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luencer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3초

인플루언서 속성 분석 기반 추천 시스템 (Influencer Attribute Analysis based Recommendation System)

  • 박정련;박지원;김민우;오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321-1329
    • /
    • 2019
  • 소셜 정보망의 발달로 마케팅의 방법도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기존의 유명인, 경제적 지원 기반의 성공적인 마케팅방법론과 달리, 최근 인플루언서 기반 유튜브 마케팅이 큰 대세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 에서는 처음으로 유튜브 양적 정보 및 댓글분석 기반 다각도 질적 분석을 활용하여 54개 이상의 유튜브 채널에서 인플루언서 특징을 추출하고 대표적인 주제들을 모델링하여 개인 맞춤형 영상 만족도 극대화는 물론 기업체가 새로운 아이템을 마케팅 할 때 기존의 인플루언서 특징을 참고하여 새로운 아이템의 영상을 제작하고 배포함으로써 성공적인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보조 수단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유튜브 채널 별 다양한 영상의 모든 댓글을 각 문서로 가정하고 TF-IDF 및 LDA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성능 극대화 향상을 보였다.

공무원 인플루언서의 특성, 라이브커머스의 방송 특성이 지역 농산물의 브랜드 이미지와 구매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의 인터넷 라이브커머스 방송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rand Image,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 마가상;이은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645-665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 China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Chinese consumers who had purchased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fter watching live broadcasts on the internet by influencers of government officials. A total of 31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and AMOS 28.0. The ke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Secon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interaction and inform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but entertainment did not. Third, the brand imag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reliability, attractiveness, and expertise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cer of public officials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agricultural brand image was evident in the interaction and inform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net live broadcasting and purchase intention and word-of-mouth intention.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효과 연구: 사회적 배제의 조절효과 및 준사회적 관계의 매개효과 고찰 (Virtual Influencers in Advertising: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and Parasocial Relationship)

  • 왕유연;안홍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073-1080
    • /
    • 2023
  • 본 연구는 가상 인플루언서 설득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고자, 사회적 배제 경험에 주목하여 실제 인간 인플루언서와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간의 광고효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준사회적 관계가 인플루언서 유형과 사회적 배제 경험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매개 변수로 역할을 하는 가를 검증하여 가상 인플루언서 광고효과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인플루언서 유형: 인간 vs. 가상인간) × 2(사회적 배제 경험: 사회적 배제 vs. 사회적 수용)의 집단 간 요인 설계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배제를 경험한 집단은 가상 인플루언서 보다 실제 인간 인플루언서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플루언서 태도, 제품 태도, 높은 제품 구매의도, 높은 공유/구전의도를 보였으며, 이러한 조절 효과는 준사회적 관계로 매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xplor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Beauty Influencers' Attractiveness and Homophily, Emotional Attachment, and Live Commerce Stickiness

  • Madina, Suleimen;Kim, Hyeon-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0권4호
    • /
    • pp.149-157
    • /
    • 2021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how an influencer's social and physical attractiveness, background and value homophily influences consumer's emotional attachment, which in turn causes user stickiness with regards the influencer's live commerce. We tested all proposed hypotheses among users of the online shopping platform "TaoBao". Ultimately,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means of an onlin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social and physical attractiveness positively influence emotional attachment. Meanwhile only value homophily significantly affected emotional attachment, whereas background homophil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motional attachment. Additionally, emotional attachment was found to significantly influence live commerce stickiness. We also investigated the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beauty trends of products sold on live commerce, whe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high beauty tends to have a higher effect on live commerce stickiness behavior. Lastly,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have been offered.

Are More Followers Always Better?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ollowers and User Engagement on Seeded Marketing Campaigns in Instagram

  • Moon, Suyoung;Yoo, Shijin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62-77
    • /
    • 2022
  • Seeded marketing campaign (SMC) is a newly created type of marketing activities with the widespread use of social media. Previous research has examined to find out the optimal seeding strategy that yields the best outcome from the campaign. This research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eded influencer and user engagement. The data consists of information from 1062 seeded Instagram posts posted in September 2020 in Korea and 778 seeded influencers who posted those contents. Analyzed b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our quadratic model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user engagement and the number of followers of the seeded influencer draws an inverted U-shape, indicating influencers with greater number of followers may not always be the best choice for the marketers. Moreover,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negative marginal impact coming from the huge number of followers can be attenuated when the influencer is an expert of the seeded product.

A Study on Real-time Graphic Workflow For Achieving The Photorealistic Virtual Influencer

  • Haitao Ji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1호
    • /
    • pp.130-139
    • /
    • 2023
  • With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computer-generated virtual influencers, the trend is rising especially on social media. Famous virtual influencer characters Lil Miquela and Imma were all created by CGI graphics workflows. The process is typically a linear affair. Iteration is challenging and costly. Development efforts are frequently siloed off from one another. Moreover, it does not provide a real-time interactive experience. In the previous study, a real-time graphic workflow was proposed for the Digital Actor Hologram project while the output graphic quality is less tha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CGI graphic workflow. Therefore, a real-time engine graphic workflow for Virtual Influencers is proposed in this paper to facilitate the creation of real-time interactive functions and realistic graphic quality. The real-time graphic workflow is obtained from four processes: Facial Modeling, Facial Texture, Material Shader, and Look-Development. The analysis of performance with real-time graphical workflow for Digital Actor Hologram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this research result. Our research will be efficient in producing virtual influencers.

Exploring Social Experience as Mediator of Shopping Behavior in Live Streaming Commerce

  • Kim, Hyeon-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1권1호
    • /
    • pp.76-8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s into live streaming consumer purchase intention by drawing on congruence between consumer and influencer factors and live shopping contents factors during the spread of COVID-19. We surveyed 348 individuals who have watched Fresh Hema's live streaming. SPSS and AMO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We determined that only actual congruity between influencer and consumer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consumer social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both the informativeness and entertainment value of live shopping contents positively impacted the consumer social experience. Additionally, social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onsumer co-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Moreover, the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of social experience was found amongst congruence between consumer and influencers, live shopping contents, co-experience, and purchase intention.

소셜미디어 인플루언서의 개인특성과 콘텐츠 특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뢰와 자아일치성을 매개로 (The Effect of Influencer's Characteristics and Contnets Quality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rust and Self-congruity as a Mediator)

  • 이명진;이상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5호
    • /
    • pp.159-17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인플루언서의 전문성, 진정성 및 상호작용성 등 개인 특성요인과 정확성, 완전성 및 다양성으로 구성된 콘텐츠 품질요인이 인플루언서에 대한 신뢰와 자아일치성을 통해 브랜드 태도와 구매태도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20대 이상의 성인 201명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플루언서의 개인특성요인과 신뢰와의 관계에서 전문성과 상호작용성이 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품질과 신뢰와의 관계에서는 정확성, 완전성, 다양성도 신뢰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플루언서의 개인특성요인과 자아일치성과의 관계에서는 전문성과 진정성이 자아일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텐츠 품질과 자아일치성과의 관계에서는 정확성, 완전성, 다양성이 신뢰와 함께 자아일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뢰와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관계에서는 신뢰와 자아일치성 모두 브랜드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의도에는 자아일치성과 브랜드 태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콘텐츠 이용자들이 인플루언서에 대해 전문성과 상호작용성을 지각할 때, 신뢰가 증가하며, 전문성과 진전성은 인플루언서와 자아일치감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콘텐츠 품질의 경우, 콘텐츠의 정확성, 완전성, 다양성을 통해 콘텐츠 품질을 지각할 때 신뢰와 자아일치성도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신뢰와 자아일치성은 브랜드에 대한 태도를 증가시키고 구매의도 등 소비행동으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정보전달 성격이 강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분야에서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을 이용한 효과적인 마케팅 성과를 위해서는 전문성, 진정성, 상호작용성 등 개인적 특성요인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질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마케팅의 기대효과를 발휘하기 위해 하나의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로서 마케팅 전략 및 실무에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구매 후 만족,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타오바오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ive Commerce Influencer's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Flow - Focus on Taobao Service)

  • 곽효월;배승주;이상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201-213
    • /
    • 2022
  • 본 연구는 타오바오 온라인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타오바오 라이브 플랫폼 사용자의 구매 후 만족,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 중독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선행연구를 통해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 속성을 전문성, 매력, 상호작용성, 심미성의 4가지로 설정하고, 이러한 속성이 소비자의 재구매 의도와 플로우과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 중에서 전문성, 상호작용성, 심미성이 소비자 만족도에서의 실용적인 쇼핑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매력을 포함한 4가지 속성이 유희적 쇼핑 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만족도에는 유희적 쇼핑 가치가 실용적인 쇼핑 가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비자의 구매 후 만족도가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로우가 재구매 의도와 중독에 미치는 영향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장 추세에 있는 라이브 커머스 시장에서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활성화하고,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데 기여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버추얼 인플루언서 릴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반영된 패션의 의미 (The Meanings of Fashion on the Social Media of Virtual Influencer Lil Miquela)

  • 이세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323-333
    • /
    • 2021
  • 2016년 소셜미디어에 등장한 릴 미켈라는 오늘날 점차 주목받는 버추얼 인플루언서들 중 가장 알려진 존재이다. 특히 미켈라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많은 패션 브랜드들과 실제적 협업을 이어가면서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오늘날 버추얼 인플루언서들의 활약이 부각되고 있는 만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 사례 탐색을 통해 현대 패션이 지향하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미켈라의 인스타그램 내 스틸컷 이미지, 비디오 이미지, 미켈라의 설명, 댓글 등을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시도한 결과 미켈라의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패션을 표현하는 방식 및 장치는 스토리텔링, 리얼리티, 태그와 하이퍼링크 등 세 가지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또한 경험의 대상, 테크놀로지의 지향, 시대정신의 구현 등의 세 가지 측면에서 패션이 갖는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에서 등장한 이후 점차 더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는 미켈라는 패션을 통해 정체성을 구축한 버추얼 패션 인플루언서이며 앞으로 패션에 보다 더 새로운 의미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된다.