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tion

검색결과 265,098건 처리시간 0.207초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mathematics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outdoor movement activities on the motor abilities of young children)

  • 박지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167-174
    • /
    • 2020
  • 본 연구는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S유치원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총 15주간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유아 운동능력 검사에서는 지성애(2007)의 유아 운동능력 검사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영역은 모두 5점 평정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문항의 수는 총 33개 문항이다. 유아의 운동능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t 검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실외 동작활동을 연계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전체 운동능력, 비이동 운동 능력, 이동 운동 능력의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외 동작활동과 통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편의점 내 디지털 사이니지 티저(Teaser) 광고가 오리지널 콘텐츠 시청에 미치는 영향 연구: BGF 네트웍스의 바터(Barter)광고를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teaser advertising effect on a digital signage in a convenience store for viewing the original content : focusing on BGF Networks' Barter advertisement)

  • 김연성;김태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233-244
    • /
    • 2020
  • 우리는 365일, 버스와 지하철에서 편의점, 커피숍, 음식점, 그리고 엘리베이터 등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통해 나오는 영상 콘텐츠 및 수많은 정보 등을 접하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와 관련된 연구에 있어서는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기술적인 효과 측면 또는 소비자 경험 측면에만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해당 디지털 사이니즈(Digital Signage)의 티저(Teaser) 광고가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편의점의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가 소비자, 시청자들에게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고 소통이 가능한 차별화된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만의 영역으로서의 발전을 기대해 봄과 동시에 2020년,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사태 이후, 점차 비대면,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환경하에서 디지털 콘텐츠(영상)도 이제는 제품으로 인식하는 시대임을 보여주는 하나의 연구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4차 산업혁명 최신기술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merging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 이하원;신원애;조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3호
    • /
    • pp.307-315
    • /
    • 2020
  • 이본 연구의 목적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최신기술 도입을 앞두고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기존 교육방법의 효과, 최신기술의 관심, 최신기술의 활용 및 최신 기술의 전망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보육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원장 및 교사 총 181명으로 2020년 4월 27일부터 5월 10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는 현재 교육 방법 효과에 대해 보통 정도의 만족을 하고 있었다. 둘째, 최신기술에 대한 관심은 높지 않았다. 셋째, 최신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것은 보통이상 정도의 관심을 두고 있었으나 거부감도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현장에서 최신기술에 대한 전망은 긍정적이며 특히, 최신기술의 도입이 보편화 될 것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앞두고 보육현장의 최신기술 활용에 바른 방향성 및 관련 교사연수 준비에 기초자료가 될 것을 기대한다.

산업체에서의 데이터와 신뢰성평가 (Data and reliability evaluation in industry)

  • 백재욱
    • 산업진흥연구
    • /
    • 제2권1호
    • /
    • pp.1-7
    • /
    • 2017
  • 제조기업의 경우 여러 종류의 데이터가 수집된다. 이 중 많은 데이터는 약간만 변형하면 제품의 신뢰성 평가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제조기업에서 수집될 수 있는 데이터로 제품, 기술, 재무, 고객 등과 관련된 데이터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본다. 다음으로 데이터가 발생할 수 있는 근원으로서 회사의 비즈니스 매니지먼트 시스템, 과학저널, 시험 및 마케팅조사 데이터 등에 대해 알아본다. 다음으로 제품의 신뢰성평가를 위해 제품수명주기에 걸쳐 어떤 종류의 데이터가 수집되는지 알아본다. 우선 제품의 개발단계에서는 구성요소별로 신뢰성시험을 실시하고, 서브시스템 및 시스템 차원에서도 신뢰성시험을 실시하여 신뢰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한다. 한편, 제조단계에서는 제품의 기능시험 및 설계변경시험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필드단계에서는 제품의 필드에서 어떤 문제가 일어나는지 파악하여 데이터의 형태로 수집한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 시 추후의 합리적인 분석을 위해 들어가야 할 내용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Virtual Reality and 3D Printing for Craniopagus Surgery

  • Kim, Gayoung;Shim, Eungjune;Mohammed, Hussein;Kim, Youngjun;Kim, Yong Oock
    • Journal of International Society for Simulation Surgery
    • /
    • 제4권1호
    • /
    • pp.9-12
    • /
    • 2017
  • Purpose Surgery for separating craniopagus twins involves many critical issues owing to complex anatomical features. We demonstrate a 3D printed model and virtual reality (VR) technologies that could provide valuable benefits for surgical planning and simulation, which would improve the visualization and perception during craniopagus surgery. Material & Methods We printed a 3D model extracted from CT images of craniopagus patients using segmentation software developed in-house. Then, we imported the 3D model to create the VR environment using 3D simulation software (Unity, Unity Technologies, CA). We utilized the HTC Vive (HTC & Valve Corp) head-mount-display for the VR simulation. Results We obtained the 3D printed model of craniopagus patients and imported the model to a VR environment. Manipulating the model in VR was possible, and the 3D model in the VR environment enhanced the application of user-friendly 3D modeling in surgery for craniopagus twins. Conclusion The use of the 3D printed model and VR has helped understand complicated anatomical structures of craniopagus patients and has made communicating with other medical surgeons in the field much easier. Further, interacting with the 3D model is possible in VR, which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he craniopagus surgery as well as the success rate of separation surgery while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on diagnosing and surgery planning.

특징점 추적을 이용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 (Lane Violation Detection System Using Feature Tracking)

  • 이희신;이준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36-4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특징점 추적을 이용하여 끼어들기 위반차량을 검지할 수 있는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알고리즘은 특징 추출, 추적대상 차량의 특징점 등록 및 추적, 끼어들기 위반차량 검지 등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특징 추출 단계에서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에서 특징점을 추출한다. 추출된 특징점들은 다시 추적대상 특징점을 선정하고 등록된 특징점을 정규화 된 교차 상관관계(normalized cross correlation:NCC)를 이용하여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추적된 특징점들의 정보를 이용하여 끼어들기 위반여부를 최종 검지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끼어들기 금지구간에서 취득한 영상을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정인식률 99.09%와 오류율 0.9%의 뛰어난 성능을 보였고 실시간처리가 가능한 초당 34.48프레임의 빠른 처리속도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B/MC-CDMA 시스템에서 여분의 코드집합을 이용한 PAPR 감쇄기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PAPR Reduction Method using Selection of Extra Code Set in PB/MC-CDMA System)

  • 이규진;이동준;이계산;김진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0-118
    • /
    • 2009
  • PB/MC-CDMA(Partial Block 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lple Access) 시스템은 사용자간의 코드 간 간섭을 줄임으로써 성능을 향상 시키는 시스템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심볼 간 간섭을 피하면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어 MC-CDMA(Multi 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보다 향상된 성능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중캐리어를 사용함으로써 PAPR 문제가 발생하여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 시킨다. 이 논문에서는, PB/MC-CDMA 시스템에서 추가적인 정보 없이 여분의 확산 코드를 이용하여 최적화된 확산코드를 선택함으로써, 피크전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PB/MC-CDMA 시스템은 각 블록 단위로 확산 코드를 재사용함으로써, 여분의 코드가 남게 된다. 이러한 여분의 코드를 여러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을 계산하고, 피크전력이 최소가 되는 코드를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PAPR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 PDF

Issue-Tree기법과 QFD를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교통안전정책과제 분석 (Issue-Tree and QFD Analysis of Transportation Safety Policy with Autonomous Vehicle)

  • 남두희;이상수;김남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6-32
    • /
    • 2016
  • 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의 조작 없이 목표지점까지 스스로 주행환경을 인식하여 운행하는 최첨단 자동차를 말하며 위성항법장치, 센서 등으로 위치를 측정하고 주행환경을 인식, 연산장치로 가감속 차선변경 등 자율주행을 제어한다. 최근, 자동차 산업은 기존 기계공학과 정보통신, 센서, 위성항법 등 첨단기술이 총 집약된 자율주행 자동차로 빠르게 진화중이다. 교통안전 정책과제 분석은 Issue-Tree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Issue-Tree 방법론은 복잡한 문제를 세분화하여 구체화하고, 체계적으로 접근하는 문제해결 도구로 자율주행자동차 도입에 따른 교통안전 관련 Issue의 해결을 위한 정책과제를 도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교통안전 정책과제를 분석하기 위해는 우선 미래 사회 및 교통여건 변화로부터 Key Word를 도출하고, 이와 연계되는 국내외 도로교통 정책/계획을 확인하여 국내외 도로 교통 정책목표 Key Word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정책목표 Key Word로부터 핵심적인 Issue를 도출하였는데, 이때 Issue-Tree 방법을 통해 체계화하였다.

스마트하이웨이 테스트베드에서의 WAVE 기반 V2X 통신 성능에 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tal Analysis of V2X Communication Performance based on WAVE at the SMART-Highway Test-bed)

  • 정한균;임기택;신대교;윤상훈;진성근;장수현;신준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15-128
    • /
    • 2016
  • 전 세계적으로 도로 상에서의 교통사고를 줄이고 교통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특히 C-ITS(Cooperativ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협력형 지능형교통체계) 기술을 기반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C-ITS 기술의 핵심은 인프라, 차량, 사람 등 도로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간에 정보를 공유하고 재생성함으로써 도로안전 및 교통효율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차량용 무선통신기술인 V2X(Vehicle-to-X) 통신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스마트하이웨이 연구를 통해 V2X 통신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 고속도로 환경에서의 기술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하이웨이 테스트베드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테스트베드 상에서의 성능 분석 절차 및 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교통상황 및 인적요소를 고려한 도로전광표지 판독소요시간 추정 (An Estimation for VMS Message Reading Time Considering Traffic Condition and Human Factor)

  • 현문국;김승지;김병종;김원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3-27
    • /
    • 2012
  • ITS 기술의 발달에 따라 평균적으로 고속도로 8km마다 도로전광표지가 설치되어 운영중이다. 하지만 도로의 교통상황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한 채, 기 설정된 정보를 일방적으로 표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한정된 시간 동안 운전자는 표출되는 정보를 모두 인지하지 못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정보가 표출되기 전에 도로전광표지를 지나감으로써 도로전광표지의 기능을 떨어뜨리고 신뢰성 저하를 가져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통류속도 등의 교통상황 및 인적요소를 고려한 도로전광표지 판독소요시간 및 거리 측정을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제 주행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Winroad 패키지를 이용하여 실험환경을 구현하였으며 113명의 피실험자군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도로전광표지 메시지 판독소요시간 측정 모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도로전광표지 판독소요시간 측정 모형을 이용하여 교통류 속도와 표출 메시지 정보량 등 교통상황과 인적요소를 반영한 메시지셋을 개발하는데 활용 될 수 있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