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ve

검색결과 4,883건 처리시간 0.03초

중국 제조업 수출기업의 국제 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흡수 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ation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f Chinese manufacturing export Company on export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absorption capacity)

  • 진우이;유승훈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3호
    • /
    • pp.91-117
    • /
    • 2021
  • 본 연구의 주 목적은 중국 제조업 중소기업의 국제기업가 지향성이 수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고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제조업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총 183개의 기업 데이터를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수출 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국제기업가 지향성은 흡수역량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흡수역량은 수출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넷째, 환경 역동성과 네트워크 역량이 강할수록 국제기업가지향성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며, 마지막으로 국제화기간이 길수록 흡수역량과 수출성과의 관계는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중국 중소기업은 혁신적이고 진취적이고 위험을 감수할수록 수출성과가 더욱 향상되고, 유사한 경쟁기업의 경영방식을 흡수하는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중소기업 경영자는 국제기업가지향성을 통한 수출성과를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 시켜야 하고, 역동적인 환경에서 이러한 관계는 더욱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서 기업 경영자의 흡수 역량이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기간이 지날수록 영향력이 약화됨을 보여주고 있다.

디지털 역사문화 관계성 복원 프로세스 사례연구 - 라뜰리에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Demonstrating the Process of Digital Rest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Culture Focused on "Latelier")

  • 김근수;고정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56-164
    • /
    • 2021
  • 현재 디지털 복원은 관계성을 심도 있게 고려하지 않은 표면화된 복원이라는 한계점에 머물러 있다. 인물 복원은 특정 위인의 형상을 복원하는 단발적인 이벤트로만 활용되며, 건물복원 역시 복원된 문화재를 콘텐츠로 활용하기보다는 문화재 자체를 디지털 모델링으로 구성하는 데 그치고 있다. 현재의 복원 방식만으로는 건축물이나 인물이 담고 있는 스토리까지 복원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간과 인물, 사건을 포괄하는 '역사 문화공간'을 디지털 복원하여 관계성에 초점을 맞춰 재현하는 방법과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디지털 복원 방식을 도출하기 위해 고흐를 주제로 한 실내테마파크인 '라뜰리에'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복원을 위해서는 인물의 관계도를 바탕으로 하는 주변인물과 사물과의 관계성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고흐의 관계성을 토대로 디지털 복원을 위해 준비 단계, 디지털 아카이브 단계, DB 고도화 단계, 실증 단계 등 4단계의 프로세스를 정형화하였다. 관계성을 통한 인물의 스토리 복원은 진정한 역사 복원으로서 과거와 현대의 융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지털 복원의 혁신적인 발전을 이룰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시멘트 산업 탄소중립을 위한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재활용 기술 동향 (Recycling Technology Trend of Waste Concrete Powder for Carbon Neutrality in the Cement Industry)

  • 신상철;김진만;김건우;강인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465-474
    • /
    • 2022
  •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는 주로 고품질 순환골재 생산에 포커스를 맞춰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순환골재 국가표준을 제정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하지만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경우, 그 활용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 많이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용화로 이어지는 획기적인 기술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실정이다. 최근 해외 주요 선진국에서는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클링커나 시멘트의 원료로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콘크리트 산업의 탄소중립을 위한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고부가가치 재활용 기술 및 상용화 동향에 대한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폐콘크리트 미분말의 고부가가치 리싸이클을 위해서는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의 완벽한 성분 분리가 필수적이며, 해외 주요국에서는 연구 개발 단계를 넘어 클링커의 원료 또는 시멘트의 혼합재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상용화 및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탄소중립의 관점에서 폐콘크리트의 재활용을 위한 연구 개발 및 표준화에 대한 논의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대급 작전지역에서 소형 감시정찰 드론의 수량 변화에 따른 전투 효율 연구 (Study on Combat Efficiency According to Change in Quantity of Small Reconnaissance Drones in the Infantry Company Responsibility Area)

  • 김경수;배용찬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31권4호
    • /
    • pp.23-31
    • /
    • 2022
  • 4차 산업혁명을 통한 혁신 기술의 발전은 국방 분야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는 추세이다. 특히, 드론을 활용한 감시 및 정찰 능력은 미래 군 병력 감축을 대비하고 경계 능력을 비약적으로 보강하는 등 군 전투력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형 감시정찰 드론의 전투 효율을 단순화하여 드론이 중대급 군사작전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한다. 드론과 적은 작전지역을 탐지확률 등을 수치화한 2차원 공간 내에서 가장 효율적인 최단 경로를 찾아 움직인다. 탐지 가능성이 가장 낮은 경로를 따라 침투하는 적의 탐지확률을 기준으로 드론이 추가 투입될 때마다 발생하는 탐지확률 변화를 제시하고 드론 추가 투입에 따른 전투 효율을 분석한다. 중대급 작전지역 같은 소규모 작전지역에서는 드론이 추가 투입될수록 전투 효율의 상승 값이 적어짐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증명한다. 본 연구는 중대급 야전부대에서 한정된 수량의 드론을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기여하고, 전투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한 드론 전력화 소요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것으로 기대한다.

Pedagogical Conditions for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Qualified Workers with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 Slipchyshyn, Lidiia;Honcharuk, Oksana;Anikina, Inessa;Yakymenko, Polina;Breslavska, Hanna;Yakymenko, Svitlana;Opria, Iho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79-88
    • /
    • 2022
  • Modern production requires production staff who have design competence, experience and skills to work in various types of work integrated into professional activities. Possession of digital design methods significantly expands th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activities of qualified worker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study the impact of pedagogical conditions on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of future qualified workers in a group work. We have identified a set of pedagogical conditions that promote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ly oriented artistic and technical creativity of workers in the conditions of curricular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include motivational-target, procedural-semantic, organizational-technological, and subject-oriented. It is shown that the formation of design competence is determined by motivational, informational-active and reflection criteria, which are aimed at motivational-value, cognitive, operational-active, creative, social and emotional components of this competence. The methodology of the research is highlighted, which includes the use of the following methods: determination of the personality's motivational sphere in order to identify strong and weak motives of students activity; multiple intelligence to identify students talents in the direction of practical intelligence, which is important for design competence; determining the level of creative activity to identify manifestations of students creative abilities; identifying the type of students innovative thinking in order to develop motivation for success; factor-criterion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a qualimetric approach, which is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design competence formation in accordance with its compon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reation of separate pedagogical conditions in the institution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VET)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design competence, which shows the potential of artistic and technic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professional creativity of future qualified workers taking into account the environmental approach.

한의 표준임상진료지침 및 한의 표준임상경로에 대한 한의사의 인식 (Korean Medicine Doctor's Perception in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Korean Medicine Cliniical Pathways)

  • 김동수;안해인;권수현;안은지;김남권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55-67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is aimed to survey Korean Medicine Doctors's perceptions in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Standard Korean Medicine Clinical Pathways for its spread(to increase utilization in clinical sites). Methods : The research population was set at 14,831 Korean medical institutions registered with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for sampling representative of Korean Medicine Doctors, and the final 2,007 subject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search period and budget. This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 telephone survey, and in some cases, a fax or e-mail survey was also conducted together. Six questions were asked about the perception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Standard Korean Medicine Clinical Pathways', and three questions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 Results : The rate of recognizing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was 36.1%. Those who worked at Korean medicine hospitals, were under 39 years of age, and had less than 11-20 years of experience as an Korean medical doctor were more likely to be aware of it. Regarding the experience of using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he rate of 'not used in the past and not used now' was very high at 82.9%, but the intention to use it in the future was high at 60.7%. About the Korean Medicine Clinical Pathways, 79.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id not know. 80.6% of respon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clinical manuals such as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Standard Korean Medicine Clinical Pathways. Conclusion : Their low awareness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seems to affect its low utilization. Therefore, active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are required in the future.

대학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 및 군집분석 (Spatial Pattern and Cluster Analysis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Competency of Korean Universities)

  • 허선영;장후은;이종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9-71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 대학들의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고, 산학협력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대학 설립유형별로는 거점국립대학의 산학협력 역량이 전반적으로 우세하며, 특히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서 사립대학이나 일반 국립대학보다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 역량의 공간적 패턴은 시·도별 차이가 비교적 명확히 나타났다. 부문별 산학협력 역량에서, 인재양성 부문과 인프라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크지 않으나, 기술이전·사업화 부문과 창업 부문에 있어서는 지역 간 격차가 비교적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학협력 패턴의 유사성과 공간적 근접성 측면에서 연계성이 높은 공간 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 군집으로 나누어졌으며, 산학협력 전 부문이 강하게 나타나는 군집에서 거점국립대학이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학협력의 효과성 제고를 통해 지역혁신성장을 달성하기 위한 정책 방안으로 거점국립대학이 허브(hub) 역할을 하고 인근의 지역대학들이 스포크(spoke) 역할을 하는 허브 & 스포크(hub & spoke) 네트워크형 협업 체계의 구축을 제안한다.

AttrakDiff를 활용한 터치디스플레이와 VR장비의 교육용 웹툰 사용성 비교 (Usability Comparison of Educational Webtoon between Touch Display and VR Device Using AttrakDiff)

  • 김영진;유훈식
    • 감성과학
    • /
    • 제25권1호
    • /
    • pp.103-114
    • /
    • 2022
  • 최근 전 세계적으로 VR·AR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로 국내외 기업들이 VR·AR 관련 기술 및 콘텐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VR·AR 기술에 전통적인 교육 방식이 결합된 산업인 에듀테크 분야에 있어서는 새로운 혁신적 교육 모형 및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으로 에듀테크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술과 사업 환경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에 널리 활용되어 온 터치 패널 기반 디스플레이툰 콘텐츠와 VR툰 콘텐츠의 사용자 경험을 비교 분석해 VR툰 개발에 필요한 사용성 요소들을 선정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연구 수행을 위해 태블릿 PC툰 및 VR툰을 분석 도구로 선정했으며, 10대부터 40대까지의 30명(남자 19명, 여자 11명)의 실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기기를 사용하게 한 후 설문을 진행했다. 설문은 AttrakDiff 평가 방법을 통한 정량적 방법과 9가지 항목(만족도, 신규성, 조작성, 창의성, 이해성, 교육성, 흥미성, 참여성, 표현력)에 따른 정성적 평가방법으로 구성되었으며, 결과를 토대로 두 기기의 사용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VR툰은 실용성은 떨어지나 자극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기인 반면 태블릿 PC툰은 자극성은 떨어지나 실용성은 상대적으로 높은 기기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전반적으로 태블릿 PC툰에 비해 VR툰에 대한 만족도가 컸다.

박물관 문화상품을 위한 플랫폼의 상호경험디자인에 대한연구 -선양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Interactive Experience Design of Museum Cultural Product Customization Platform -Focusing on Shenyang Palace Museum)

  • 임시뢰;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85-200
    • /
    • 2022
  •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혁신적 개발은 박물관이 소장품을 이용하여 문화의 전파 기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사람들의 소비 수준이 늘어나고 업그레이드화됨에 따라 전통적인 문화 콘텐츠 디자인과 판매 방식은 날로 늘어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맞춤형 체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여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개발을 촉진하고 박물관 문화의 전승과 보호를 도모하려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선행연구를 정리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플랫폼 모델과 특징을 분석하고 설문지 159부를 배포하여 문화 콘텐츠 소비자들의 욕구를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사용자 요구에 따른 맞춤형 체험과 현존하는 인터넷 소매 플랫폼과 결합하여 이론적 틀을 만들었으며 선양 고궁박물관을 중심으로 실험을 설계하고 가용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결과를 보면 문화 콘텐츠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의 수요도가 비교적 높았다. 맞품형 플랫폼을 이용한 디자인은 박물관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확대를 촉진하며 사용자의 경험을 최적화하여 박물관의 콘텐츠 개발과 디자인, 소매 등에 새로운 생각을 부여한다. 따라서 본고는 박물관의 문화 콘텐츠 개발은 맞춤형 플랫폼에 따라 소비자들의 특성에 맞춰 소비자들의 서비스 경험을 더욱 향상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58개 환경영향평가서 사례에 대한 정량적 분석 - (Analysi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n Inland Windfarms)

  • 정은해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1호
    • /
    • pp.47-62
    • /
    • 2022
  • 풍력발전은 비용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과 혁신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서 58건의 분석을 통해 1) 국내 육상풍력의 주요 특징이 어떠한가? 2)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개별 육상풍력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변수를 추출하여 이러한 환경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변수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육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는 육상풍력발전의 입지를 고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증거에 기반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8개 사업은 사업지역의 고도 및 자연성의 정도를 바탕으로 1) 산악형, 2) 목장형, 3) 해안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풍력발전사업에 대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를 성공적으로 계산하였다. 가장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큰 사업은 목장형으로 분류된 33번 사업이 1.04였고, 가장 낮은 사업은 산악형으로 분류된 55번 사업으로 -1.44였다. 둘째, 분석결과는 목장형이 환경지속가능성 지수가 평균 0.4551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가장 높고, 해안형이 평균 0.3712으로 중간이었으며, 산악형이 평균 -0.345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육상풍력발전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다 계량적으로 증명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개발과 관련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