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resistanc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6초

혁신저항모형에 기반한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용자의 지속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inuous Intention of MyData Service Users Based on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 성행남;홍태호;이태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101-11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금융 분야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인식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이해와 혁신저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목적으로 둔다. 또한 사용자 특성에 대한 인식과 지속적인 사용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고 혁신에 대한 사용자의 저항을 해결하는데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문설문기관을 통해 상대적 이점, 인지된 위험, 복잡성, 신뢰성, 인지된 용이성, 신뢰성 등 혁신저항 요인의 상대적인 영향을 조사였으며, 요인간의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살펴본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특히 혁신저항 요인들 중 인지된 용이성, 상대적 이점, 인지된 위험, 복잡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인지된 용이성의 강화, 상대적 이점 감소, 위험과 복잡성에 대한 인식 관리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혁신저항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매개효과 분석 (The Influenc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on Innovation Resistance among Instructors in Sport Centers: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 서효민;손지효;장경로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2호
    • /
    • pp.253-267
    • /
    • 2015
  • 본 연구는 스포츠센터 지도자들이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혁신저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과 동시에 이들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 수집을 위해 서울·경기지역에 종사하는 스포츠지도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74부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은 심리적 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행동적 저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공정성은 심리적 저항과 행동적 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신뢰는 심리적 저항과 행동적 저항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신뢰는 분배공정성과 심리적 저항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분배공정성과 행동적 저항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절차공정성과 심리적 저항, 절차공정성과 행동적 저항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워크 도입 요인과 사용자 혁신저항 및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조직통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 Work Adoption Factors, User Innovation Resistance, and Turnover Intention: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ontrol)

  • 곽영;신민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23-43
    • /
    • 2021
  • 최근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으로 많은 조직이 빠르게 스마트워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의 도입은 단순히 ICT 시스템 또는 솔루션 도입이 아닌 기술적 진보에 맞춰 일하는 방식이나 직무 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한다. 그러나 스마트워크 관련 기존 연구들은 기술수용관점에서 스마트워크 도입으로 생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기업의 ICT 시스템이 도입되었을 때 구성원들이 느끼는 혁신저항의 문제와 조직의 관리 통제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도입에 대한 혁신요인과 혁신저항에서 구성원들에 대한 조직통제 방법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고 혁신저항의 관점에서 조직의 혁신이 들어왔을 때 구성원들이 저항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이직의도로 확장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개념적 모델과 가설을 제안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스마트워크 도입 관련 ICT 기술의 기업 내부 도입에 대하여 상대적 이점,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혁신저항의 수준이 낮아지고, 이용복잡성이 높을수록 혁신저항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용자들의 행동통제를 하였을 때 혁신저항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스마트워크 도입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여 신규 도입을 위한 경영개선에 기여하는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확장현실 기기의 혁신저항과 수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Adoption Regarding a EXtended Reality Devices)

  • 진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918-94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확장현실(XR)의 개념을 정의하고 산업별로 어떻게 응용되고 있으며 향후 어떻게 발전할지 살펴보고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과 혁신저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수용·저항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해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각 잠재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첫째, 개인 혁신성이 XR 기기에 대한 UTAUT2의 수용변수(성과기대, 노력기대, 쾌락적 동기, 가격 효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수용변수들은 XR에 대한 태도와 수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XR의 기술변화속도가 기능적, 경제적 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소비자들이 인지하는 지각된 위험은 기술변화속도와 혁신저항을 매개하고 혁신저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XR 기기에 대한 혁신저항은 수용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XR의 수용·저항에 관한 연구를 기반으로 개인 혁신성과 UTAUT2의 주요 변수들과 지각된 위험요인들이 기술변화속도와 혁신저항을 매개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장적·통합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XR과 같은 혁신기술이 시장확산단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서비스에 대한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가치만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모바일결제서비스의 시스템품질 특성이 이용자 저항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 Service on Discontinuance Intention)

  • 최상민;송광석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625-640
    • /
    • 2018
  • Purpose: The scale of a market of mobile payment which was insignificant is explosively being improved by development of various communications technology and achieving rapid diffusion of smart phone. According to this phenomenon, new method of financial dealings through a mobile can be seen as a new paradigm that leads to a change of existing payment work and also recognized as an innova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Methods: but a study regarding whether the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 takes an important role as an influencial factor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odel of innovation resistance by Ram(1987) and established a hypothesis and a model to confirm how four factors (usability, security, economic feasibility, responsiveness) influence to innovation resistance and the intention of discontinuous use. Results: usability, security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of innovation resistance to use mobile payment system, but economic feasibility, responsiveness were not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 variables. Conclusion: Providing gav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in that it presents the variables to consider new forms of mobile payment services, the mobile payment services will need to show a differentiated strategy and traditional marketing strategy.

가상현실 환경에서의 다차원적 혁신저항 구조와 혁신 제품 사용의 결정요소 (A Multi-dimensional Structure for User Resistance with the Determinants of Innovative Product Use on Virtual Reality)

  • 박현정;신경식;최재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7-119
    • /
    • 2016
  • 가상현실 상황에서 모션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경험의 현실감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모션인식 인터페이스로 활용되는 제품인 '립모션'에 대한 잠재고객들의 혁신저항 및 수용 메커니즘을 지각된 위험 이론을 기반으로 연구하였다. 기존 혁신저항 및 제품 수용에 관련된 연구들은 지각된 위험의 결과 또는 지각된 가치가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단면적으로 다루어 왔다. 본 연구는 수용과 저항의 다차원적 관점을 기반으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지각된 위험 및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들을 제시하고 지각된 위험과 가치가 혁신저항에 미치는 복합적인 역학관계를 다루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수용 관점 모형에 포함되었던 선행요인들이 지각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고, 지각된 가치가 높으면 혁신저항이 감소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모바일 카드 결제서비스 수용 의도의 결정 요인 (Predicting intention to adopt mobile card payment service)

  • 김효정;이진명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8권4호
    • /
    • pp.497-515
    • /
    • 2020
  • The use of mobile payment services has recently increased in South Korea. Mobile payments allow consumers to purchase items digitally, using a mobile card in an app affiliated with a payment service. This study explores the predictors of intention to adopt mobile payment services. The study employed an A(affective)-B(behavioral)-C(cognitive) model with two antecedent variables: cognitive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isk,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herding behavior) and affective (satisfaction with the status quo, innovation resistance) responses. An online survey of 405 non-users of mobile payment services aged 20 to 49 years was conducted. The study used SPSS 23.0 for descriptive analysis and Amos 23.0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herding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innovation resistance. Second, perceived herding behavior significantly influenced subjective norms. Third, innovation resistance and subjective norm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intention to adopt mobile payment servi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B-C model can be useful in understanding consumers' adoption and resistance behaviors and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s are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affecting the decision to adopt mobile payment services.

Effects of Omnichannel on Pleasure, Resistance, and Repurchase Intention

  • JUNG, Eun-A;KIM, Jung-Hee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95-10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f omnichannel characteristics on pleasure, resistance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omnichannel situation in order to provide the innovative commercial busines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study examined relations between research concepts centered on previous studies, set hypotheses, developed a research model, and verified the model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 total of 2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showing insincere or outliers. Results: First, Omnichannel showed multi-dimensional characteristics consisting of consistency, innovation, economy, and integration. Second, innovation and economic feas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leasure. Third, only economic feasibility had a negative effect on user resistance. Fourth, consumers' shopping pleasure had a negative effect on user resistance. Fifth, re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was positively affected by innovation. Conclusions: This research contributed to extend academic framework of distribution research by examining causal relationship through adoption of economic and innovation factors as new characteristics from the integrated perspective beyond the research frame of the existing omnichannel distribution environment. Companies should provide meaningful experiences by resolving concerns about side effects caused by human-computer interaction and providing smart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products most suitable for consumer needs.

이용자의 혁신저항이 모바일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nnovation Resistance of Users on Intention to Use Mobile Health Applications)

  • 김동훈;이용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20
    • /
    • 2020
  • 본 연구는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많은 양의 건강 앱이 생산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이용 수준이 낮은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이용자가 지닌 혁신저항(사용 장벽 정도, 가치 장벽 정도, 위험 장벽 정도, 전통 장벽 정도, 이미지 장벽 정도)이 건강 앱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378개의 유효한 응답을 얻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이미지장벽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 앱에 대한 혁신저항 정도가 높아지며, 혁신저항 정도가 높을수록 지속적 이용의도 정도와 추천의지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사용장벽 정도, 가치장벽 정도 그리고 전통장벽 정도는 혁신저항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건강 앱의 이용행태를 혁신저항이론으로 설명함으로써 신기술의 수용 및 지속적 사용에 대한 학문적 논의를 심화시켰다. 연구 결과는 건강 앱의 수용 및 지속적 이용을 위해서는 사용장벽, 가치장벽 그리고 전통장벽보다는 이미지장벽을 낮추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는 실질적 함의를 제공한다.

Factors Influencing Post-Adoption Resistance to Self-Order Kiosks at Fast-Food Restaurants: A Focus on the New-Silver Generation

  • Hwaran Lee;Eunkyung Kang;Kyung Young Lee;Minwoo Lee;Sung-Byung Yang
    • Journal of Smart Tourism
    • /
    • 제3권2호
    • /
    • pp.23-36
    • /
    • 2023
  • Due to the phenomenon of aging, a new consumer segment known as the "new-silver generation" is emerging. Unlike the previous silver generation, this generation possesses significant economic power and consuming willingness, attracting attention from consumer goods companies. However, both the new-silver generation and the elderly face challenges in adopting contactless or self-service technologies such as self-order kiosks, resulting in negative reactio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ttitude and response of the newsilver generation towards kiosks,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resistance to such technology. By applying theoretical perspectives from the innovation resistance model, technostress theory, and the value-based model, this study identifies influencing factors for innovation resistance among the new-silver generation when using contactless technologies implemented in fast-food restauran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lower awareness of new technologies and services corresponds to decreased adoption resistance, while a higher perceived value leads to more positive behaviors and attitudes among the new-silver generation utilizing kiosks at fast-food restaur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