생산량(GPP)과 순일차생산량(NPP)을 각각 $91.89Tg\;C\;year^{-1}$, $40.16Tg\;C\;year^{-1}$로 추정하였다.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식생 생태계는 연평균 $3.51Tg\;C\;year^{-1}$의 탄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를 우리나라의 인위적 탄소배출량 자료와 비교한 결과, 2007년 우리나라 식생 생태계는 탄소 흡수원으로서 인위적 탄소배출량의 3.3%를 상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정확한 탄소수지 추정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입력자료 구축과 다양한 연구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모델 변수의 보정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생태계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세계측지계 도입에 따른 공간데이터 재정비를 위한 통합모델 연구 (An Integrated Approach to the GIS Data Reengineering for the New Korea Geodetic Datum)

  • 이양원;박기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53-171
    • /
    • 2005
  • 세계측지계의 도입에 따라 광범위한 공간데이터의 재정비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통합모델로서 상호운용성과 표준화 및 공간 DB 활용에 기반한 구체적인 전략과 시범시스템을 제시한다. 세계측지계를 위한 지도데이터 변환은 파일변환과 공간DB 변환, 그리고 파일-공간DB 상호간 변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통합모델은 기존의 파일형식(예컨대, DXF와 Shapefile)은 물론 새로운 표준으로 권장되는 파일형식 (예컨대, GML과 SVG)의 세계측지계 변환이 파일형식 상호간에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지도파일들은 세계측지계 변환모듈을 거쳐 공간DB로 임포트되거나 공간DB로부터 익스포트 될 수 있다. 또한, 공간DB의 세계측지계 변환은 단일 DB 내부변환과 함께 이질적인 DB간의 변환 (예컨대, SDE/Oracle과 Oracle Spatial)을 포함한다. 이 연구의 세계측지계 변환시스템은 다중컴퓨팅 환경을 고려하여 데스크탑과 인터넷 기반에서 동시에 운영되도록 구현되었다. 시험운영과 평가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통합모델의 상호운용성과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또한 좌표변환의 결과도 기존 연구의 결과물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광릉 원두부 유역 생태수문과정의 통합을 위한 지역 생태수문 모사 시스템(RHESSys)의 모수화와 적용 (Parame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Regional Hydro-Ecologic Simulation System (RHESSys) for Integrating the Eco-hydrological Processes in the Gwangneung Headwater Catchment)

  • 김은숙;강신규;이보라;김경하;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1-131
    • /
    • 2007
  • 산림생태계의 생태과정과 수문과정의 변화는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적으로 다루어지지 못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광릉 소유역에서 관측되고 있는 식생 및 수문자료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지역규모의 생태수문 모사 시스템인 RHESSys를 이용하여 이러한 통합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1) RHESSys의 입력자료를 구축, 모형을 구동하고 (2) 다양한 생태수문과정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모형보정체계를 수립하고, (3) 민감도 분석을 통해 최적의 모수를 추정하였다. RHESSys의 유량패턴과 첨두유량에 영향을 주는 6개의 토양모수를 대상으로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수평 포화 수리 전도도와 공극률의 깊이에 따른 감쇄가 유량에 대해 가장 큰 민감도를 보였다. 이 두 모수를 변화시켜 최적의 유량패턴 적합도를 산출한 결과, 유량예측의 적합도 지수(NSec)는 0.75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유역 단위의 토양 수분 및 증발산을 모사하고 그 공간분포를 나타내는 지도 제작을 위한 기본적인 평가기준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효율적인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DEM for Flood Inundation Simulation using NGIS Digital Topographic Maps)

  • 권오준;김계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9-55
    • /
    • 2006
  • 최근 들어 국내에서는 홍수에 의한 재산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알맞은 홍수지도를 제작 중에 있으며, 주로 LiDAR를 이용하여 홍수지도 제작을 위한 지형자료를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LiDAR를 이용한 구축에 많은 시간과 높은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에 이미 전국적으로 NGIS(국가GIS구축사업)사업을 통하여 구축된 수치지형도를 이용한 홍수지도의 구축 가능성과 타당성에 대한 검증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NGIS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홍수범람모의용 지형자료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물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breakline을 처리하고, 동시에 하상주변의 실제지형을 나타내는 유일한 자료인 하천종횡단자료를 연계하여 홍수범람모의용 DEM을 제작하였다. 경기도 구리시를 대상으로 1:1,000과 1:5,000의 NGIS 수치지형도를 활용하여 breakline을 처리하고 하천종횡단자료를 수치지형도와 연계하여 보간법을 기반으로 DEM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DEM은 1:1,000지형도가 전체 대상지역에 존재하지 않아 일부 지역에 대하여 1:5,000 지형도를 활용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위치 정확도는 떨어졌으나 홍수지도의 구축에는 적합한 정확도와 데이터의 정밀도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비용경제적 측면에서 매우 높은 효율성을 제시하였다. 반면 향후 NGIS 지형도의 보다 원만한 활용을 위하여 1:1,000 지형도의 갱신이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보간법의 적용에 있어서 고려사항과 breakline 구축을 위한 기술적 고려 사항 등이 정리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