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oluble Solu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3초

폴리히드라존계 킬레이트 고분자의 합성과 특성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elated Polymers of Polyhydrazones)

  • 김공수;이영우;이두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43-551
    • /
    • 1985
  • $p^-$, $m^-$, o-phthalaldehyde 및 5,5'-methylene-bis-salicyl aldehyde (PPTA, MPTA, OPTA, MBSA)와 5,5'-methylene-bis-salicylic dihydrazide, terephthalic dihydrazide 및 sebacic dihydrazide(MBSDH, TDH 및 SDH)등의 디히드라지드 화합물을 DMF-$CH_3COOH$ 혼합용액 중에서 축합반응으로 몇가지 새로운 폴리히드라존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폴리히드라존과 그의 금속킬레이트의 용해성, 흡수스펙트라 및 열적성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OPTA와 MBSDH의 반응으로 얻어진 폴리히드라존을 제외한 폴리히드라존과 그의 금속킬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보통 유기용매에 불응성이었다. 폴리히드라존의 중량열분석 결과 250-350$^{\circ}$C 사이에서 10%의 중량감소가 일어났고 500$^{\circ}$C고 500 폴리히드라존의 중량열분석 결과 250~350$^{\circ}$C 사이에서 10%의 중량감소가 일어났고 500$^{\circ}$C에서 32.5~63.5% 범위의 잔유중량을 나타내었다. 합성한 폴리히드라존 중에서 PPTA-MBSDH(IIa)및 MBSA-MBSDH(IIIa)가 열분해온도가 비교적 높았으며 IIa의 금속킬레이트에 있어서는 Zn(II)-IIa>Ni(II)-IIa>Co(II)-IIa>Cu(II)-IIa의 순서로 열분해온도가 저하되었다.

  • PDF

시판 소금이 깍두기 무의 경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ts on the Hardness of Cubed White Radish)

  • 박희옥;장재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38-245
    • /
    • 2009
  •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of variable salts with the hardness of cubed white radish. We analyzed the contents of domestic sun-dried salt, Chinese sun-dried salt, domestic refined salt, Australian rock salt and Australian industrial sun-dried salt in the radish samples. Our assessment of the water content of variable salts showed that domestic refined salt was highest(7.27%) and Australian rock salt was lowest(0.16%). The NaCl contents of variable salts were as follows : 93.23% in refined salt, 93.76% in Australian rock salt, 87.85% in domestic Shinan sun-dried salt and 87.98% in Chinese sun-dried salt. The content of insoluble matter in water were $0.03{\sim}0.05%$ in all salts except 0.85% in Australian industrial sun-dried salt. The pH values of salts were as follows : 8.93 in domestic sun-dried salt, 8.62 in Chinese sun-dried salt, 6.69 in refined salt, 5.83 in Australian rock salt and 6.41 in Australian industrial sun-dried salt. Regarding the mineral component content assays, domestic salt was found to harbor lower Na content but far higher Mg, K, Ca contents than other salts. In our evaluation of the hardness of cubed white radish, we detected a continuous increase in the hardness of cubed white radish soaking in a 4% salt solution of domestic Shinan natural salt, but an initial increase followed by a decrease in the hardness of cubed white radish soaking in a 4% solution of the other salts.

반고형 피브로인 단백질 겔의 제조 및 유동특성 (Preparation of Semi-solid Fibroin Gel and its Flow Property)

  • 허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63-569
    • /
    • 2009
  • 피브로인은 누에고치가 생산되는 불용성 단백질이다. 고온의 염화칼슘용액에서 가용화시킨 후 탈염하여 물에 녹게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수용액은 불안정하여 피브로인 분자는 랜덤코일에서 $\beta$병풍구조의 비율이 증가하는 구조로 전이되고 겔을 형성한다. 그러나 피브로인 겔은 약하고 탄성이 없어 소재로 응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리세롤과 에탄올을 사용하여 반고형의 피브로인 겔을 제조하고 이들의 유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80%의 글리세롤로 만들어진 피브로인 겔은 의가소성 및 thixotropic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항복응력의 제곱근 값이 피브로인의 농도와 선형적으로 비례하였으며 항복응력이 없어지는 피브로인의 농도는 0.2%로 확인되었다. 40% 에탄올에서 만들어진 피브로인 겔은 매우 심한 thixotropic 특성을 보였으며 전단속도가 어떤 값 이상이 되면 급격한 전단연화 현상을 나타내었다. 이 피브로인 겔은 전단이력 후 의가소성을 회복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초월수의 역사와 미해결 문제 (History of Transcendental numbers and Open Problems)

  • 박춘성;안수엽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7-73
    • /
    • 2010
  • 초월수의 연구는 2000년 이상 수학자들을 괴롭혀 왔던 고대 그리스의 기하학 문제의 하나인 원적문제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수학사의 중요한 분야임을 입증하였다. Liouville은 1844년에 처음으로 구체적인 초월수의 예를 제시하였고, 칸토어는 1874년에 초월수의 존재성을 증명하였다. Louville 정리는 많은 초월수를 만들어 낼 뿐 아니라 초월수의 존재성을 증명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1873년에 Hermite가 자연로그의 밑수 e가 초월수임을 보이고, 1882년에 Lindemann이 원주율 $\pi$가 초월수임 증명하였다. 1934년에 Gelfond와 Schneider는 각각 힐버트의 7번째 문제에 대한 서로 다른 완전한 해를 찾았다. 1966년에 Baker는 Gelfond-Schneider 정리의 일반화된 결과를 증명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월수의 개념과 발달과정을 살피고, 미해결 문제를 제시하여 초월수의 연구가 촉진되도록 후학들에게 연구 동기를 부여하고자 한다.

Oligo(oxy ethylene) pendant를 갖는 PBO 전구체의 합성 및 특성 (Synthesis and Properties of Polybenzoxazole Precursors having Oligo(oxy ethylene) pendant)

  • 이응재;윤두수;방문수;최재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550-2558
    • /
    • 2013
  • 주사슬에 oligo(oxy ethylene) 팬던트를 갖는 poly(o-hydroxyamides)(PHAs) 공중합체를 저온에서 용액 중축합 반응에 의해서 합성하였다. 이들 공중합 전구체들의 특성은 1H-NMR, FT-IR, DSC, TGA, UTM 그리고 LOI 등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35^{\circ}C$의 DMAc 또는 DMAc/LiCl 용액하에서 측정된 PHAs의 고유점성도는 0.74~1.42 dL/g의 범위를 보였다. 전구체들의 용해도는 oligo(oxy ethylene) 단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으나, polybenzexazoles(PBOs)는 다양한 용매에도 거의 용해되지 않았다. 공중합 전구체들의 분해온도는 질소분위기하에서 $408{\sim}664^{\circ}C$의 범위를 보였고, $900^{\circ}C$에서 char 수득률은 13~59%의 값을 보였다. 공중합 전구체들의 기계적 성질과 난연특성은 oligo(oxy ethylene) 단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단백 분해 효소를 이용한 참깨박 단백질의 용출 (Extraction of protein from defatted sesame meal using the enzyme from Bacillus sp. CW-1121)

  • 최청;천성숙;조영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2호
    • /
    • pp.121-126
    • /
    • 1993
  • 참깨박에 함유되어 있는 불용성 형태의 단백질을 가용성 형태의 단백질로 용출시키기 위하여 Bacillus sp. CW-1121이 생성하는 효소를 작용시켰다. 이때 참깨박의 단백질 용출을 위한 최적 pH는 7.5였으며, 최적 온도는 $40^{\circ}C$였고 최적 조건하에서 2시간의 소화로 약 60%의 용해도를 보였다. 단백질의 용해도는 참깨 단백질이 pH4.5에서 가장 낮아 등전점을 보였고, pH3.0과 pH6.0 이상에서는 크게 증가하였다. 효소처리 참깨박 단백질을 전기영동한 결과 수용성 단백질은 4개, 염용성 단백질은 2개의 밴드가 관찰되었다. 분리 단백의 아미노산 조성은 수용성 단백질의 경우 serine이 17.24 mg/g, 염용성 단백질은 glutamic acid가 10.77 mg/g,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가 6.55 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특히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도 상당히 좋은 편이었다.

  • PDF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Polybenzoxazole Copolymers Bearing Pendants and Imide Ring in the Main Chain

  • Lee, Seul Bi;Lee, Eung Jae;Choi, Jae Kon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1권3호
    • /
    • pp.195-205
    • /
    • 2016
  • A series of aromatic poly(hydroxyamide)s (PHAs) containing varying oligo(oxyethylene) substituents and 1,3-phenylene imide ring unit in the main chain were synthesized by the direct polycondensation reaction. The inherent viscosities of the PHAs exhibited in the range of 0.89~1.12 dL/g in DMAc or DMAc/LiCl solution. The PH-2~5 copolymers were easily soluble in strong aprotic solvents: DMAc, NMP, DMSO etc. and the PH-5 copolymer was soluble in less polar solvents such as m-creasol and pyridine with LiCl salt on heating. However, all PBOs were quite insoluble in other solvents, but only partially soluble in sulfuric acid. All copolymers (PH-2~5) could afford the flexible and tough films by solution casting. We identified that the PHAs were converted to the PBOs by the thermal cyclization reaction in the range of $200{\sim}380^{\circ}C$. The 10% weight loss temperatures and char yields of the PBOs were recorded in the range of $382{\sim}647^{\circ}C$ and 38.7~73.1% values at $900^{\circ}C$. The tensile strength and initial modulus of the PH-5 in the copolmers showed the highest values of 2.46 GPa and 49.55 MPa, respectively. The LOI values of the PHAs were in the range 26.6~29.0%,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1,3-phenylene imide ring unit.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 연질캅셀제의 설계 및 제제학적 평가 (Design and Pharmaceutical Evaluation of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Elastic Capsules)

  • 전인구;곽혜선;문지현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4권4호
    • /
    • pp.419-427
    • /
    • 1996
  • To solubilize practically insoluble biphenyl dimethyl dicarboxylate (DDB), which has been used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hepatitis as tablets or hard capsules, the solubilities of DDB in various hydrophilic, oily and hydrocarbon vehicles, and aqueous surfactant solution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It was found that, among the vehicles studied, polyethylene glycol (PEG) 300 revealed the best solvency, and the solubility reached 17.6 mg/ml at 37$^{\circ}C$. The addition of glycyrrhizic acid ammonium salt (GAA) to DDB-PEG 300 solution (5-20 mg/g) inhibited the formation of precipitates, and at the concentration of 10 mg/g, any precipitaction was not observed even after 2 years at 4$^{\circ}C$. Furthermore, GAA markedly enhanced the permeation of DDB through the rabbit duodenal mucosa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The addition of copolyvidone (ca. 1.0%) to DDB-GAA-PEG 300 system (1 : 0.5 97.5 w/w) was most effective in preventing the considerable precipitation of DDB-PEG 300 solution (7.5 mg/750 mg) when mixed with water of 300-900 ml at 37$^{\circ}C$. GAA showed a synergistic effect in the prevention of precipitate format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is DDB formulation may form less precipitation when DDB soft capsules disintegrate and diffuse into the gastrointestinal fluid, resulting in improving the bioavailability Dissolution rate of DDB (7.5 mg) from sort elastic capsules of DDB-GAA-PEG 300 system was rapid. The supersaturation state was maintained for 2 hr at the concentration of 7.35$\pm$3.3 mg in 900 ml of water without precipitation. The total amount of DDB dissolved from this new formulation was 5.3 and 6.1 times higher, when compared to marketed DDB tablets (25 mg) and capsules (7.5 mg), respectively.

  • PDF

지방족고리 구조를 함유하는 감광성 폴리이미드 수지의 합성 및 특성 평가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sensitive Polyimides Containing Alicyclic Structure)

  • 심종천;최성묵;심현보;권수한;이미혜
    • 폴리머
    • /
    • 제28권6호
    • /
    • pp.494-501
    • /
    • 2004
  • 시클로부탄-1,2,3,4-테트라카복실산 이무수물,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3,5-디아미노벤조에이트 및 1,3-비스(3-아미노프로필)-1,1,3,3-테트라메틸디실록산을 N-메틸-2-피롤리돈 하에서 용액 중합 반응시켜 알칼리 수용액에서 현상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 우수한 광투과성을 보이는 신규 감광성 폴리이미드 전구체인 폴리암산 (PAA-0)을 제조하였다. 광개시제의 존재 하에서 노광 후 열경화된 폴리이미드 박막은 2.38 wt%의 테트라메틸암모니움 히드록사이드 수용액에 용해되지 않는 특성을 보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광에 의한 미세 화상 형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폴리이미드 전구체 박막의 광반응에 적합한 광개시제는 2, 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임을 알 수 있었고, 최적 광량은 400∼600 mJ/$\textrm{cm}^2$의 범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감광성 폴리이미드 전구체는 25$0^{\circ}C$의 온도에서 50분간 열경화시킴으로써 투명한 폴리이미드 박막으로 전환이 되었으며, 유기용제를 비롯한 포토레지스트 제거제에 대한 우수한 내용제성 및 가시광선영역에서의 우수한 광투과 특성을 나타내었다.

Co-Electrodeposition of Bilirubin Oxidase with Redox Polymer through Ligand Substitution for Use as an Oxygen Reduction Cathode

  • Shin, Hyo-Sul;Kang, Cha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1권11호
    • /
    • pp.3118-3122
    • /
    • 2010
  • The water soluble redox polymer, poly(N-vinylimidazole) complexed with Os(4,4'-dichloro-2,2'-bipyridine)$_2Cl]^+$ (PVI-[Os(dCl-bpy)$_2Cl]^+$), was electrodeposited on the surface of a glassy carbon electrode by applying cycles of alternating square wave potentials between 0.2 V (2 s) and 0.7 V (2 s) to the electrode in a solution containing the redox polymer. The coordinating anionic ligand, $Cl^-$ of the osmium complex, became labile in the reduced state of the complex and was substituted by the imidazole of the PVI chain. The ligand substitution reactions resulted in crosslinking between the PVI chains, which made the redox polymer water insoluble and caused it to be deposited on the electrode surface. The deposited film was still electrically conducting and the continuous electrodeposition of the redox polymer was possible. When cycles of square wave potentials were applied to the electrode in a solution of bilirubin oxidase and the redox polymer, the enzyme was co-electrodeposited with the redox polymer, because the enzymes could be bound to the metal complexes through the ligand exchange reactions. The electrode with the film of the PVI-[Os(dCl-bpy)$_2Cl]^+$ redox polymer and the co-electrodeposited bilirubin oxidase was employed for the reduction of $O_2$ and a large increase of the currents was observed due to the electrocatalytic $O_2$ reduction with a half wave potential at 0.42 V vs. Ag/AgC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