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gested foreign bodie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1초

위장관으로 흡인된 치과기구의 처치 (Management of Gastrointestinal Foreign Body Ingested during Dental Procedure)

  • 방난심;이강희;김영진;정복영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45-49
    • /
    • 2013
  • Foreign body indigestion during dental procedures is uncommon but sometimes associated with severe and life threatening morbidity. The dentist should decide whether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 is necessary and how urgently it has to be done. The active removal of foreign bodies depends on the size, shape, type and duration of impaction, along with the loca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this report, we presented how to manage gastric foreign body related swallowing during dental procedure and investigated the predictive risk factors, precaution, and prompt management in foreign body ingestion.

Successful removal of a foreign body by endoscopic balloon dilatation at the colonic stricture

  • Im, Chang Jo;Na, Ji Hoon;Kim, Hyun Sik;Ha, Sung Sam;Lim, Yoo Li;Lee, Ji Hyeon;Choi, Hee Kyoung;Kim, Hee Man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29-32
    • /
    • 2016
  • Most ingested foreign bodies pass readily throughout intestinal tract if they reach the stomach. In some cases, foreign bodies may be impacted behind a luminal constriction but are rare in colon.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59-year-old man who did laparoscopic anterior resection due to sigmoid colon cancer 2 years ago and ischemic colitis was repeated on the anastomosis site. He initially presented with symptoms of abdominal pain 3 months before and melena 1 day before admission. Abdomen computerized tomography showed a 3.2 cm segment of luminal narrowing of the proximal colon involving upstream foreign material stasis. Sigmoidoscopic approaches revealed near complete obstruction on the anal verge of 20 cm and scope passing failed. Balloon dilatations were done on the obstruction site four times all and a foreign body impacted above the obstruction site was removed by an alligator without any complications. The foreign body removed looks like plastic or a shell, about 20 mm in size.

식도강외로 이동한 경부이물 1예 (Extraluminal Migration of Foreign Body into the Neck)

  • 김대희;이병주;우창기;윤영호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55권5호
    • /
    • pp.301-303
    • /
    • 2012
  • Reports of ingested foreign bodies migrating to the neck are rare. We encountered a case of fish bone that migrated out of the upper digestive tract to the thyroid gland. This foreign body was identified by computed tomography and ultrasonography about two weeks after onset, and successfully removed via neck exploration and the patient recovered well.

소아의 위장관 이물질에 대한 임상적 고찰 (Foreign Body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Children)

  • 이보형;이현경;김미정;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75-84
    • /
    • 2001
  • 1997년 1월부터 2001년 4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소아과에 이물질을 삼켜 내원한 15세 이하의 환아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발생빈도, 발생시간, 이물질의 크기와 종류 및 위장관내의 위치, 임상증상, 이물질에 의한 위내시경 소견, 이물질의 제거 혹은 자연 배출되기까지의 기간, 치료 방법 등을 조사 분석하였다. 성별 분포는 총 37례 중 남아가 25예(67.5%) 여아가 12예(32.5%)였으며, 남녀비는 2.1:1이였다. 연령별 분포는 1세 이상 2세 미만이 7예(19%)로 가장 많았다. 이물질을 삼킨 시간별 분포는 오후 3시와 4시경이 11예로 가장 많았으며 대부분이 오후에 발생하였다. 이물질의 종류로는 동전이 20예(54%), 손목에 끼는 팔찌자석, 바둑알, 탄력붕대를 고정하는 클립, 열쇠고리, 빨래집게에 부착된 C형의 클립이 각각 1예였다. 위장관내 이물질의 위치는 위장이 16예(43.2%)로 가장 많았으며 상부식도가 12예(32.5%), 소장이 5예(13.5%), 하부식도가 4예(10.8%)였다. 병원에 도착 당시의 임상증상은 무증상이 22예(59.4%)로 가장 많았으며, 구토가 7예(19.0%), 상복부 통증이 3예(8.1%), 오심과 연하곤란이 각각 2예(5.4%), 복통이 1예(2.7%)였다. 치료방법으로 이물질을 삼킨 총 37예 중 20예(54.0%)에서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되었으며, 3예(8.1%)에서는 이물질의 자연 배출이 확인되었고, 수술적 제거를 시행한 경우는 없었다. 이물질을 삼킨 후 제거될 때까지의 시간은 12예(52.2%)가 12시간 이내에 제거되었으며, 4예(17.4%)가 24시간 이내에 제거되었고, 가장 긴 기간은 7일이었다. 내시경으로 이물질이 제거된 환아에서의 내시경 소견은 15예에서는 정상 소견이었으며, 5예에서 이물질에 의한 이상소견이 있었다. 상부 위장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내시경을 시행한 경우 안전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었으며 내시경을 시행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없었다. 따라서 소아에서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제거에는 위내시경이 안전한 방법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자석 이물에 의한 위-십이지장 누공 1예 (A Case of Gastroduodenal Fistula Caused by Ingested Magnetic Foreign Bodies)

  • 이원희;민영돈;문경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1권1호
    • /
    • pp.84-88
    • /
    • 2008
  • 여러 개의 자석을 삼킨 경우 자석들이 서로 잡아당겨 압력 괴사로 인한 장폐쇄, 장천공, 누공 형성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영 유아나 정신과적인 문제가 있는 큰 아이의 경우 자석이나 자석이 포함된 장난감과 같은 물건들을 멀리하고, 자석을 삼킨 경우에는 즉시 확인해 보아야 한다. 저자들은 1년 전부터 주기성 구토를 호소했던 중등도 정신지체를 가진 12세 남아에서 삼킨 장난감 자석 4개로 인해 위-십이지장 누공을 형성하였고 수술 후 호전된 1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치과치료시 발생한 이물질 삼킴에 대한 치험례 (FOREIGN BODY INGESTION DURING DENTAL TREATMENT IN PEDIATRIC PATIENT)

  • 김선하;최성철;박재홍;김광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32
    • /
    • 2011
  • 상부위장관 이물질의 섭취는 대부분 위장관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되지만, 20% 정도에서는 내시경 또는 수술적 제거의 적응증이 된다. 특히 치과치료중 소아가 삼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기구 중 bur 등은 예리하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생리적 협착 부위에서 걸려 자연배출이 힘들 수 있다. 또한시간이 지날수록 식도벽에 고착되고 궤양 등의 합병증을 일으켜 내시경으로 제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소아가 삼켰을 경우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겠다.

Foreign body aspiration and ingestion in dental clinic: a seven-year retrospective study

  • Huh, Jisun;Lee, Namkwon;Kim, Ki-Yeol;Jung, Seoyeon;Cha, Jungyul;Kim, Kee-Deog;Park, Wonse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3호
    • /
    • pp.187-195
    • /
    • 2022
  • Background: This retrospective study investigated the incidence rate of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ingestion according to patient sex, age, and dental department. This study aimed to verify whether the incidence rate is higher in geriatric than in younger patients and whether it is different among dental departments. Methods: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ingestion cases were collected from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the safety report system of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7. The collected data included patients' age, sex, medical conditions, treatment procedures, and foreign objects that were accidentally aspirated or ingested. The incidence rate was calculated as the number of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s and ingestions relative to the total number of patient visits.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patients' sex, age, and dental department were statistically identified. Results: There were 2 aspiration and 37 ingestion cases during the 7-year analysis period. The male to female incidence ratio was 2.8:1. The incidence rate increased with age and increased rapidly among those aged 80 years or older. Seven of the 37 patients with accidental foreign body ingestion had intellectual disability, Lou Gehrig's disease, dystonia, or oral and maxillofacial cancer. The incidence rate was highest in the Predoctoral Student Clinic and the Department of Prosthodontics. The most frequently swallowed objects were fixed dental prostheses and dental implant components. Conclusion: The incidence rate of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ingestion differed according to patient sex, age, and dental department. Dental practitioners must identify high-risk patients and apply various methods to prevent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 and ingestion in dental clinics. Inexperienced practitioners should be particularly careful.

교정 고정원 스크류의 위장관으로 섭취시 예후에 대한 실험적 평가 (INGESTION OF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 EXPERIMENTAL STUDY IN DOGS)

  • 이경욱;최병호;김연환;김한성;고창용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3권2호
    • /
    • pp.121-123
    • /
    • 2007
  • Foreign bodies with a sharp edge which are accidentally swallowed are likely to become lodged in the stomach. An animal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outcome of orthodontic anchorage screw ingestion. The radiographic findings of ten Mongolian dogs that ingested a total of 10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d 10 reamers (both a screw and a reamer per dog) were evaluated. The study showed that all orthodontic anchorage screws and reamers reaching the stomach spontaneously passed, with the exception of two reamers. Further investigation of clinical cases might be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results of our animal study are in accordance with clinical findings.

Foreign Body Removal in Children Using Foley Catheter or Magnet Tube from Gastrointestinal Tract

  • Choe, Jae Young;Choe, Byung-H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2권2호
    • /
    • pp.132-141
    • /
    • 2019
  • Foreign body (FB) ingestion of children is a common pediatric emergency requiring medical attention. Pediatric emergency physicians and gastroenterologists often encounter nervous and distressed situations, because of children presenting with this condition in the common clinical practice. When determining the appropriate timing and indications for intervention, physicians should consider multiple patient- and FB-related factors. The utilization of a flexible endoscopy is considered safe and effective to use in these cases, with a high success rate, for the effective extraction of FBs from the gastrointestinal tract of a child. Additionally, a Foley catheter and a magnet-attached Levin tube have been used for decades in the case of FB removal. Although their use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times, these instruments continue to be used for several indications. Using a Foley catheter for this purpose does not require special training and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sedation of the patient or fluoroscopy, which serve as advantages of utilizing this method for foreign object retrieval. An ingested magnet or iron-containing FB can be retrieved using a magnet-attached tube, and can be effective to retrieve an object from any section of the upper gastrointestinal tract that can be reached. Simple and inexpensive devices such as Foley catheters and magnetattached tubes can be used in emergencies such as with the esophageal impaction of disk batteries if endoscopy cannot be performed immediately (e.g., in rural areas and/or in patients presenting at midnight in a facility, especially in those without access to endoscopes or emergency services, or in any situation that warrants urgent removal of a foreign object).

1990년대와 2000년대의 원주시 소아에서 발생한 급성약물중독과 이물질섭취 환아의 비교분석 (Clinical analysis of acute drug intoxication and foreign body ingestion in Wonju: comparison between the 1990s and the 2000s)

  • 엄주필;서진석;김황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2호
    • /
    • pp.138-142
    • /
    • 2007
  • 목 적: 본 연구는 1990년대와 2000년대의 급성 약물 중독과 이물질 섭취로 내원한 환자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 법: 1991년 1월 1일부터 1994년 12월 31일까지와 2001년 1월 1일부터 2004년 12월 31일까지 원주기독병원 소아과에 급성 약물 중독으로 입원한 환아와 이물질 섭취로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기초로 하여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10년간의 시간의 차이에 따라 약물과 이물질의 종류, 연령별 빈도, 성별 빈도, 재원일수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급성 약물 중독은 1990년대에는 43례, 2000년대 35례였고, 이물질 섭취 환아는 1990년대 47례, 2000년대 22례 였다. 이물질 섭취의 종류로는 1990년대의 경우, 동전(46.8%), 기타(31.9%), 바둑알(14.9%), 플라스틱 장난감(6.4%) 순이었으며, 2000년대의 경우, 기타(58.2%), 수은건전지(23.8%), 못(9%), 핀(9%) 순이었다. 중독 유발 약물의 종류로는 1990년대의 경우, 의약품(37.2%), 기타(23.2%), 농약(13.9%), 일산화탄소(11.6%), 살서제(9.3%), 살충제(9.3%) 순이였고, 2000년대의 경우, 기타(34.3%), 의약품(31.4%), 농약(20%), 세척제(11.4%), 살충제(2.9%), 일산화탄소(2.9%) 순이었다. 연령별 분포는 이물질 섭취의 경우, 1990년대에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연령대는 1-3세로 46.8%였고, 2000년대 역시 1-3세에서 40.9%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약물 중독의 경우, 1990년대에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연령대는 1-3세로 55.8%였으며, 2000년대 역시 1-3세(54.3%)이었다. 사망이나 심각한 후유장애를 남긴 경우는 이물질 섭취의 경우, 1990년대 콩의 섭취중 기관지로의 흡입에 의한 사망 1례, 2000년대 옥수수알 흡입에 의한 사망 1례가 있었고, 약물중독의 경우, 1990년대 농약(paraquat계)중독에 의한 사망 1례와 일산화탄소 중독에 의한 저산소성뇌증과 편측사지마비를 보인 경우가 1례 있었고, 2000년대 농약(paraquat계)중독에 의한 사망 1례 있었다. 결 론: 급성약물중독과 이물질섭취 모두 1-3세가 대부분을 차지하여 이 연령대의 소아에게 특히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섭취된 약물과 이물질의 종류도 시간이 지나면서 다양해지고 있어 이에 대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