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ographic

검색결과 41건 처리시간 0.031초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 비교 분석 (Types and Roles of Visualization Materials in National Compared with Authorized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Grade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고미정;신동훈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93-108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하여 2021학년도까지 사용한 초등 3~4학년 과학 국정교과서와 2022학년도부터 사용하고 있는 7종의 검정교과서의 시각화 자료 유형과 역할이 다양성 측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초등 3~4학년 과학 교과서의 운동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우주, 통합 영역 모든 단원으로 총 17단원이다. 시각화 자료의 유형과 역할을 분석하기 위하여 분석틀을 개발하여 8종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 7종의 시각화 자료 총량과 일반삽화 총량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영역별로 일반삽화와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는 양에 차이가 없었다. 인포그래픽을 많이 사용하는 영역이 생명, 지구와 우주 순서로 같았다. 둘째, 시각화 자료 유형에 따른 역할 측면에서 일반삽화는 차이가 있었으나 인포그래픽은 차이가 없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모든 검정교과서의 일반삽화에서 동기유발 역할이 증가하였다. 탐구과정 안내의 역할이 줄어든 검정교과서가 3종 있었고, 2종의 검정교과서에서 적용 및 예시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인포그래픽 하위유형별 빈도수를 살펴보면 프로세스형, 구조형, 비교분석형, 타임라인형이 전체의 86%를 차지하고 있으나 교과서별로 하위 유형에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연구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 내용 선정 시 탐구활동 유형, 탐구과정, 탐구기능, 소재의 변화가 선행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유형이나 역할 측면에서 차별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둘째, 교과서 단원이나 차시 내 구성의 틀이 변화되어야 시각화 자료의 양이나 유형에서 다양성과 창의성이 발휘될 것이다. 셋째, 검정교과서 심사 기준 및 방식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학술정보 시각화 서비스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Journal and Article Visualization Services)

  • 조성남;서태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83-196
    • /
    • 2016
  • 과학기술의 지식화 매체로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학술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정보가 문자 위주로 서비스되고 있어서, 연구자들이 검색 결과를 하나하나 확인해야 하기 때문에 연구 내용 파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학술정보의 경우도 시각화한다면 원하는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효과적으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지 모델과 논문기사 모델을 제시하고, 각 정보 항목에 적합한 시각화 방법을 활용해서 시각화를 수행하였고, LOD(Linked Open Data) 인터링킹(Inter-linking)을 통해서 태그클라우드 상의 단어의 의미를 해설해주는 서비스도 개발 하였다.

Values of Infographics for Promoting Cultural Learning Resources and Tourist Attractions: A Case of Patum Village in Thailand

  • Nilobon Wimolsittichai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21-38
    • /
    • 2024
  • Infographics are influential and valuable communication tools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can be used for promoting cultural learning resources and cultural tourism destin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presents values of using infographics for promoting Patum's culture and tourism in Phrao District, Chiang Mai, Thailand as cultural learning resources and tourist attractions. Employing a research and development approach, this study utilized three distinct instruments: (1) an interview form engaging 40 locals to uncover insights on promoting Patum village, (2) an assessment form evaluated by three arts and design experts, and (3)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92 participants to gauge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The findings showcased the high quality and appropriateness of the eight infographics. Audiences derived six key values, including acquiring knowledge, fostering the promotion of Patum's culture, festivals, religions and beliefs, deriving aesthetic enjoyment, encouraging cultural tourism, contributing to the education sector, and enhancing comprehension of Patum's history. Participants expressed high satisfaction ($\bar{x}$=4.46) with the infographic use. The developed infographics are usable and valuable information to help audiences recognize Patum cultural learning resources and tourist destinations. They might be further tailored to the recognition of Patum village in the near future, affecting the area's development by increasing local people's incomes through cultural learning resources and tourism activities.

Graphs Used in ASEAN Trading Link's Annual Reports: Evidence from Thailand, Malaysia, and Singapore

  • Kurusakdapong, Jitsama;Tanlamai, Uthai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2권3호
    • /
    • pp.65-81
    • /
    • 2015
  • This study reports a preliminary finding of the types and numbers of graphs being presented in the annual reports of about thirty top listed companies trading publicly in the stock markets of three countries-Thailand (SET), Malaysia (BM), and Singapore (SGX)-that were chosen based on their inclusion in the ASEAN Stars Index under the ASEAN Trading Link project. A total of 6,753 graphs from nineteen sectors were extracted and examined. Banking, real estate, and telecommunications are ranked the three most condense sectors, accounting for 50.2% of the total number of graphs observed. The three most used graphs are the Conservative Bar, Donut graph and Stack Bar. Less than one percent of Infographic type graphs were used. The five most depicted graphed variables are Asset, Revenue, Net profit, Liability, and Dividend. Using rudimentary framework to detect distorted or misleading statistical graphs, the study found 60.6% of the graphs distorted across the three markets, SET, BM, and SGX. BM ranked first in percentages of graphs being distortedly presented (73%). The other two markets, SET and SGX, have about the same proportions, 53.88% and 53.03%, respectively. Likewise, the proportions of Well-designed versus Inappropriate-designed graphs of the latter two markets are a little over one time (SET = 1 : 1.17; SGX = 1 : 1.13), whereas the proportion is almost triple for the BM market (BM = 1 : 2.70). In addition, the trend of distorted graphs found is slightly increasing as the longevity of the ASEAN Stars Index increases. One possible explanation for the relatively equal proportion of inappropriate graphs found is that SET is the smallest market and SGX, though the largest, is the most regulated market. BM, on the other hand, may want to present their financial data in the most attractive manner to prospective investors, thus, regulatory constraints and governance structure are still lenient.

Development of a Tailored Analysis System for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 Seo, Hwa Jeon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7권3호
    • /
    • pp.201-207
    • /
    • 2016
  • Background: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s (KWCS), referencing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hree times in order to survey working condition and develop work-related policies. However, we found three limitations for managing the collected KWCS data: (1) there was no computerized system for managing data; (2) statistical KWCS data were provided by limited one-way communication; and (3) the concept of a one-time provision of information was pursued. We suggest a web-based public service system that enables ordinary people to make greater use of the KWCS data, which can be managed constantly in the future. Methods: After considering data characteristics, we designed a database, which was able to have the result of all pairwise combinations with two extracted data to construct an analysis system. Using the data of the social network for each user, the tailored analysis system was developed. This system was developed with three methods: clustering and classification for building a social network, and an infographic method for improving readability through a friendly user interface. Results: We developed a database including one input entity consisting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ne output entity consisting of working condition characteristics, such as working pattern and work satisfaction. A web-based public service system to provide tailored contents was completed. Conclusion: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customized analysis system to use the KWCS data efficiently, provide a large amount of data in a form that can give users a better understanding, and lay the ground for helping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수치정보 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시각적 형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Visual Form Following the Numerical Information Types)

  • 김재영;김덕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624-633
    • /
    • 2016
  • 빅 데이터의 시대 수많은 정보들이 출몰하고 있고 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인포그래픽 연구들이 이슈화되고 있지만 신용카드명세서를 통해 전달되는 수치정보에 대한 시각화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매우 미흡하다. 신용카드이용명세서를 중심으로 수치정보 유형을 분석하여 각 정보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시각화방법이 무엇인지 연구하였다. 수치정보의 유형은 비교분석, 시간변화의 추이, 비율, 관계, 범위와 분포 등으로 모색되었고 각 정보의 특성에 적합한 그래프형태로 제작하여 가장 효과적이고 이상적인 시각적 형태를 연구하였다. 따라 본 연구는 수치특성을 갖고 있는 신용카드이용명세서에 나타난 수치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시각적 형태를 짚어줌으로서 시각화의 기준점을 제시하는 의미가 있다.

지하철 안내전광판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제안 -서울 메트로를 중심으로- (A Proposal of Design Guidelines for Subway Guide Board -Focusing on Seoul Metro-)

  • 정수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437-442
    • /
    • 2020
  • 서울시 지하철 객실에 설치된 안내전광판은 현재 한국어·영어·중국어·일본어 4개 국어로 역사와 전동차 내 설치된 LCD 모니터를 통해 주요 정보나 운행정보를 알리는 안내방송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지하철 객차 안내 화면이 운행 정보보다 광고를 더 비중 있게 표시하는 탓에 이용자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현재 서울 지하철에 설치된 안내전광판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된 새로운 안내전광판 시안을 제시해 서울시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는 이용객 10대부터 60대까지 6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탑승한 노선마다 화면 디자인이 달라 필요한 정보만을 제공하는 안내전광판 통일이 필요하다. 특히 이용객이 각지에서 이동하기 위해 지하철을 여러 번 환승하므로 안내전광판 디자인은 광고전광판이 아닌 긴급 재난안내나 승하차 정보의 기능을 해야 한다.

온라인 인포그래픽 뉴스의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s Graphic Design in Social Media)

  • 원종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7-67
    • /
    • 2019
  • 뉴스 이용자들이 뉴스를 읽는 방식이 신문에서 스크린으로 바뀌고 있다. 옥스퍼드 대학 로이터 연구소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뉴스 소비 중 온라인을 이용하는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미국인의 51%이상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뉴스를 받아보고 있다. 반면에 신문 구독률은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문자정보의 이해도는 스크린에서보다 인쇄매체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온라인 뉴스 매체들은 양질의 뉴스를 전달하기 위해 인포그래픽 뉴스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뉴스에서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는 것이 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세 가지 실험이 수행되었다. 인포그래픽의 이해도는 매체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실증 분석한 결과 스크린보다 인쇄매체에서 이해도가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뉴스에서 인포그래픽을 사용하면 인지 효과와 수용의도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인쇄 뉴스와 비교할 때 온라인뉴스는 이해력 면에서 효과적이지 않다. 온라인 인포그래픽의 디자인 유형에 따라 퀴즈 정답률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지각된 이해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인문·지역연구에서의 정보시각화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Method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the Humanities and Area Studies)

  • 강지훈;이동열;문상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59-68
    • /
    • 2015
  • 학제 간 융합은 학문의 발전을 위해 서로의 경계를 넘어 상이한 학문 간의 협업 연구를 통해 새롭고 의미 있는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 최근에는 특히 인문학과 ICT가 융합된 형태인 디지털인문학이 주목받고 있다. 연구방법론 관점에서의 디지털인문학은 인문지식, 인문정보 등을 정보시스템을 활용하여 저장, 검색, 공유, 확산하고 연구를 위한 도구로 사용가능하며, 정보시스템 측면에서의 디지털인 문학은 다양한 시스템 형태로 구축 및 활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다양한 정보나 지식을 일반적인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나 멀티미디어, 기타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시각화하여 나타내는 정보시각화와 연계된 디지털인문학 시스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인문학 기반의 정보시각화 유형 및 사례를 분석한 후에, 인문·지역연구에서의 정보시각화 활용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경락경혈 의학정보의 시각화 방법에 대한 역사적 고찰 (A History of Visualization for Biomedical Information of Meridian)

  • 이순호;이인선;조희진;정원모;이아름;김송이;박히준;이혜정;황롱샹;채윤병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9권3호
    • /
    • pp.371-384
    • /
    • 2012
  • Objectives : The meridian system is a systematic complex of empirical knowledge, which functions as a basis of acupuncture treatment. In this article, we reviewed the visualization methods of meridian and acupuncture point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iagram of Meridians, Mingtang Diagram, Diagra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 Bronze Statues and Diagram of Bronze Statue.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Diagram of Meridians, Mingtang Diagram, Diagra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 and Bronze Statues. We reviewed the visualization methods of meridian and acupuncture points in those classical Diagrams and analyzed their relationships among them. Results : In order to explain the meridian and acupuncture points easily, ancient people usually used drawings which are named Mingtang Diagram, Diagra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 by their own characteristics. Owing to their limitations of drawings on the 2 dimensional plane, Chinese people designed the Bronze Statue for Acu-moxibustion and its first invention was invented in Tiansheng age of Song dynasty. For several decades and centuries, these models and drawings were inherited, also reflecting variations of meridian system. As the Bronze Statue has a deficiency in the educational use because of its limitations of mass production, Diagram of Bronze Statue drawn on the 2 dimensional plane was invented. At the beginning of Mingtang Diagram, Diagra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 Diagram of Bronze Statue and Bronze Statue, their own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d with other diagrams and statues. We found that both diagrams and statues were gradually combined with descrip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organs and the skeletal structure and the meridian system.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Diagram of Meridians, Mingtang Diagram, Diagram of Meridians and Collaterals, and Bronze Statues are the basic form of data visualization, one of the infographics. We suggest that ancient Chinese people intend to explain the empirical knowledge using the ancient infographics of meridian system, but have limitations on reflecting theorical or abstractional mea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