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24초

Determining Critical Service Attributes and Appropriate Improvement Actions in Indonesian HEIs

  • Sukwadi, Ronald;Yang, Ching-Chow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1권3호
    • /
    • pp.241-254
    • /
    • 2012
  •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in a fast changing environment, the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HEI) must continuously adjust the strategies to that environment. One important strategy is how to determine appropriate practical actions based on what students really need and want. Despite the abundance of research on service quality management, there is no universal consensus on how best to determine appropriate practical actions in HEI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 integrated model to be used to accurately acquire the most critical service attributes and determine appropriate actions that promote student satisfaction. Drawing on relevant literature, an integrated model is proposed which is based on students' perspective by integrating the fuzzy SERVQUAL, refined Kano, and Blue Ocean model. Subsequently, an empirical case study in the higher education sector is described that illustrates the value of the model in determining the most critical attributes and how to improve them.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통합과학'과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의 분석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Training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Integrated Science' based o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Educational Contents presente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extbook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 김남희;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039-1048
    • /
    • 2015
  • 본 연구는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에 대해 과학 분야 통합성 분석과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과 물리학, 화학, 생명과학, 지구과학 분야에서 사용하는 11종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들은 비교적 과학 분야 통합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통합과학' 교육과정에 제시된 학습 내용들은 모두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에 포함되었으며, 화학 분야의 교육 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로 소개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 내용에는 '통합과학'의 '환경과 에너지' 영역 교육 내용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했을 때, 새로운 교육과정이 제대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들을 위해 통합과학 관련 소재들과 다양한 연수과정이 개발되어 현장에 보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예비 과학 교사들을 위해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편, 임용 체제와의 연계 방안 마련 등이 요구된다.

기숙형대학(RC)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Plan for Residence College)

  • 공효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25-132
    • /
    • 2019
  • 기숙형대학(Residence College, 이하 RC)은 기존의 단순 주거 공간만으로 사용되어 왔던 기숙사와는 개념이 다른 생활과 교육의 일체공간과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대학들은 고등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고 차별화 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또 4차 산업시대형 인재양성을 위하여 RC를 도입해 왔다. 그러나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RC와 RC 교육 프로그램은 외국의 사례에서 찾아볼 수 있는 종합적이고 통합된 프로그램과는 다소 거리가 있으며 RC 교육 프로그램 개발도 미흡하며 실질적인 연구도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향후 예상되는 급속한 교육환경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RC를 도입하여 운영중인 국내대학의 RC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살펴보고 일찍이 RC를 도입해서 지금의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한 유럽의 명문 사립대학 중 케임브리지 대학과 미국의 웰슬리 대학의 RC 교육 프로그램을 비교 분석하여, 최근 우리 대학교육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반영한 RC 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운영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A Decade of Comparative Study on the Change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rofessionalism and Perceptions of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 맹희주;손연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17-728
    • /
    • 2019
  • 창의융합 인재 양성의 중요성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도 융합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며 많은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더불어 최근 10년간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 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이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 소재의 2007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0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59명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었던 2018년도의 초·중등 과학교사 360명을 대상으로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전문성(PCK)에 대하여 10년간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2018년 초·중등 과학교사들은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과학교육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교사의 전문성 향상, 교수학습 자료의 제공, 학습내용의 축소, 학생 수 감소와 시간표의 융통성 확보, 학생과 학부모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에 대한 인식도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자기진단에 의한 PCK 조사 결과, 교과 내용 지식 확보 능력, 통합과학교육과 관련된 교육과정의 이해와 수업 구성 능력, 통합적 교수 전략 능력, 통합적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환경 조성 능력, 통합과학교육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 등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PCK는 10년 전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최근 융복합 교육의 강조로 현장에서 융복합 수업의 적용 경험이 많아졌으며,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부합하고자 하는 과학교사들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실로 보여졌다.

대학 교양환경교육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novation of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 성정희;신의순;박태윤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88-99
    • /
    • 2007
  •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a direction for the general environment education through analyzing current environment education curriculums and survey of educational needs for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Since the result of this survey shows that most university students lack experi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ir secondary education, the basic educational programs as well as advanced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included to develop a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So far,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has not witnessed a clear and distinct object and direction. Since we live in a situation where environmental problems should be considered in every aspect of our society, the general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shall play a role to solve these problems. Additionally, we need to change the way of environment education from educating and raising the environment professionals to educating and raising people who comprehensively understand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unde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radigm. Also the foc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swift from natural science to over all perspectives. Recently,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for the environment education field has been discussed in universities. However, it has not been integrated into the normal curriculum. In this regard, systemic improvement which enables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to operate flexibly will be followed. The key to establish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is a flexible educational curriculum system which can solve problems arising from departmental curriculums, and promptly respond to the demand of educational and social consumers. Additionally, the result of survey shows that students want diverse educational operations and teaching methods, equipping educational assistance system for these needs will be required.

전자무역의 활용수준과 성과 분석을 위한 통합 모형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Analysis of Utilization and Performance of e-Trade with an Integrated Acceptance Model)

  • 손태규;홍사능
    • 무역상무연구
    • /
    • 제53권
    • /
    • pp.233-264
    • /
    • 2012
  • This study proposes and verifies an integrated model that reflects and helps to explain complexities and comprehensiveness of e-Trade in practice.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wide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about the phenomena of paperless trading which will enable us to formulate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the adoption and utilization of e-Trade infrastructure. This investigation combined and extended the theories and models of TAM, TOE framework, and TTF in order to identify and hypothesiz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factors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and the usage level and performance of e-Trade. The previous research on e-Trade was reviewed and incorporated into the extended model. The integrated model was tested based on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417 trading firms. Overall, th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odel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better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e-Trade. The result of the analysis implies the relevancy of the factors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for facilitating usage of and increasing performance of e-Trade. However, rejection of a few hypothesized relationships implies the necessity of extensive promotion and education about the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education, supervision and incentives for e-Trade practitioners.

  • PDF

인터넷기반 협동학습을 위한 통합브라우저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Browser to Support Internet-Based Collaborative Learning)

  • 송태옥;안성훈;김태영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3-30
    • /
    • 2000
  • 오늘날 가상학습공동체에서 이루어지는 협동학습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은 활발히 논의되고 있다. 인터넷 기반 협동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상호작용 도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네트웍 클라이언트들(News, FTP, HTTP, SMTP, 음성 문자 채팅)의 불편한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였으며, 이들을 통합환경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통합브라우저를 설계 구현하였다. 그리하여 인터넷 기반 협동학습과 면대면 협동학습 사이의 학습환경의 차이를 줄이고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fants in a mobile service environment

  • Song, M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23-229
    • /
    • 2022
  • 스마트폰의 등장은 기존의 인터넷과 함께 보다 빠르고 쉽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 스마트 알림장은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부모, 교사 그리고 원장과의 정보 교환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알림장은 부모들이 유아의 발달상황과 교육과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이에 본 논문은 원장 및 교사와 부모 간 유아의 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 교환용으로 웹 기반 플랫폼과 모바일 앱 플랫폼 기반으로 영유아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 원장, 교사 그리고 부모 등이 언제든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 보호자가 한 명의 영유아를 안전하게 돌 볼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보호자가 영유아 통합적 관리 시스템의 사용으로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서 적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향후, 스마트폰 앱 기반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에 따라 구성한다면 영유아 교육기관부터 일반 교육기관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어린이 기초건축교육 참가자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ticipants' Perception in the Built Environment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 이승재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51-5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Built Environment Education(BEE) programs for children. And also, hopefully, we would get some strategies for development of BEE program through post-evalu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by the students and the paren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four BEE programs. The key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way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was limited. We should consider public relation strategies and its sustainable curriculum. 2) The students felt easy to learn from the lecture, but we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ability in craft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chool grades. 3) Most of the participants was satisfied with the programs. For studen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Hours & Facilities)'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parents, the 'Teacher' was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satisfaction. 4) Parents were aware of the need to link the BEE program to school education such as a subject of 'Creative Activity.' The BEE as an integrated program would be a school curriculum or contents of STEAM education.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meaning of this study was discussed.

주거단지 내 커뮤니티시설에 대한 연령대별 의식 비교 연구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Community Facility According to Age Group of Residents in Apartment Building)

  • 김혜진;이연숙
    • KIEAE Journal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08
  • As the living standard of citizens are improving and the demand for the quality of life is increasing, the demand for the facilities of welfare and convenience for varied ages rises. Besides, our residential environment is faced with the need for changing into the environment of integrated function of living, which holds health, leisure, culture, education, welfare, etc. Considering the present reality requiring the augment of welfare facilities due to our aging society, community integrated facilities are needed, which can contain welfare service for home-living citizens within residential circle and can accept diverse needs of residents. Accordingly, the study began in order to suggest a better direction for community integrated facilities' plan that considers all age brackets for aging society. The study is to figure out way of thinking what community space of 3 age cluster middle-age in the 30s~40s, preparatory senior citizen in the 50s and old age brackets in the 60s~70s. As methods for attaining the aim of this study, surveys of documents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simultaneously used. The result of the study, investigating the importance of a community among the members in the residential complex, showed that all the age groups have highly perceived its importance. All the age groups responded that leisure are important to the elderly. It indicates that importance of their social relations are with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t proves that there is lack of facilities for leisure activities of residents in apartment ho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