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protection

검색결과 4,467건 처리시간 0.033초

인터넷 GIS 환경에서 위치정보 보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ivacy Protection of Location Information in Internet GIS Environment)

  • 오충원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31-142
    • /
    • 2003
  • GIS와 정보통신기술과 연계된 위치기반서비스는 개인의 위치정보를 측정하고 이용한다. 위치정보는 특정된 개인의 현재 위치와 그 위치를 통한 개인의 행동 등을 추정할 수 있는 정보로서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성이 매우 높은 정보이므로 강력한 보호 제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정보통신부가 추진하고 있는 위치정보보호법안은 개인정보 보호와 위치기반서비스 사업 활성화라는 상충되는 두 가지 목적에 대한 합의점을 제대로 찾지 못하고 있어 실질적인 개인정보 보호 대책으로 부족하며 지속적 보완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지리정보의 유통과 활용의 관점에서 개인의 위치정보 보호 문제를 고찰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하였다.

  • PDF

국내 기업개인정보보호 측정항목과 관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to Measuring Concerns for Corporate Information Privacy Management)

  • 이성중;이영재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16권4호
    • /
    • pp.79-92
    • /
    • 2009
  • With the rising reliance on market estimation through customer analysis in customer-centered marketing,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amount of personal data owned by corporations. There has been a corresponding rise in the customers' interest i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problem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as risen as a serious issu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diagnosis model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hat is suited to our country's corporate environment, and on this basis, to present diagnostic instruments that can be applied to domestic corporations. This diagnosis model i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schematizes the degree of synthetic effect that administration factors and estimation items have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wned by corporations. We develop the model- consisting of the administration fact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the measurement items of each factor- using the development method of standardiz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then present a tool through which the administration factors and estimation items verified through this model can be used in the diagnosi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corporations. This diagnostic tool can be utilized as a useful instrument to prevent in advance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n corporations.

  • PDF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의 효과적인 구현을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Implementing Governanc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 김정덕;황수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197-203
    • /
    • 2011
  • 개인정보보호 이슈는 더 이상 정보처리 부서의 문제가 아닌 전사적이며 비즈니스 문제로 인식하여야 제대로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 성격 때문에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최고경영층의 역할 및 책임을 강조하는 거버넌스 이슈가 최근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 거버넌스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7가지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핵심성공요인은 실현가능성과 중대성 측면에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검증하였다.

정보사회에서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지 분석 (An Analysis of Recognition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Healthcare Administration Studen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 김지온;박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325-334
    • /
    • 2014
  • 본 연구는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들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지 수준을 파악하여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올바른 인지 및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 모색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방법은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 687명을 대상으로 2012년 12월 3일부터 2013년 6월 2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인지는 17.2%로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개인정보보호영역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는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인지가 있는 경우 모든 영역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인식도가 높을수록 실천도가 높게 나타나는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개인인식정보 항목에 대한 인지율은 57.0%, 관리되어야 할 개인정보에 대한 인지율은 53.7%로 중간정도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건행정 전공 대학생들에게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개인정보보호법을 주지시킬 수 있는 교육 시간 및 교과목 편성을 통해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올바른 인지 및 실천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스마트워크 서비스에서 정보보호를 위한 취약성 대응 방안 (Vulnerability Countermeasures for Information Security in Smart Work Services)

  • 김지석;김동수;김희완
    • 서비스연구
    • /
    • 제7권4호
    • /
    • pp.69-81
    • /
    • 2017
  • 스마트워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워크는 기업들의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하여 업무효율성은 향상되지만, 이에 따른 다양한 정보보호에 대한 위협이 존재한다. 재택 근무, 모바일 오피스, 스마트워크 센타 등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자원, 서버, 플렛폼을 지원하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보자원을 보호하는 보안 및 정보보호에 대한 취약점이 많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워크 서비스를 위하여 스마트워크 환경을 분석하고 정보보호관련 기준인 IOS27001 및 KISA-ISMS의 분석을 통하여 스마트워크 정보보호를 위한 취약점을 분석하였다. 정보보호 요구사항에 대하여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의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스마트워크 보안 위협 및 취약점에 대하여 공통부분, 모바일 오피스, 재택근무, 스마트워크 센터 등으로 나누어 취약점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Information Protection and Improvement Plan Based on SMEs Consulting Case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01-208
    • /
    • 2019
  • 지능정보사회의 포노 사피엔스 시대에 대부분 기업 활동은 네트워크 및 정보시스템에 대한 의존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소기업은 보유하고 있는 정보 자산의 가치와 기술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고 기업 성장의 원동력이 되는 핵심기술에 대한 보호역량은 기업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이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높은 수준의 기업 맞춤형 정보보호 컨설팅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현재 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고 정보보호 역량을 제고함으로써 해킹, 정보유출 등 각종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받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 수행한 중소기업 정보보호 컨설팅 결과를 기반으로 정보보호 효과를 분석하고 중소기업 정보보호 컨설팅 결과에서 도출된 문제점과 한계점을 파악하여 중소기업이 정보보호 관리체계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중소기업 정보보호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도록 한다.

디지털시대의 개인정보보호 -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을 중심으로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Digital Era -Review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 유종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81-90
    • /
    • 2011
  •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의 확대추세에 따라 인터넷을 기업의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소비자도 인터넷을 물품구매의 일상화된 생활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즉,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는 시 공간적으로 접근성에 제한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 일반 소비자들뿐만 아니라 불특정 다수가 인터넷을 통하여 물품을 구매하거나 거래하는 전자상거래가 본격화되고 있으며 그 내용도 광고, 계약, 대금결제, 클레임처리 등 거래행위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보화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개인정보 침해문제는 모든 국가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인권을 보호하는 기본적인 법률 중의 하나로써 개인정보보호법은 정보화시대에 없어서는 안 될 법률인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국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내용들을 담고 있는 진일보한 법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법제정을 통하여 끊임없이 발생하는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줄어들어 국민의 개인정보 보호수준이 월등히 높아지고, 개인정보 관련 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합리적인 개인정보 이용 및 보호 문화의 정착을 위한 사회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식개선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개인정보보호법의 목적이 개인정보의 수집 유출 오용 남용으로부터 사생활의 비밀 등을 보호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증진하고 개인의 존엄과 가치를 보호할 수 있지만, 사생활의 비밀보호와 정보의 자유로운 흐름을 조화하는 역할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ATM-PON망에서 망 생존성을 위한 자동보호절체 (Automatic Protection Switching Schemesfor Network Survivability in ATM-PON Networks)

  • 김영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9A호
    • /
    • pp.1441-1451
    • /
    • 2000
  • There are two types of protection switching : a) automatic switching and b) forced switching. The switching mechanism is generally realised by OAM functions, therefore, the required OAM information field should be reserved in the PLOAM cells. This paper proposes an unidirectional and a bidirectional protection switching method and potential advantages. The unidirectional protection switching method can be faster than the bidirectional method because the unidirectional method does not require an APS protocol for protection switching. The bidirectional protection switching method uses APS K1 byte and K2 byte, which is included in octets of a PST message through downstream or upstream PLOAM cells, for protection switching. As making comparisons between the unidirectional and the bidirectional protection. switching method, this paper proposes an effective constructing method for ATM-PON network.

  • PDF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조직과 권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rganization and Authority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Commission)

  • 김일환;김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49-156
    • /
    • 2015
  •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대통령 소속으로 그 권한에 속하는 업무를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장관급인 위원장과 차관급인 상임위원을 포함하여 총 15명의 위원(대통령 지명 5, 국회 선출 5, 대법원 지명 5)으로 구성된다. 개인정보 보호위원회의 주요 기능은 개인정보 보호 관련 주요 정책 심의 의결 및 법령 제도 개선, 개인정보 보호 관련 공공기관 간 의견 조정,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헌법기관의 침해행위 중지 등 개선권고,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연차보고서의 국회 제출 등이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제는 독립된 형태의 외부감독기관인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소관 부처들이 동시에 개인정보보호에 관하여 규율하는 다중규율체계가 특징이다. 현행법에 규정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기능과 역할은 국제적 기준이나 그동안 논의되었던 수준에 비하면 보호기구의 독립성과 권한 등에서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위원회는 효율적인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독립된 기구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설립취지를 살리는 법개정작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Current Problems of Criminal Law Protection of Information Relations in the Border Sphere

  • Kushnir, Iryna;Kuryliuk, Yurii;Nikiforenko, Volodymyr;Stepanova, Yuliia;Kushnir, Yaroslav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1호
    • /
    • pp.171-176
    • /
    • 2021
  • The article considers some issues of criminal law protection of information relations. With the emergence of new types of threats to Ukraine's national security in the field of protection and defense of the state border, the issues of development and strengthening of information protection become especially important. Proper compliance with information legislation also depends on the established responsibility for its violation, which rests on certain provisions of the Criminal Code of Ukraine. It is stated that these norms are placed in different sections and do not have a proper systematization. The article singles out the subjects of information relations in the border area, which are subject to criminal law protection: persons who are not bound by stable relations with the SBGS (who cross the state border of Ukraine, etc.); persons who are members of the SBGS (servicemen and employees); SBGS as a public authority (official and secret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activities of the agency, its official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