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commons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초

Ethical Foundations of Knowledge as a Commons

  • Kuhlen, Rainer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3-40
    • /
    • 2011
  • We consider information ethics the reflection on beliefs, rules and values in electronic environments,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producing, exchanging, sharing and us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his paper will provide an overview of information ethics in the context of the UNESCO from the first INFOethics conference in Monte Carlo 1998, to the UNESCO contribution to the two United Nations WSIS conferences(World Summit on the Information Society) in Geneva and Tunis and to the information ethical aspects of the UNESCO Information for All Programme. As a result of this debate we conclude that there is need for a new approach to achieve the goal of people-centered, inclusive and sustainable knowledge societies. We propose to consider knowledge a commons. Commons is thus the central concept of knowledge ecology and the centerpiece of information ethics. In the commons paradigm, a new consensus needs to be achieved concerning traditional concepts such as freedom of information and science, intellectual property, authorship and the nature of knowledge objects in general. Information ethics can contribute to this discussion by providing an open discourse about these transformation processes.

개방형 연구 커먼즈에 대한 연구자 요구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earchers' Needs for Open Research Commons)

  • 심원식;안혜연;박규리;송사광;임형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209-23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연구 커먼즈(Open Research Commons)의 구현을 위하여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연구자 요구를 분석하는 것이다. 설문은 대표적인 연구데이터 커먼즈라 할 수 있는 유럽 EOSC와 호주 ARDC의 플랫폼 서비스 사례를 분석하여 도출한 주요 서비스 내용을 참고하여 설계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5개 영역(응답자 일반적 특성, 연구데이터·분석도구·컴퓨팅 자원의 활용 및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데이터 플랫폼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관련 플랫폼을 통해 잠재적 이용자 550명이 완료한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의 약 85%가 연구데이터 커먼즈의 필요성에 동의하였으며, 커먼즈 서비스가 제공되면 이를 통하여 본인의 연구데이터(약 77%)와 분석도구(약 84%)를 공유하고자 하는 의향과 공유된 연구데이터(약 92%)나 분석도구(약 93%), 컴퓨팅 자원(약 93%)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향이 나타났다. 즉 많은 연구자들이 개방형 연구 커먼즈에 대한 요구가 매우 높은 것이라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연구데이터 서비스 분야에 있어 커먼즈에 대한 논의는 아직 생소한 것으로, 향후 주제분야, 이해관계자 특성, 커먼즈 플랫폼의 실질적 이용자 등을 다양한 측면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공공도서관의 IC 적용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formation Commons in the Public Library: Focus on the Physical Space of Neutinamu Library)

  • 남태우;류반디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23-39
    • /
    • 2012
  • 본 연구는 현대 정보화 시대에서 우려되는 디지털격차를 해결하는 대안이 IC(Information Commons)이며, IC의 가치가 OA(Open Acess)와 민주주의의 필수요소에 있다는 전제로 진행되었다. 그러한 가치 실현의 기반이 되는 물리적 공간을 선행연구를 토대로 6개로 구분하였고, 6개 IC공간의 이용행태를 조사,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의 IC 적용 시 고려할 부분을 제안하였다.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윤은하;장윤금;전경선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9-209
    • /
    • 2014
  • 본 연구는 정보광장 담당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광장 의미와 목적, 새로운 도서관 환경에서의 역할, 도서관의 본질과 발전 방향, 그리고 정보광장 이용행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총 28명을 인터뷰한 결과 정보광장에 대한 사서의 인식은 1) 정보광장의 전통적인 학술 연구 기능만을 강조하여 이를 학술연구 시설로만 이해하는 유형, 2) 정보광장을 학술연구를 위한 물리적 공간으로 이해하면서 아울러 문화융복합적 기능을 강조하는 유형, 3) 정보광장을 창조적 기능이 강조된 학술문화 복합시설로 이해하는 유형의 3가지로 대별되었다. 이는 정보광장 이용자 이용행태에 대한 평가와 도서관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인식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 in School Libraries)

  • 정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46
    • /
    • 2008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IC 도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C 개념을 응용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IC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도입 모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IC 구성요소 도출 및 IC 도입 모형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IC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를 학습공간, 제작공간, 커뮤니티공간, 서비스 데스크로, 인적 요소는 사서교사, 정보기술자, 학생도우미로, 서비스 요소는 정보활용교육과 협력적 통합서비스로 세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IC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IC 서비스 개념도, IC 도입모형, IC 평면도를 제시하였다.

Information Commons 이용자 만족의 영향요인: 학교도서관 분석 (Influencing Factors for the Information Commons User Satisfaction: An Analysis of School Libraries)

  • 김지선;박지홍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2호
    • /
    • pp.121-149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Information Commons(IC)의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IC에 대한 문헌조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IC시설, 콘텐츠 접근성, 자기주도적 학습 성취도, 인적서비스)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항목을 각 요인마다 4~9개, 총 29개의 세부항목을 추출하여 설문지 작성한 후 서울 시내 학교도서관에 IC가 도입되어 있는 3개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이용자 412명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IC시설, 인적서비스, 자기주도적 학습 성취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접근성보다는 시설 및 공간을 이용하는 데 더 큰 의미를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IC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으로는 IC시설 및 공간 확보,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활용 도구 도입, 지속적인 이용자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공공도서관 공간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pace Design of a Public Library in Ubiquitous Life)

  • 한희정;김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93-217
    • /
    • 2010
  • 유비쿼터스 사회의 도래와 함께,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요구의 변화는 정보제공기관, 문화서비스기관 및 교육기관으로써 역할과 기능을 수행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다목적 기능을 수행하는 공공도서관은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을 기반으로 서비스가 제공된다. 공간적 기반에 있어서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은 유비쿼터스 도서관의 물리적인 공간 기반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환경의 도래와 함께, 물리적 공간의 효과적인 설계 및 활용은 멀티복합공간으로서 공공도서관의 기능과 역할수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서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설계와 구축을 위한 설계 및 시설요소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사례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공도서관의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흐름과 요구사항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의 물리적 공간으로써 정보공유공간의 구축을 위한 시설요소 및 설계원칙을 제안하였다.

정보공유공간(Information Commons)의 도입을 통한 학교도서관 공간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chool Library Space by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Common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67-289
    • /
    • 2008
  • 학교도서관에서 공간의 의미는 학교도서관 이용자가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학생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여타 도서관에 비해 크다고 할 수 있다. 더구나, 공간의 규모가 충분하지 않은 국내 학교도서관의 현실을 고려할 때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은 필수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통합적 서비스 공간을 지향하는 Information Commons 개념의 도입을 통해 학교도서관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내 필수시설을 최소화하고 유연성 및 호환성을 확보함으로써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간중심 디자인과 개방성을 지향함으로써 학교 내 커뮤니티와 수업의 중심 기능을 수행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Deriving the Properties of Object Types for Research Data Relation Model

  • Kim, Suntae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권2호
    • /
    • pp.84-92
    • /
    • 2013
  • In this study, the properties of the object types requir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among research data resources, which may be generated during the life cycle of the research, are derived. The properties of Fedora Commons and DSpace, which are open source software used for resource management, and schema properties published in DataCite were analyzed. Based on relation names of Fedora Commons, nine new relation names were derived. Thirty-eight object type properties consolidating the target properties of the analysis were deriv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crosswalk research studies of object type relation terms to ensure interoperability among the systems.

연구데이터 활용성 극대화 위한 컴퓨팅 리소스 공유활용 체계 (Computing Resource Sharing and Utilization System for Efficient Research Data Utilization)

  • 송사광;조민희;이미경;임형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30-432
    • /
    • 2022
  • 오픈액세스, 오픈데이터, 오픈소스 등 과학기술 분야의 오픈사이언스 운동에 대한 최근의 관심 증가에 따라, 공적 자금을 투입한 연구 산출물을 공유하고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구체화 및 활성화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최근 국내에서 연구수행의 핵심적인 자원인 연구데이터를 공유하고 활용하는 체제를 구축하고 활성화하려는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주로 연구데이터를 모아서 분야 및 기관별로 모으고 이를 국가 연구데이터 플랫폼인 DataON과 연계하여 검색 및 활용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연구데이터 뿐만 아니라, IaaS, PaaS, SaaS, MLaaS 등 다양한 형태의 연구개발 관련 컴퓨팅 리소스를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EOSC(European Open Science Cloud), ARDC(Australian Research Data Commons), CSTCloud(China S&T Cloud)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고 국내에서는 이러한 컴퓨팅 리소스의 공유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KRDC(Korea Research Data Commons)를 설계하고, 핵심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KRDC의 필요성, 개념, 구성, 향후 계획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