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novation Effect

검색결과 2,310건 처리시간 0.049초

개방형 혁신이 산업에 미치는 효과: 슘페터 경쟁 하의 전략적 제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on Industry: Strategic Alliances under Schumpeterian Competition)

  • 윤지영;민진영;한세희;이희석
    • 지식경영연구
    • /
    • 제11권4호
    • /
    • pp.1-19
    • /
    • 2010
  •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ecosystem in a business environment, the value of open innovation is receiving great attention. Under open innovation, companies open their knowledge, capital, and other resources to cooperating companies; on the other hand, under closed innovation companies depend solely on their own resources. In this paper, we compare closed and open innovation using the simulation method, and confirm that in terms of total capital and production of the industry, open innovation provides greater opportunities to the entire ecosystem. Moreover, Schumpeterian competition, which is a dynamic of closed innovation, functions even under open innovation. Our findings highlight that not only small but also large companies can receive the benefit of an enlarged industry under open innovation.

  • PDF

벤처중소기업의 조직여유와 개방형 경영혁신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연구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between Organizational Slack and Managerial Practices for Open Innovation in Venture SMEs)

  • 배호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5호
    • /
    • pp.73-81
    • /
    • 2015
  • 본 연구는 벤처중소기업의 조직여유와 개방형 경영혁신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실증분석 연구이다. 즉 기업규모, 기업연령, 환경 불확실성을 통제한 뒤, 다음의 두 가지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 번째 가설은 벤처중소기업의 조직여유(흡수된 여유, 흡수되지 않은 여유)가 개방형 경영혁신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 여부이다. 두 번째 가설은 벤처중소기업의 조직여유(흡수된 여유, 흡수되지 않은 여유)와 개방형 경영혁신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자본이 긍정적인 조절역할을 수행하는 지 여부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유효한 250개의 기업수준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또한 실증분석은 SPSS 18.0을 통해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 두 가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벤처중소기업의 조직여유 유형 중 현금, 유가증권 등과 같은 흡수되지 않은 여유는 개방형 경영혁신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초과인력, 초과설비 등과 같은 흡수된 여유는 개방형 경영혁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흡수되지 않은 여유가 흡수된 여유에 비해 유연하고 활동적이어서 개방형 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벤처중소기업에서의 사회적 자본은 유연하게 활용 가능한 흡수되지 않은 여유와 개방형 경영혁신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반면, 이미 조직에 흡수되어 버린 흡수된 여유와 개방형 경영혁신 간의 관계는 조절하지 못함이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자본과 개방형 혁신 간의 관계를 연구한 기존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에 더욱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기업의 개방형 혁신이 혁신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외부 지식 탐색활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Open Innovation on Innovation Productivity: Focusing on External Knowledge Search)

  • 이종선;박지훈;배종태
    • 지식경영연구
    • /
    • 제17권1호
    • /
    • pp.49-72
    • /
    • 2016
  • Extant research on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is limited in measuring the innovation productivity, in which they measured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by using either inputs or outputs of innovation. The present study complemented the extant research by employ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approach to measure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d the effects of firms' external knowledge search, as one of open innovation practices, on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for open innovation activities are regarded as an influencing factor on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in the previous literatures. Using the data of the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of manufacturing industries conducted in 2008, this study developed hypotheses in which we considered not only two dimensions of external knowledge search (breadth and depth) but also two subtypes of external knowledge search (market-driven and science-driven). The results found that searching deeply and market-driven search are positively related to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but science-driven search is somewhat negatively related to firm innovation productivity. Furthermore, market-driven search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f science-driven search on innovation productivity.

  • PDF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다중매개효과: 스마트워크 환경의 조절된 매개효과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Sharing Behavior and Innovation Behavior on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the Job Satisfaction: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martwork Enviroment)

  • 윤병선;김미연;김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31-245
    • /
    • 2022
  • 인간은 살아가면서 대부분 직장생활을 하게 되고 직장생활을 통하여 삶을 이어간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노동시장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지식공유행동, 혁신행동, 스마트워크 환경 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남녀 집단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설문에 응답한 직장인 453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SPSS 26.0과 Amos 26.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효과, 다중집단 분석과 스마트워크 환경 조절효과는 Process macro model 7번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잡크래프팅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둘째, 잡크래프팅은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지식공유행동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혁신행동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넷째, 지식공유행동과 혁신행동의 매개변수에 대하여 지식공유행동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지만 혁신행동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다섯째, 스마크워크환경의 조절효과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섯째,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큰 영향을 주었다.

한국 제조업에서 혁신활동과 재무적 성과 간의 인과경로: 혁신성과 및 운영성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ausal Links from Innovative Activities to Financial Performance in Korean Manufacturing Firms: Mediating Effects of Innovative and Operational Performance)

  • 김건식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46-173
    • /
    • 2014
  • 기술혁신을 포함한 기업의 혁신이 기업과 산업의 성장 및 경쟁우위에 기여한다는 연구는 많으나, 주로 연구개발 집약도 또는 특허로 측정되는 기술적 혁신의 성과 검증에 집중되어왔다. 또한 혁신의 단계 또는 프로세스에 관한 기존 모형들은 대부분 기술 혁신을 대상으로 아이디어 창출-기술개발-혁신성과 도출의 과정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모형들은 지식의 창출과정을 설명하는 모형이거나 기술적인 혁신에 국한된 지식의 변환구조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혁신 모형을 확장하여 혁신 활동부터 기업의 운영성과와 재무적 성과까지를 포괄하는 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경로들이 실제로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인과적인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혁신활동이 늘어나면 신제품 출시, 공정혁신, 특허출원과 같은 혁신의 성과가 늘어나고, 혁신성과는 기업의 운영성과를 높이며, 운영성과는 매출성장률을 향상시키는 경로가 검증되었다. 둘째, 종속변수가 혁신성과, 기업운영성과, 재무적 성과의 방향으로 혁신의 직접적인 성과로부터 거리가 멀어질수록 혁신활동의 영향력이 점차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셋째, 혁신성과가 매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는 소기업이 중기업보다 높으며, 중기업의 경우 혁신성과는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영업이익률에 미치는 효과가 존재함을 검증하였다. 그러나 대기업의 경우 혁신성과가 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직접 및 간접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혁신의 전유성은 혁신성과, 특허출원건수, 기업운영성과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하였다.

혁신전략과 기업특성 간의 적합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fit between Innovation Strategy and Company Characteristics on Innovation Performance)

  • 신성욱;최원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3호
    • /
    • pp.131-145
    • /
    • 2018
  • 치열한 경영환경에서 경쟁우위를 점하기 위해 기업은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해야 하고, 혁신전략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외부 시스템을 전략수행에 맞게 설계하여 운영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혁신전략 수준과 기업특성간의 적합성이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혁신전략 추진을 뒷받침해 줄 기업특성을 사회적 네트워크, 관리통제시스템, 혁신문화로 구분한 후 혁신전략 수준과 이들 기업특성 변수들간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동남권 소재 중소벤처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135부의 기업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실증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전략과 사회적 네트워크 수준간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혁신성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전략과 혁신적 관리통제시스템 수준 사이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혁신성과가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혁신전략과 혁신문화 수준사이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혁신성과가 더욱 높은 겻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결과는 기업이 추진하는 혁신전략에 맞게 기업의 내외부 시스템을 설계하여 운영하는 기업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혁신성과가 더욱 높다는 것으로 추진하는 전략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기업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인적자본은 언제 기업의 혁신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국제화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When Does Human Capital Facilitate th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tional Experience)

  • 권순환;권종욱;신만수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1권3호
    • /
    • pp.47-61
    • /
    • 2020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pecific, general human capital and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Also, we examine when this relationship is more salient.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collected 1,195 survey data related to a sample of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and human capital from 1) Korea Research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2) NICE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we use the ordered logit model. Findings - First, we find robust supports for our hypothesis that firm-specific and general human capital increase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Second, the effect of general human capital on corporate innovation performance is stronger when this relationship is combined with the firm international experienc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By integrating the human capital theory and corporate innovation literature, we propose that firm-specific and general human capital are the important determinant of innovation performance. The firm-specific human capital may increase innovation efficiencies. Also, retaining higher-quality general human capital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innovation strategy since firms with higher-quality general human capital make greater innovation performance. Further, we show that the firm international experience is the crucial boundary condition. As a firm's experience in internationalization increases, firms can enhance the opportunities to develop new products by combining the skills and knowledge derived from general human capital with the experience gained through internationalization.

중소기업의 개방형혁신과 수출성과 경로분석 (A Path Analysis: Toward an Open Innovation and Export Performance in SMEs)

  • 조연성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07-125
    • /
    • 2018
  • 본 연구는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개방형혁신과 제휴 유형이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 따라 개방형혁신은 기술흡수형혁신과 기술활용형혁신으로 나누었다. 제휴 유형은 마케팅과 기술 제휴로 나누었다. 수출성과를 포함하여 5개 잠재변인 간에 6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수출활동을 전개하는 중소기업 202개를 표본으로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기술흡수형혁신은 마케팅 제휴와 기술 제휴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기술활용형혁신은 기술 제휴에만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 제휴 유형은 수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한국 중소기업의 수출활동에 개방형 혁신과 유통경로 확보 등에 필요한 마케팅 제휴의 관계를 활성화해야 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했다.

  • PDF

IT산업의 기술혁신 영향 요인에 대한 모형 연구 (A Model Study on the Effec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Factors in IT Industry)

  • 박태훈;박경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5호
    • /
    • pp.177-183
    • /
    • 2012
  • IT 산업 기업간의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는 경쟁 환경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한 기술혁신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필수요소가 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혁신은 기업의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며 다양한 요인들이 기술혁신의 성공을 거두기 위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IT산업을 기반으로 기술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영향 요인에 관련된 다른 연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새로운 연구모형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Government Support Mechanisms and Open Innovation: An Empirical Look at Korean Manufacturing Firms

  • Chung, Jiyoo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135-155
    • /
    • 2022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 broad palette of government support measures and firms' membership in government-developed clusters are related to firms' openness in innovation process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Empirically, this study analyzes the Korea Innovation Survey 2018 data on the innovation activities of 1,450 Korean R&D-active manufacturing firms in a three-year period from 2015 through 2017. Findings - The results suggest that firms engage in open innovation to a greater extent--as measured by the breadth of external collaborating partners and of the utilized external sources of knowledge--when they are provided with a broader palette of government support measures and are located in government-developed clusters. However, the effect of diverse government support measures is attenuated for firms located in these cluster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innovation literature by illuminating how firms' open innovation can be understood in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Moreover, it provides valuable implications for firms seeking to obtain government support and collaborate with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