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nkjet printing

Search Result 27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olerance Improvement of Metal Pattern Line using Inkjet Printing Technology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제작된 금속 배선의 선폭 및 오차 개선)

  • Kim, Yong-Sik;Seo, Shang-Hoon;Kim, Tae-Gu;Park, Sung-Jun;Joung, Jae-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6.06a
    • /
    • pp.105-105
    • /
    • 2006
  • IT 산업 및 반도체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초소형, 고집적화 시스템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 고해상도 및 고정밀의 패턴 구현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각종 산업제품의 PCB(Printed Circuit Board) 및 디스플레이 장치인 PDP(Plasma Display Panel),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에 적용되어 널리 응용되고 있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인쇄 회로 기판은 마스킹 후 선택적 에칭 방식을 적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설계가 변경될 경우 마스크를 다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설계 변경이 용이하지 않고 더욱 길어진 생산시간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성 및 집적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이 여러 가지 측면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Inkjet Printing 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nkjet Printing 방식을 적용하여 금속 배선을 형성하고 선폭과 두께의 오차를 줄여 배선의 Tolerance 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Inkjet Printing 방식을 이용한 기존의 금속 배선 형성은 고해상도의 DPI(Dot Per Inch)에서 잉크 액적이 뭉치는 Bulge 현상이 발생되어 원하는 형상 및 배선의 폭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Bulge 현상은 배선의 불균일성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근접한 배선의 간섭에도 영향을 미처 금속 배선의 기능을 할 수 없는 단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Bulge 현상을 줄이고 배선간의 간섭을 방지하여 원하는 배선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순차적 인쇄 방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노즐직경 35um 의 Inkjet Head 와 나노 Ag 입자 잉크를 사용하여 Glass 표면 위에 배선을 형성하고 배선의 폭과 두께를 측정하였다. 또한 순차적 인쇄 방식을 적용하여 700DPI 이상의 고해상도에서 나타날 수 있는 Bulge 현상이 감소하였음을 관찰하였으며 금속 배선의 Tolerance를 10%내외로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Fabric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inkjet printing technology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제작)

  • Kim, Myong-Ki;Shin, Kwon-Yong;Hwang, Jun-Young;Kang, Kyung-Sae;Kang, Heui-Seok;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448-1449
    • /
    • 2008
  • Inkjet printing is commonly used in depositing the solution of functional materials on the specific locations of a substrate, and also it can provide easy and fast patterning of polymer films over a large area. Inkjet printing is applicable to fabricat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since conducting materials used as emissive electroluminescent layers can be manufactured into inks for ink jetting. By using the inkjet technology, we have succeeded in patterning a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sulfonate) (PEDOT/PSS) layer and a poly[2-Methoxy-5-(2-ethylhexyloxy)-1,4-phenylenevinylene] (MEH-PPV) layer on the Indume tin oxide (ITO) patterned substrates, and fabric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PDF

EHD 원리를 이용한 정전기장 유도 잉크젯 프린터 헤드의 마이크로 Drop-on-Demand 제팅 성능 연구

  • Choe, Jae-Yong;Kim, Yong-Jae;Son, Sang-Uk;An, Gi-Cheol;Lee, Seok-Han;Go, Han-Seo;Nguyen, Vu Dat;Byeong, Do-Yeong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8.11a
    • /
    • pp.1947-1950
    • /
    • 2008
  • Printing technology is a very useful method in the several process of industrial fabrication due to noncontact and fast pattern generation. To make micro pattern, we investigate the electrostatic induced inkjet printer head for micro droplet generation and drop-on-demand jetting. In order to achieve the drop-on-demand micro droplet ejection by the electrostatic induced inkjet printer head, the pulsed DC voltage is supplied. In order to find optimal pulse conditions, we tested jetting performance for various bias and pulse voltages for drop-on-demand ejection. In this result, we have successful drop-on-demand operation and micro patterning. Therefore, our novel electrostatic induced inkjet head printing system will be applied industrial area comparing conventional printing technology.

  • PDF

Polyimide Surface Modifying using Near-Atmospheric Pressure Plasma for Inkjet Printing (준 대기압 플라즈마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용 폴리이미드 표면 개질)

  • Mun, Mu-Gyeom;Yeom,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4.11a
    • /
    • pp.16-16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polymer 기판 위에 direct inkjet patterning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판 표면의 chemical bonding과 morphology를 in-line system 적용이 가능한 near atmospheric pressure plasma (N-APP)를 이용 하여 기판을 modifying 시켰다. modified substrate 위에 inkjet printing을 이용하여 metal interconnection을 하였다. 그 결과 기존 기판에서의 line width 보다 얇은 선폭을 획득 하였고 adhesion이 향상 되었다.

  • PDF

Liquid crystal alignment on the inkjet printed polyimide by using new alignment method

  • Hwang, J.Y.;Wonderly, H.;Chien, L.C.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506-508
    • /
    • 2007
  • We studied the nematic liquid crystal (NLC) alignment capability with a new alignment method utilizing an inkjet printed polyimide (PI) layer. A good, uniform LC alignment was achieved by the good PI printing using a new alignment method. The pretilt angle generated on the printed PI layer using the alignment method was almost the same as that on printed PI layer using rubbing alignment method. In addition, the good electro-optical performances of the new aligned twisted nematic (TN) cell with printed PI surface was obtained

  • PDF

Inkjet Technology and Products for Flexible Display Manufacturing

  • Schoeppler, Mart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10a
    • /
    • pp.179-181
    • /
    • 2008
  • Major display equipment suppliers introduced equipment using inkjets for manufacturing steps such as printing polyimide alignment layers and color filters. This paper discusses how inkjets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flexible displays and materials printing systems designed to meet the challenges of fluids and process develop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