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raspinatus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1초

전방 견관절 불안정성에서 Hill-sachs 병변의 관절경적 Remplissage (Using the Arthroscopic Remplissage of Anterior Shoulder Instability with Hill-Sachs Lesion)

  • 고상훈;정광환;신승명;박한창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53-58
    • /
    • 2011
  • 목적: 저자들은 Remplissage를 이용한 Hill-Sachs 병변 복원술을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들의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2월부터 2009년 11월까지 본원에서 'Remplissage'술기를 시행하였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연령은 27.9세였으며 모두 남성이었고, 평균 추시 기간은 19개월이었다. 술 전, 후 평가는 견관절의 운동 범위, ASES 점수, KSSI 점수, ROWE 점수, 술 후 자기공명영상 촬영을 포함하였다. 결과: 술 후 평균 16개월에 견관절 기능적 평가에서 ASES 점수는 술 전 평균 50.8점에서 술 후 평균 78.3점으로, KSSI 점수는 술 전 평균 44.5점에서 술 후 평균 81.0점으로, ROWE 점수는 술 전 평균 40.2점에서 술 후 평균 84.3점으로 향상되었고, 모든 환자에서 견관절 운동범위는 전방 거상 평균 178.6${\pm}$18.6 (165~180)도, 외회전은 평균 49.3${\pm}$10 (43~60)도로 나타났다. 결론: 광범위한 Hill-Sachs 병변이 동반된 재발성 견관절 불안정성에 대한 Remplissage 술기를 시행 후 1년 이상 추시 결과 견관절의 안정성 및 임상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흉부 Phantom을 이용한 Low Dose CT의 관전압과 ASIR(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적용에 따른 영상평가 및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age evaluation and exposure dose with the application of Tube Voltage and ASIR of Low dose CT Using Chest Phantom)

  • 황혜성;김누리;정윤지;구은회;김기정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14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has attempt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image evaluation and exposure dose by respectively applying Filtered Back Projection(FBP), the existing test method, and Adaptive Statistical Iterative Reconstruction(ASIR) with different values of tube voltage during the Low Dose Computed Tomography(LDCT). Materials and Methods: With the image reconstruction method as basis, Chest Phantom was utilized with the FBP and ASIR set at 10%, 20% respectively, and the change of Tube Voltage (100kVp, 120kVp). For image evaluation, Back ground noise, Signal to Noise ratio(SNR) and Contrast to Noise ratio(CNR) were measured, and, for dose evaluation, CTDIvol and DLP were measured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tested with SPSS(ver. 22.0), followed by ANOVA Test conducted after normality test and homogeneity test. (p<0.05). Results: In terms of image evaluation, there was no outstanding difference in Ascending Aorta(AA) SNR and Infraspinatus Muscle(IM) SNR with the different values of ASIR application(p<0.05), but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different amount of tube voltage(p>0.05). Also, there wasn't noticeable change in CNR with ASIR and different amount of Tube Voltage (p<0.05). However, in terms of dose evaluation, CTDIvol and DLP showed contrasting results(p<0.05). In terms of CTDIvol, the measured values with the same tube voltage of 120kVp were 2.6mGy with No-ASIR and 2.17mGy with 20%-ASIR respectively, decreased by 0.43mGy, and the values with 100kVp were 1.61mGy with No-ASIR and 1.34mGy with 20%-ASIR, decreased by 0.27mGy. In terms of DLP, the measured values with 120kVp were $103.21mGy{\cdot}cm$ with No-ASIR and $85.94mGy{\cdot}cm$ with 20%-ASIR, decreased by $17.27mGy{\cdot}cm$(about 16.7%), and the values with 100kVp were $63.84mGy{\cdot}cm$ with No-ASIR and $53.25mGy{\cdot}cm$ with 20%-ASIR, a decrease by $10.62mGy{\cdot}cm$(about 16.7%). Conclusion: At lower tube voltage, the rate of dos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negative effects on image evaluation was shown due to the increase of noise. For the future, through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it is considered that the method above would be recommended for follow-up patients or those who get health checkup as long as there is no interference on the process of diagnosi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Low Dose examination.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비교해부학적연구(比較解剖學的硏究) 1. 전지근(前肢筋)에 관하여 (Comparative Anatomy of the Korean Native Goat 1. Muscles of the thoracic limb)

  • 윤석봉;문희철;김창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50
    • /
    • 1974
  • 한국재내산양(韓國在來山羊) 11마리의 전지근(前肢筋)을 절개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재내산양(韓國在來山羊)의 전지(前肢)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筋)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승모근(僧帽筋) M. trapezus, 릉형근(菱形筋) M. rhomboideus, 완두근(腕頭筋) M. brachiocephalicus, 쇄골하근(鎖骨下筋) M. subclavius, 견갑횡구근(肩甲橫究筋) M. omotransv-ersarius, 란배근(瀾背筋) M. latissimus dorsi, 천흉근(淺胸筋) M. pectoralis guperficialis, 탐흉근(探胸筋) M. pectorlis profundus, 복거근(腹鋸筋) M. serratus ventralis, 삼각근(三角筋) M. deltoideus, 극하근(棘下筋) M. infraspinatus, 극상근(棘上筋) M. supraspinatus, 견갑하근(肩甲下筋) M. subscapularis, 대원근(大圓筋) M. teres major, 소원근(小圓筋) M. theres minor, 전완근막장근(前腕筋膜張筋) M. tensor fascia antebrachii, 삼두완근(三頭腕筋) M. triceps brachii, 주근 M. anconeus, 이두완근(二頭腕筋) M. biceps brachii, 상완근(上腕筋) M. brachialis, 조훼완근(鳥喙腕筋) M. coracobrachialis, 요완신근(橈腕伸筋) M. extensor carpi radialis, 고유제삼지신근(固有第三指伸筋) M. extensor digiti tertii proprius, 총지신근(總指伸筋) M. extensor digitorum cemmunis 고유제사지신근(固有第四指伸筋) M. extensor digiti quartii proprius, 척완신근(尺腕伸筋) M. extensor carpi ulnaris, 장모지외전근(長母指外轉筋) M. abductor pollicis longus, 척완굴근(尺腕屈筋) M. flexor carpi ulnaris, 요완굴근(橈腕屈筋) M. flexor carpi radialis, 원회내근(圓回內筋) M. pronator teres, 천지굴근(淺指屈筋) M. flexor digitorum suprficialis, 탐지굴근(探指屈筋)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골간근(骨間筋) M. interosseus medius. 2. 천흉근(淺胸筋)과 심흉근(深胸筋)은 각각 전부(前部)와 후부(後部)로 명확히 분리(分離)되어있으며 특히 심흉근(深胸筋)의 전부(前部)와 후부(後部)는 서로 떨어져서 기시(起始)를 하고있어 그 사이에는 흉골(胸骨)이 노출되어 있었다. 3. 쇄골하근(鎖骨下筋)은 전예(全例)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4. 조탁흉근(鳥啄胸筋)은 소나 양에 비하여 매우 발달하였으며 특히 3예(例)에서는 더욱 발달하여 3개의 부분(部分)으로 되어있어 상완골 내측면 거의 전체를 덮고 있었다. 5. 주근, 소원근(小圓筋) 등 소동물(小動物)에서는 작은 근(筋)들이 매우 발달하였으나 장모지외전근(長母指外轉筋)은 엷고 작았다. 6. 반추류(反芻類)에서 가끔 볼 수 있는 M. extensor pollicis는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목 디스크 환자에게 그라스톤을 이용한 기계적 자극 시 동일 척수 분절의 통증 유발점 압통 역치 및 근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chanical Stimulation using Graston on Changing Trigger Point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one of the Same Spinal Segment in Neck Disk Patient)

  • 김도형;이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98-20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목 디스크 환자에게 기계적 자극을 적용하여 피부 감각의 변화를 유도하고 동일한 척수분절의 통증 역치와 근 긴장도 전-후 변화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목 디스크 질환을 가지고 있는 남성 10명,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대상자를 총 30명 선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기계적 자극 그룹은 Graston 장비를 이용하여 5분간 피부 감각 변화를 유도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조치를 받지 않았다. 피부 감각 변화는 Von Frey filament를 통해 검사를 진행하였고, 압통 역치의 변화는 압통 역치 측정기를 통해 측정하였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Myotone pro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계적 자극 적용 시 피부 감각의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동일한 척수 분절의 신경 지배를 받는 오른쪽 가시아래근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오른쪽 등세모근의 압통 역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하지만 다른 근육들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대조군에서는 피부 감각,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기계적 자극에 의해 유도된 피부 감각 변화는 동일 척수 분절의 압통 역치와 근 긴장도의 변화시켰다. 따라서 동일 척수 분절에 대한 기계적 자극의 적용을 통해 목 디스크 환자의 압통 역치, 근 긴장도의 증가와 통증 조절을 위한 새로운 재활 방법으로 임상적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Meat quality, post-mortem proteolytic enzymes, and myosin heavy chain isoforms of different Thai native cattle muscles

  • Chaosap, Chanporn;Sivapirunthep, Panneepa;Sitthigripong, Ronachai;Tavitchasri, Piyada;Maduae, Sabaiporn;Kusee, Tipyaporn;Setakul, Jutarat;Adeyemi, Kazeem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9호
    • /
    • pp.1514-1524
    • /
    • 2021
  •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endogenous proteolytic enzymes, collagen content, and myosin heavy chain (MyHC) isoforms of different muscles of Thai native cattle (TNC). Methods: Infraspinatus (IF), Longissimus thoracis (LT), and Supraspinatus (SS) muscles were obtained from two TNC breeds, Kho-Lan (KL, n = 7) and Kho-Isaan (KI, n = 7). The muscle and meat characteristics of TNC breed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yHC expression were examined. Results: Three MyHC isoforms namely MyHC I, MyHC IIa, and MyHC IIx were detected in the muscles. The KL had higher (p<0.05) MyHC IIx than the KI. The IF muscle had higher (p<0.05) MyHC I compared to other muscles. The LT muscle had the least MyHC I. The LT had higher (p<0.05) MyHC IIx than the IF and SS muscles. The IF presented the least MyHC IIx. The KL had higher (p<0.05) lightness and moisture content and lower crude protein, redness, cooking loss, shear force, and calpastatin than the KI. The glycogen, total collagen, soluble collagen, crude protein, ash contents, and troponin T degradation product of IF and SS were lower (p<0.05) than that of LT. Ether extract in LT was lower (p<0.05) than that of IF and SS. The percentage of MyHC I, MyHC IIa, and MyHC IIx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uscle and meat characteristics of TNC.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ifferences in the MyHC isoforms may partly account for the variation in meat quality between breeds and among muscles of TNC.

수태양소장경근(手太陽小腸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硏究) (Anatomical study on The Arm Greater Yang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7-64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to identify the component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n human, dividing the regional muscle group into outer, middle, and inner layer. the inner part of body surface were opened widely to demonstrate muscles, nerve, blood vessels and the others, displaying the inner structure of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We obtained the results as follows; 1. Small Intestine Meridian Muscle is composed of the muscle, nerve and blood vessels. 2. In human anatomy, it is present the difference between a term of nerve or blood vessels which control the muscle of Meridian Muscle and those which pass near by Meridian Muscle. 3. The inner composition of meridian muscle in human arm is as follows ; 1) Muscle ; Abd. digiti minimi muscle(SI-2, 3, 4), pisometacarpal lig.(SI-4), ext. retinaculum. ext. carpi ulnaris m. tendon.(SI-5, 6), ulnar collateral lig.(SI-5), ext. digiti minimi m. tendon(SI-6), ext. carpi ulnaris(SI-7), triceps brachii(SI-9), teres major(SI-9), deltoid(SI-10), infraspinatus(SI-10, 11), trapezius(Sl-12, 13, 14, 15), supraspinatus(SI-12, 13), lesser rhomboid(SI-14), erector spinae(SI-14, 15), levator scapular(SI-15), sternocleidomastoid(SI-16, 17), splenius capitis(SI-16), semispinalis capitis(SI-16), digasuicus(SI-17), zygomaticus major(Il-18), masseter(SI-18), auriculoris anterior(SI-19) 2) Nerve ; Dorsal branch of ulnar nerve(SI-1, 2, 3, 4, 5, 6), br. of mod. antebrachial cutaneous n.(SI-6, 7), br. of post. antebrachial cutaneous n.(SI-6,7), br. of radial n.(SI-7), ulnar n.(SI-8), br. of axillary n.(SI-9), radial n.(SI-9), subscapular n. br.(SI-9), cutaneous n. br. from C7, 8(SI-10, 14), suprascapular n.(SI-10, 11, 12, 13), intercostal n. br. from T2(SI-11), lat. supraclavicular n. br.(SI-12), intercostal n. br. from C8, T1(SI-12), accessory n. br.(SI-12, 13, 14, 15, 16, 17), intercostal n. br. from T1,2(SI-13), dorsal scapular n.(SI-14, 15), cutaneous n. br. from C6, C7(SI-15), transverse cervical n.(SI-16), lesser occipital n. & great auricular n. from cervical plexus(SI-16), cervical n. from C2,3(SI-16), fascial n. br.(SI-17), great auricular n. br.(SI-17), cervical n. br. from C2(SI-17), vagus n.(SI-17),hypoglossal n.(SI-17), glossopharyngeal n.(SI-17), sympathetic trunk(SI-17), zygomatic br. of fascial n.(SI-18), maxillary n. br.(SI-18), auriculotemporal n.(SI-19), temporal br. of fascial n.(SI-19) 3) Blood vessels ; Dorsal digital vein.(SI-1), dorsal br. of proper palmar digital artery(SI-1), br. of dorsal metacarpal a. & v.(SI-2, 3, 4), dorsal carpal br. of ulnar a.(SI-4, 5), post. interosseous a. br.(SI-6,7), post. ulnar recurrent a.(SI-8), circuirflex scapular a.(SI-9, 11) , post. circumflex humeral a. br.(SI-10), suprascapular a.(SI-10, 11, 12, 13), first intercostal a. br.(SI-12, 14), transverse cervical a. br.(SI-12,13,14,15), second intercostal a. br.(SI-13), dorsal scapular a. br.(SI-13, 14, 15), ext. jugular v.(SI-16, 17), occipital a. br.(SI-16), Ext. jugular v. br.(SI-17), post. auricular a.(SI-17), int. jugular v.(SI-17), int. carotid a.(SI-17), transverse fascial a. & v.(SI-18),maxillary a. br.(SI-18), superficial temporal a. & v.(SI-19).

후하방 회전근 개 파열과 상완이두박근 장두건 병변과의 연관 관계에 대한 후향적 분석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otator Cuff Tear and Biceps Lesion)

  • 서승석;김정한;최장석;김전교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4권1호
    • /
    • pp.13-19
    • /
    • 2011
  • 목적: 후하방 회전근개 파열과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의 관계에 대해서 명백히 알려진 바가 없다. 후하방 회전근개 파열에서 회전근 파열의 개수 및 회전근개의 퇴화 정도에 따른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의 병변의 차이를 비교하여 후하방 회전근개의 파열이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09년까지 수술을 받은 후하방 회전근개 파열인 65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회전근개의 역동적 안정화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되는 인자로 회전근파열의 개수 및 회전근개의 퇴화 정도로 설정을 하였다. 결과: 회전근개 파열의 개수에 의하여 극상건만 파열이 있는 군에서는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의 병변이 동반된 경우는 51예 중에서 11예, 극하건, 소원형건까지 포함한 파열군에서는 14예 중 8예 동반되어 두 군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95). 상완이두박근 장두건파열이 동반된 군에서 회전근개의 파열이 크게 발생하며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9). 또한 두 군간의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의 병변의 분포를 보았을 시 제 2형 전후 관절와 순 병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73). Tangent sign 및 Goutallier classification을 통한 회전근 개 퇴행성 변화와 상완이두박근 장두건 병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후상방 회전근개 파열은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에 영향을 미칠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이환된 회전근개의 개수가 상완이두박근 장두건의 병변에 높은 영향을 미칠것으로 생각되나 퇴행성의 정도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사료된다.

개 경부 및 요부 디스크의 수침치료 (Treatment of Canine Cervical and Lumbar Disc Disease by Injection-Acupuncture)

  • 김덕환;유건주;이영원;송근호;강상규;최호정;서강문;최석화;남치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5-68
    • /
    • 2006
  • 개 추간판 디스크의 2증례를 수침치료를 하였다. 증례 1은 경부 디스크(C3-C4)의 증례이었으며, 1-2차 치료에서는 덱사메타손(1 mg/ml), 3-5차 치료에서는 염산치아민(25mg/ml)을 각각 수침하였다. 사용혈위는 GV-16, GB-20, BL-10, LU-7, LI-4 및 SI-6이었다. 2-5차 치료에는 GV-6, GV-20 및 SP-6의 혈위를 추가하였다. 3-5차 치료에는 2% 염산리도카인(0.2ml)를 이용하여 견갑아래근 및 상완세갈래근의 압통점에 각각 수침하였다. 5차 치료 후 마비증상은 소실되어 치료를 중단하였으며, 5개월 후 증상의 재발은 인정되지 않았다. 증례 2는 요부디스크의 증례(L1-L2)로 1-2차 치료에는 덱사메타손 수침을 3-4차치료에는 염산치아민을 각각 수침하였다. 사용혈위는 GV-6를 주혈로, ST-36, ST-40, GB-34, ST-41 및 BL-40을 부혈로 각각 사용하였다. 또한 허리장골 늑골근 및 대퇴네갈래근의 압통점에 2% 염산리도카인(0.2ml)를 각각 수침하였다. 4차 치료 후 마비증상이 호전되어 치료를 중단하였고, 5개월 후 현재 까지 증상의 재발은 인정되지 않았다. 이상의 증례를 통하여, 덱사메타손과 염산치아민의 수침 및 리도카인을 이용한 압통점치료의 병용은 개의 경부 및 요부디스크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콘트롤 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관절경적 2열 고정 회전근개 복원술 후의 임상 결과 및 CT 관절조영술을 이용한 건의 치유 평가 (Clinic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 and Evaluation of Cuff Integrity by CT Arthrography)

  • 조현철;김제균;윤강섭;이지호;강승백;이재협;한혁수;이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99-206
    • /
    • 2009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의 임상 결과는 관혈적 복원술의 결과에 비견될 만큼 우수하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복원된 건의 치유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적 2열 고정술 후의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 상태를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2열 고정술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을 받은 환자 중 건의 치유 상태 확인을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남자 11명, 여자 16명이었다. 술 전 및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거상력, 이환 기간, 그리고 여러 종류의 임상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중 파열의 시상면 및 관상면의 크기, 이환 건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술 전 자기공명 영상 관절 조영술, 술 후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 관절 조영술에서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건의 연속성을 통한 건 치유 상태를 분석하였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 재파열, 그리고 건의 연속성은 있으나 부분적인 조영제 침투가 보이는 불완전 치유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중, 장기적인 결과를 추시할 예정이다. 결과: 파열의 관상면 및 시상면 상 크기 중, 더 큰 것을 기준으로 파열의 크기를 분류하였고, 대상 환자 중 소파열이 1례, 중파열이 15례, 대파열 5례, 광범위 파열이 6례이었으며, 시상면에서의 평균 파열의 크기는 29.22 mm 이었다. 관상면에서의 크기는 평균 22.72 mm 이었으며, 술전 극상근 위축이 12례에서, 극하근 위축은 2례에서 관찰되었다.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 거상력, 그리고 임상 점수는 모두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술 후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는 80.38점이었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가 48.2%, 불완전 치유가 11.1%, 재파열이 40.7%이었으며, 근위축은 극상근이 8례, 극하근이 1례로 술 전에 비하여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2열 고정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건이 완전 치유된 경우가 48.2%로 비교적 낮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고령 환자의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Arthroscopic Full-Thickness Rotator Cuff Repair in Elderly Patients)

  • 천상진;이동호;박용건;손승민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38-45
    • /
    • 2020
  • 목적: 65세 이상 고령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해 일열 봉합술 또는 교량형 봉합술을 시행하고 최소 2년간 추시한 임상적 결과와 영상의학적 결과를 분석한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8월부터 2017년 8월 사이에 본원에서 회전근 개 전층파열로 진단하고 보존적 치료 시도에 불응하는 65세 이상 환자에 대해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과도하지 않은 일정한 장력하에 견인하여 회전근 개 건이 족문 절반 이상을 덮으면 교량형 봉합술을, 절반 이상을 덮지 못하면 일열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술 후 6개월째 시행한 추시 자기공명영상과 술 후 2년째 시행한 임상적 평가 지표(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ore, Constant Shoulder Score, visual analogue scale)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환자의 술 전후 임상적 평가 지표, 술 후 구조적 연속성 분포 및 재파열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기준을 충족한 환자는 모두 158예로 일열 봉합술 93예, 교량형 봉합술 65예였다. 임상적 지표는 전례에서 술 후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구조적 연속성의 Sugaya 분류 분포는 1형 49예(31.0%), 2형 62예(39.2%), 3형 30예(19.0%), 4형 11예(7.0%), 5형 6예(3.8%)를 보였고 재파열률은 일열 봉합군에서 9.7% (93예 중 9예), 교량형 봉합군에서 12.3% (65예 중 8예)를 보였다. 결론: 65세 이상 고령 환자의 회전근 개 전층파열 환자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 결과, 우수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얻었으며 일열 봉합술과 교량형 봉합술 모두 유용한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