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Marketing

검색결과 3,467건 처리시간 0.032초

재중 한국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광고가 중국 소비자들의 한국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Corporate Advertising of Korean Companies in China on the Chinese Consumers' Korean Products Evaluation)

  • 윤성환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47-174
    • /
    • 2017
  • 최근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들은 제품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마케팅활동 이외에도 기업이미지 제고를 위한 수단으로 CSR활동과 기업광고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에서는 중국 현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중국에 진출한 주요 한국기업들의 CSR활동과 기업광고가 기업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함과 동시에 기업이미지와 기업-소비자 동일시, 한국제품에 대한 평가와 중국 소비자의 행위적 반응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하여 파악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개의 가설을 설정하고 이 가설들을 종합하여 이론적 연구모형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내 주요 대학의 MBA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SR활동과 기업광고는 기업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기업이미지는 기업-소비자 동일시에, 기업-소비자 동일시는 제품 평가에, 제품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는 중국현지 소비자들의 행위적 반응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중국에 기진출한 한국기업들이 중국 소비자들에 대하여 호의적인 기업이미지를 심어주며 소비자와의 우호적인 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활발한 CSR활동과 기업광고활동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중국산 ICT 품목의 대 한국시장 경쟁력 분석 - 컴퓨터 및 주변기기 품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Chinese ICT Items in Korean Market - Focused on the Computer and Peripheral Equipment Items -)

  • 김지용
    • 통상정보연구
    • /
    • 제19권4호
    • /
    • pp.127-145
    • /
    • 2017
  • 본 연구는 미래 성장 엔진으로 부각되고 있는 ICT 산업에 초점을 맞추었고, 특히 한국 ICT 산업의 경쟁자로 급부상하고 있는 중국 ICT 산업의 경쟁력 분석을 통해 한국 ICT 산업의 발전 방안을 찾아 보는 것에 연구의 주목적을 두었다. 상기와 같은 연구 목적 아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ICT 산업의 품목군 중 ICT 산업의 기반 품목인 컴퓨터 및 주변기기 품목을 조사대상으로 삼았고, 중국산 동 품목들이 한국 시장에서 가지는 경쟁력의 정도를 조사하였다. 분석대상 기간은 2008년 - 2016년이었으며, 분석자료는 한국무역협회에서 제공하는 K-Stat 수출입통계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시장점유율지수(MSI), 수출편향지수(EBI) 및 시장별비교우위지수(MCA)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산 컴퓨터 및 주변기기 품목의 대 한국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 시장에 집중도가 높은 품목이 다수를 차지하였으며, 한국 시장에서 확보한 경쟁력의 정도 또한 상당히 강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한국산 컴퓨터 및 주변기기 품목 관련 기업들은 동 품목들의 시장가격에 부합하는 제품들의 지속적인 품질개발 노력, 동 품목들간의 융합적 소비자 친화적 제품 개발 및 동 품목들이 한국산이라는 인식이 확실히 소비자들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소비자 인식제고를 위한 마케팅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 PDF

Monte-Carlo expectation-maximaization 방법을 이용한 무응답 모형 추정방법 (An estimation method for non-response model using Monte-Carlo expectation-maximization algorithm)

  • 최보승;유현상;윤용화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587-598
    • /
    • 2016
  • 각종 선거를 앞두고 여러 여론조사 기관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선거 결과를 예측한다. 조사를 통한 선거 예측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는 무응답이며 무응답 대체 방법에 따라 예측 결과는 완전히 다른 결과를 생산해 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응답 대체의 방법으로 모형을 기반으로 한 대체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최대 우도 추정 방법을 적용했을 때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 (non-ignorable non-response) 체계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변방 값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ei와 Tanner (1990)가 제안한 Monte Carlo EM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하여 MCEM 방법과 기존의 최대 우도 추정 방법, 베이지안 추정 방법 사이의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결과 MCEM 방법이 기존 방법들에 대한 대안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2012년에 시행된 제18대 대통령 선거 당일의 출구조사 자료를 적용하여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예측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Bautista 등 (2007)이 제안한 MWPE (modified within precinct error)를 이용하였다.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자기결정성 심리 욕구와 지각된 영향력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Consumer Self-Determination Psychological Needs and Perceived Influence for Fair Trade Products)

  • 옥정원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2호
    • /
    • pp.283-297
    • /
    • 2018
  • 본 연구는 공정무역 제품에 대한 태도와 행위의 갭에 대한 보다 근원적이고 설명적인 대안으로 작용할 수 있는 소비자의 지각된 시장영향력(PMI: Perceived Market Influence: 개인의 행동이 시장 내 다른 소비자들의 행동에게 미칠 영향을 인지하고 결과적으로 스스로 공정무역 관련 소비 행동을 하게 만드는 동기가 되는 신념)에 주목하고 이를 공정무역 관련 소비자의 인식 구조에 탐색적으로 적용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소비자의 지각된 자기결정성 심리적 욕구(자율성, 유능성, 관련성)와 해당 소비자가 지각하는 영향력(개인영향력, 시장영향력)의 관계검증을 통하여 공정무역제품의 자산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실증분석의 결과, 자기결정성과 관련된 주요 심리적 욕구 중 유능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과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 관계가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지각된 영향력 간에도 긍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지각된 영향력과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자산에도 영향관계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윤리적 소비의 일환인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소비자 태도와 행동 사이의 갭을 이론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며, 아울러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교육훈련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 - 콜센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al Training Evaluation Model - Focusing on Call Center)

  • 김은희;박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85-192
    • /
    • 2012
  • 콜센터는 고객과의 접촉에 있어 비대면 채널에 의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대면 접촉에 의한 것보다 더 많은 상담사의 능력을 요구한다. 이러한 상담사의 능력개발을 위해 콜센터들은 경력과 직무에 따라 다양한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교육훈련의 성과로 상담품질이나 생산성 향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한편, 교육훈련에는 많은 시간과 예산이 투입되기 때문에 교육훈련의 평가를 통해 현업수행에 도움이 얼마나 되고 있는지 그 효과성이 파악되고 관리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교육훈련의 평가에 대한 연구들을 보면 만족도와 학습정도를 측정하거나 학습이 행동에 전이되는 정도를 측정하는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전체적인 평가모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콜센터교육훈련의 효과성을 상담사들의 인식수준에서 Kirkpatrick의 4단계 평가모형을 반영하여 반응, 학습, 행위, 결과에 대한 각 단계별 평가기준 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하여 전체적인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대안모형으로 반응요인과 행위요인의 직접적인 관계를 고려하여 연구모형과 대안모형의 구조모델 적합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소비자 활동 지표를 통한 국내외 스포츠, SPA 패션 브랜드의 페이스북 활용 사례연구 (Case Study of Using Facebook of Each Type of Internal and External Sports and SPA Fashion Brands)

  • 김상아;이승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7-352
    • /
    • 2015
  • This study selected a case study method conforming to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analyzed how each type of fashion enterprises uses SNS in-side of fashion marketing based on content the researcher monitored and selected from the Facebook website for each enterprise. The standard to select fashion brands in this study is a graded list made based on ranking 5 analysis sites on social media (Socialbakers, socialDigm, Pulse K, BigFoot9, L2). The researcher sorted and then analyzed 2 brands that have many fan joiners and followers among fashion brands that were ranked top of the graded list, work in Facebook animatedly, and had representativeness in each type (SPA, Sports Bran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March 2013, and the index of Facebook consisted of 3 kinds of elements (comment, like, and share). Each numerical value was counted to decide the monthly ranking. Content analysis was divided into public relations about brand, public relations about products, and customer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consequently, the researcher investigated which content was post conforming to the ranking. The study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brand derived through the method of study compared to other bran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SPA brands, the category accounting for high rank in index analysis are public relation events to attract customer attention and products and offering information. The results of the monthly trend about whole post category were also similarly analyzed so the promotion goal that the brand wants to seek in priority coincides with the customer compliance rate. Next, in the case of sports brand, public relations for products offering information, event for arousing customer concern, and participation activities accounted for a high rank in the index analysis and posted the most in the analysis of the monthly trend for whole post category. The researcher came to understand that the direction of content for brands shown through Facebook coincides with customer sympathy.

유통분야 전문용어 사용실태 조사를 통한 용어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Korean Distribution Terminology through its Usage Survey)

  • 한규철;이상윤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77-87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distribution terminology usage by retailers and consumers nationwide, and to suggest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for its standardization. The Korean distribution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daily lives. However, in reality, there exists a gap among producers, distributors, and consumers in terms of the definition,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of the terminology. Therefore, standardizing this terminology is essential for more smooth communication. This paper suggests the necessity of committing overall research and survey activities to the actual conditions of using Korean distribution terminology by organizations and their respective management situations, and further, the necessity of probing the problem and its measures in line with the objective and mission of the "Fundamental Law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s scope is limited to wholesale and retail including some information systems. First, the study covers most written material including lexicons and glossary of distribution terminology, university textbooks and teaching material for national certificate of qualification, and related laws and ordinances. Second, the survey covers retailers' management situations by store format. The retailers used as the sample for the survey include department stores, discount stores, SSM, and convenience stores. Altogether, 20 specialists were interviewed in their respective sectors or retail formats. Finally, the project team surveyed a sample of 1,300 consumers nationwide on 50 distribution terms mainly used by consumers, including those about awareness, understanding, usage, and attitude. Results - In total, 1,249 terms are draw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cluding distribution terminology used in the related literature, glossary and lexicons, distribution terminology in textbooks, and legal terminology. A classified table comprises four large categories including general distribution, distribution marketing, distribution information, and merchandise. The results of the three-step research including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of retailers, and consumer survey were advised to be screened by academia (retail associations, faculty etc.), retailers (major retail management by store format), retail specialists and consultants, consumers, and Korean linguists. In total, 1,300 questionnaires for 50 terms of the distribution terminology closely associated with consumers were distributed to subjects nationwide. Conclusions - The desired and expected results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from three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from retailers' perspective, a new concept, or coinage of new terms of the distribution industry stems from advanced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Europe. However, the original meaning and definition are diluted and distorted with changes in the language users' situations and context. This study provides basic guidelines for standardization of distribution terms used among various retail formats in most daily life situations that consumers encounter. Second, from the nation's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optimal choices of distribution terminology in the context of laws and ordinances regarding concerned Ministries. Last,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this paper enables consumers to understand and use distribution terms properly in their daily life.

자동차전문서적 구매의사 결정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Buying Decision-making Process of Automobile Books)

  • 김길현;하규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6권3호
    • /
    • pp.1-18
    • /
    • 2011
  • 본 과학기술 출판 산업은 전반적으로 판매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이 2000년대부터 확연히 하향 곡선을 긋고 있다. 원인은 순수과학이든 기술과학이든 간에 이공계 기피현상, 매스 미디어 발달, 인터넷 접속 빈도수가 잦아짐에 따라 활자 인쇄문화는 쇠퇴일로에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자는 과학기술 도서 중 자동차분야만큼은 필생의 목적사업으로서 이 연구를 하게 된 근원적 발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마케팅만이 기업의 생사여탈을 쥐고 있는 만큼 최종 소비자인 자동차 현장인들과 관련 학생 집단에서 전문서적 구매의사 결정시에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일까를 논제로 잡았다. 이것들은 전문출판사의 사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본 과학기술도서, 한국과 일본의 과학기술출판 현황 그리고 실제 전문도서 구매자들의 심리와 행동결과를 5단계 리커트 척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동차를 전공하게 된 동기와 비전에서는 '평소에 차를 좋아했기 때문'이며 이 분야가 앞으로 '비전' 있다고 나타났다. 문제인식단계에서는 '반드시 필요할 때'이고 정보탐색단계로는 '광고, 친구, 교수, 인터넷 등'에서 정보를 얻는다는 것이다. 대안평가단계에서도 '발행일자와 제목'을 중시 여기고 구매결정단계로는 '즉시 구매한다' 는 것이다. 또한 개인의 특성인 연령과 근무 경력에 따라 정보탐색이나 대안평가 그리고 구매 후 평가과정 등은 나이가 많을수록 신중한 선택을 한다고 나타났다.

  • PDF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예술 소비자 빅데이터 분석 사례 고찰 (A Case Study on Big Data Analysis of Performing Arts Consumer for Audience Development)

  • 김선영;이의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86-299
    • /
    • 2017
  • 국내 공연예술은 공급과잉과 유통영역의 부재, 뚜렷하지 않은 비즈니스 모델 등으로 인한 침체기를 맞고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객관적으로 제공되는 시장데이터를 활용해 마케팅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관객개발과 충성도 확보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 중 하나가 보다 보편적이고 정확한 통계와 공연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빅데이터' 분석이라는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먼저 빅데이터의 특징과 분석기술, 그리고 공연예술 소비자 분석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함께 한 신용카드사가 실시한 빅데이터 분석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빅데이터에 의한 공연예술 소비자 연구의 의미와 한계, 그리고 그러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공연 구매자 대상의 카드사 데이터 자체의 불완전성, 기존 이론 검증의 한계, 낮은 활용도, 소비자 성향 및 구매 동인 분석의 한계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장르와 공연명 파악이 가능하고 성향이나 구매요인 등을 추출해낼 수 있는 예매처 정보, 설문조사와의 결합과 소셜 데이터와의 매쉬업을 통해 구매동기 등의 정성적 분석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궁극적으로는 공연예술 소비자에 대한 연구가 빅데이터 시대에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하며, 어떤 변화를 모색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의 시작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연예술 관객개발을 위한 보다 구체화된 정성적 분석 사례들이 많이 출현하기를 기대하며, 지금의 공연예술시장의 흐름을 정확하게 대변해 주는 빅데이터 분석과 가공을 위한 솔루션들이 계속 개발되기를 바란다.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TPB와 신뢰의 통합적 관점에서 (Consumer Purchase Decision in a Mobile Shopping Mall: An Integrative View of Trust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r)

  • 홍세일;이빈;김병수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1-171
    • /
    • 2016
  • 최근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와 같은 모바일 기기의 급속한 확산과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소비자들의 쇼핑 행태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획 행동 이론(TPB: Theory of Planned Behavior)에 신뢰를 통합하여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한다.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유희성, 신뢰를 행동에 대한 태도의 주요 선행 요인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보안, 지각된 위험, 주관적 규범이 신뢰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모바일 쇼핑몰에서 구매 경험이 있는 154명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연구 모형을 분석하였고, PLS(Partial Least Squares)를 활용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행동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 통제력 모두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고객들이 모바일 쇼핑몰이 유용하고 재미있다고 인지할수록 구매에 긍정적인 태도 형성을 통해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신뢰는 직접적으로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행동에 대한 태도를 통해서 구매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주관적 규범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지만, 보안과 지각된 위험은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모바일 쇼핑몰 제공업체들은 모바일 쇼핑몰 고객들의 구매 의사 결정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운영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